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글로벌 미국·북미

속보

더보기

[팬데믹 현황] 확진192만·사망 12만명…최고조 경과, 정상화 시동(14일 오후 2시 20분 기준)

기사입력 : 2020년04월14일 16:31

최종수정 : 2020년04월14일 16:31

유럽 주요국들 이번 주 봉쇄 완화 조치 이행
미국 동서부 10개주 경제활동 재개 팀 결성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전 세계 코로나(COVID-19) 누적 확진자가 192만명을 넘어섰고 사망자는 12만명에 육박한다.

유럽에 이어 미국도 지난 주말부터는 확진자 수 증가세가 최고조를 지났다는 신호가 꾸준히 나오고 있다. 미 동·서부 10개주에서 경제활동 재개에 시동이 걸렸고, 세계보건기구(WHO)는 섣부른 봉쇄조치 해제는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시스템사이언스·엔지니어링 센터(CSSE) 코로나19 상황판에 따르면 14일 오후 2시 20분 기준 전 세계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192만919명으로 전날 보다 7만112명이 증가했다. 사망자수는 11만9695명이다.

국가·지역별 누적 확진자는 ▲미국 58만2468명 ▲스페인 17만99명 ▲이탈리아 15만9516명 ▲프랑스 13만7877명 ▲독일 13만72명 ▲영국 8만9571명 ▲중국 8만3302명 ▲이란 7만3303명 ▲터키 6만1049명 ▲벨기에 3만589명 ▲네덜란드 2만6712명 ▲스위스 2만5688명 ▲캐나다 2만5680명 등이다.

누적 사망자는 ▲미국 2만3621명 ▲이탈리아 2만465명 ▲스페인 1만7756명 ▲프랑스 1만4986명 ▲영국 1만1347명 ▲이란 4585명 ▲벨기에 3903명▲중국 3345명▲독일 3194명 ▲네덜란드 2833명 ▲브라질 1355명 ▲터키 1296명 ▲스위스 1138명 순이다.

뉴욕타임스(NYT) 집계에 따르면 미 동부시간으로 14일 새벽 1시 3분(한국시간 14일 오후 2시 3분) 기준 주별 코로나19 누적 확진·사망자는 ▲뉴욕 19만5031명·1만56명 ▲뉴저지 6만4584명·2443명 ▲매사추세츠 2만6867명·844명 ▲미시간 2만5487명·1601명 ▲캘리포니아 2만4334명·725명 ▲펜실베이니아 2만4295명·563명 ▲일리노이 2만2025명·800명 ▲루이지애나 2만1016명·884명 ▲플로리다 2만1011명·498명 ▲텍사스 1만4488명·320명 순이다. 

◆ 미 동·서부 경제활동 재개팀 꾸려…트럼프 "경제 정상화 계획 완성"

전 세계 최다 코로나19 누적 확진국 미국에서 경제활동 재개 움직임이 포착돼 주목된다.

미국 동부 7개주와 서부 3개주 등 총 10개주에서 경제활동 재개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동부 지역 경제 정상화 팀은 ▲ 뉴욕 ▲ 뉴저지 ▲코네티컷 ▲펜실베이니아 ▲델라웨어 ▲로드아일랜드 ▲매사추세츠로 구성됐으며 각주 주지사들과 고위 참모들은 경제활동 재개 계획 구상에 한창이다. 

서부에서는 ▲캘리포니아 ▲워싱턴 ▲오리건 주가 팀을 이뤄 점진적 자택대기령 완화를 논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민주당 소속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는 3개 주지사들이 함께 "안전하고, 전략적이며 책임있는 방식"의 경제활동 재개 노력에 협력하기로 약속했다고 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코로나19 사태로 멈춰선 미 경제를 정상화시키는 계획이 거의 완성됐으며 최종 결정 권한은 자신에게 있다고 밝혔다. 

또 미국 내 신규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정체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이는 연방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바이러스 확산을 억제하기 위한 전략이 작동하고 있다는 명백한 증거라고 주장했다.

