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뮤지컬 '마리 퀴리'가 가장 위대한 발견을 하고도 계속해서 차별에 부딪혔던 천재 여성 과학자의 얘기를 들려준다. 동시에 인간을 위한 과학의 발전이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 결코 가볍지 않은 메시지를 던진다.
현재 충무아트센터 중극장 블랙에서 뮤지컬 '마리 퀴리'가 공연 중이다. 지난 2019년 초연 이후 이번 재연에서는 150분으로 러닝타임이 늘어나고, 넘버가 대폭 새로 추가됐다. 김태형 연출과 함께 김소향, 김히어라, 리사, 정인지, 이봄소리, 김지휘, 임별, 양승리, 김찬호 등 업계에서 정평이 난 배우들이 힘을 보탰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배우 리사가 13일 오후 서울 중구 충무아트센터 중극장 블랙에서 열린 뮤지컬 '마리 퀴리' 프레스콜에서 하이라이트 시연을 선보이고 있다. '마리 퀴리'는 과학자 마리 퀴리의 대표적 연구 업적인 라듐 발견 과정과 그로 인해 초래되는 비극적인 사건들을 다루는 작품이다. 2020.02.13 mironj19@newspim.com |
◆ 더없이 과감한 시도…정인지·이봄소리의 투톱 활약
뮤지컬 '마리 퀴리'는 노벨상을 두 차례나 수상한 천재 여성 과학자 마리 스크워도프스카 퀴리(정인지)의 삶을 그린다. 모두가 익숙한 위인전 속 그의 위대한 업적과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허구의 인물 안느 코발스키(이봄소리)와 관련한 이야기들을 추가했다. 안느는 마리의 남편인 피에르 퀴리보다 그와 더욱 깊이 교감하는 상대로 등장한다. 폴란드 이민자 출신 여성 과학자인 마리와 폴란드 이주 노동자 안느가 이 뮤지컬의 두 중심축이다.
재연에 새로이 합류한 정인지, 이봄소리 페어는 각자 마리, 안느를 맡아 우정 이상의 끈끈한 교감을 보여준다. 정인지는 평범한 듯 하면서도 비범한 천재성을 지닌 과학자 그 자체였다. 여성이자 이민자로서 계속해서 한계에 부딪히지만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원소 주기율표에 조국과 자신의 이름을 넣은 마리의 집념을 섬세하게 그려냈다. 그의 솔직한 감정 표현과 매 순간의 선택은 마리를 더없이 인간적이고 책임감있는 과학자로 느껴지게 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배우 이봄소리가 13일 오후 서울 중구 충무아트센터 중극장 블랙에서 열린 뮤지컬 '마리 퀴리' 프레스콜에서 하이라이트 시연을 선보이고 있다. '마리 퀴리'는 과학자 마리 퀴리의 대표적 연구 업적인 라듐 발견 과정과 그로 인해 초래되는 비극적인 사건들을 다루는 작품이다. 2020.02.13 mironj19@newspim.com |
이봄소리 역시 뛰어난 기량으로 허구의 인물 안느에게 생명력을 불어넣었다. 마리가 파리 소르본 대학으로 향하는 길에 만나 그를 '폴란드의 별'이라 부르며 연구 동기를 고취시키는가 하면, 치열하게 고민할 때 가장 쉬운 답을 내놓는다. 폴란드 출신 이주 노동자로서 안느와 그 친구들의 활약도 대단하다. 라듐의 발견으로 한층 풍요로워진 삶을 즐기던 노동자들은 방사능 위험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며 마리 연구의 오점을 여과없이 드러낸다.
◆ 과학의 본질과 영향력에 관한 고민…용기있게 다루는 실패와 성장
무엇보다 '마리 퀴리'가 신선한 점은 과학자들의 연구과정을 모두에게 와닿게끔 구성했다는 점이다. 마리는 시종일관 가설을 먼저 설정하고, 계속해서 조건을 바꿔가며 숱한 실험을 거쳐 가설이 진짜임을 증명해내는 연역적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일반 사람들에게 익숙한, 경험을 통해 결론을 도출해내는 귀납적 방식과는 완전히 다르지만 과학자들에겐 당연한 과정이다. 과학적 사고의 본질을 공연장에서 마주한다는 점이 더없이 새롭게 느껴진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배우 정인지, 김히어라가 13일 오후 서울 중구 충무아트센터 중극장 블랙에서 열린 뮤지컬 '마리 퀴리' 프레스콜에서 하이라이트 시연을 선보이고 있다. '마리 퀴리'는 과학자 마리 퀴리의 대표적 연구 업적인 라듐 발견 과정과 그로 인해 초래되는 비극적인 사건들을 다루는 작품이다. 2020.02.13 mironj19@newspim.com |
또 이 작품은 인류에게 득과 실을 동시에 가져다 주는 위험한 발견을 다룬다. 마리는 좋은 의도로 신물질 라듐의 추출 방법을 무상 공개했으나, 결과는 무분별한 상업화와 대중화였다. 상업적 논리에 가려진 라듐의 위험성은 쉽게 세상에 공개되기 어려웠다. 공장의 노동자들은 사인이 밝혀지지 않은 채 죽어나가고, 결국 방사능 물질은 현재 인류에게 도움이 되기도, 위협이 되기도 하는 존재가 됐다. 누군가는 새로운 발견을 인류의 발전이라 하지만, 그것이 약일지 독일지는 선택에 달려있다. 과학자들이 마주치는 연구윤리에 관한 고민이 꽤 깊게 담겨있다.
극중에서는 마리조차 방사능의 암 치료 가능성에 주목하며 위험성을 직접 밝히기를 주저했다. 거기엔 여성 과학자로서 실패를 인정했을 때 다시는 기회를 얻지 못할까 두려워하는 본능적 방어기제가 깔려있다. 여자라서, 이민자라서, 또 어떤 집단의 소수자라서 좌절을 겪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포인트다. 이 작품의 가장 훌륭한 부분도 그 지점이다. 단순한 여성의 이야기를 넘어 도전과 실패, 또 성장까지 담는 아주 과감한 시도를 했다. 충분히 업그레이드 된 여성 서사극이라고 할 만하다. 오는 3월 29일까지 충무아트센터 중극장 블랙에서 공연된다.
jyy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