미국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막대 그래프 [자료=Worldometer, 뉴스핌] 2020.04.14 herra79@newspim.com

◆ WHO "섣부른 봉쇄 완화는 위험"…5대 요건 제시 

세계보건기구(WHO)가 미국 등 각국 정부들의 봉쇄령 완화 움직임에 대해 경고 메시지를 보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전염 속도가 빠르고 2009년 신종플루(H1N1) 팬데믹(pandemic·세계적 대유행) 보다 10배 치명적이라면서 섣부른 판단은 위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13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 본부에서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코로나19 확산 가속도는 매우 빠른 반면 훨씬 더 느리게 감속한다"며 "이는 통제 조치가 해제될 때는 천천히 그리고 통제력을 가진 상태여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꺼번에 일어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확진 환자 접촉자 추적의 상당한 능력" 등을 포함해 올바른 공중 보건 조치가 마련돼야 통제 조치가 해제될 수 있다면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해제하기 전 갖춰야 할 5대 요건을 제시했다. 요건은 ▲바이러스의 전파 통제 ▲환자들을 감지·격리 및 치료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 ▲병원과 요양원 등 시설에서의 집단발병 최소화 ▲학교·직장 등 필수 장소에서의 예방 대책 ▲해외 유입 위험성의 사전 통제 등이다.

이밖에 마이크 라이언 WHO 긴급대응팀장은 코로나19를 극복한 모든 사람에게서 2차 감염을 막을 항체가 있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며 "회복과 재감염과 관련해 우리는 답이 없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알려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wonjc6@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버핏, 하락장에 옥시덴털 등 주식 더 샀다 [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가 이번 주 뉴욕증시 하락 장세 속에서 그동안 꾸준히 매수해 온 옥시덴털 페트롤리엄의 지분을 추가 매수했다. 20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버크셔는 890만 주의 옥시덴털 지분을 4억500만 달러(약 5860억 원)에 매수했다. 이번 지분 인수는 지난 17일과 18일, 19일에 걸쳐 이뤄졌다. 이번 매수로 버크셔가 보유한 옥시덴털의 지분은 28%로 확대했다. 버핏 회장은 하락장에 주식을 저렴하게 산 것으로 보인다. 옥시덴털의 주가는 이번 달 들어 10% 하락해 연초 이후 24%의 낙폭을 기록 중이다. 전날 옥시덴털의 주가는 52주래 최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버크셔 해서웨이의 워런 버핏 회장 [사진=블룸버그] 옥시덴털은 버크셔가 보유한 주식 중 6번째로 규모가 크지만, 버핏 회장은 완전한 인수설을 부인했다. 버크셔가 옥시덴털을 추가 매수한 것은 지난 6월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현재 버크셔가 보유한 옥시덴털의 가치는 120억 달러에 이르지만 투자 전문매체 배런스는 옥시덴털 투자로 버크셔가 10억 달러의 손실을 보고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같은 기간 버크셔는 북미 최대 위성 라디오 사이러스XM 지분 500만 주를 1억1300만 달러에 샀다. 사이러스XM은 올해 60%나 급락해 현재 10여 년간 가장 낮은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최근 투자자들은 회사가 2025년 실적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면서 주식을 공격적으로 매도했다. 도메인 등록 서비스업체 베리사인의 지분 23만4000주를 약 4500만 달러에 사들였다. 현재 버크셔는 이 회사의 지분 13%를 보유 중이다. 이로써 지난 3거래일간 버크셔가 매수한 지분은 최소 5억6000만 달러에 달한다. mj72284@newspim.com 2024-12-21 00:55
사진
달러/원 환율 1,450원 돌파...15년래 최고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19일 달러/원 환율이 1450원도 돌파하며 15년 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 회의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예상대로 기준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으나 내년 기준 금리 인하 속도를 줄일 가능성을 시사한 여파다. 연준은 18일(현지 시각) 이틀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 회의를 마치고 기준 금리를 4.25~4.50%로 0.25%포인트(%p) 인하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연준은 9월과 11월에 이어 이달까지 세 번의 회의에서 연속으로 기준 금리를 내렸다. 연준은 별도로 공개한 경제 전망 요약(SEP)에서 내년 말까지 금리 인하 폭을 0.50%p로 제시했다. 이는 9월 1.00%p를 기대한 것에서 크게 축소된 수치다. 이 같은 예상대로면 연준은 내년 0.25%p씩 총 두 차례 금리를 낮추게 된다. 매파적인 연준의 내년 금리 전망에 이날 미 달러화는 2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올라섰고, 달러/원 환율은 한국 시간 19일 오전 6시 50분 기준 1453원으로 1450원도 넘어섰다. 이는 지난 2009년 3월 이후 약 15년 만에 최고치다. 지난 2017년 도널드 트럼프 당시 대통령이 제롬 파월 당시 연방준비제도(Fed) 이사를 차기 의장으로 지명했다. [사진=블룸버그] koinwon@newspim.com 2024-12-19 06:58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