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 트렌드, 돈육 시세 변동...대체 고기 시장 관심
생산-소비 잇는 축산 플랫폼 뜬다...거래액 매년 갱신
[서울=뉴스핌] 박효주 기자 = 새로운 기술을 도입한 축산 유통, 가공품 제조사들이 대체육, 직거래 플랫폼 등 영역 개척에 나서고 있다.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채식주의자 뿐 아니라 일반 소비자들도 대체 고기에 대한 수늘고 전 세계적으로 늘고 있는 추세다. 또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 이후 돈육 가격이 급등하자 대체 고기 산업 활성화에 대한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
◆ 푸드테크 관심 ↑ 식물성고기·대체육 확보 노력
![]() |
인공육으로 만든 햄버거[사진=바이두] |
미국의 경우 올해 5월 식물성 고기 제조업체 비욘드미트가 나스닥 상장에 성공했고 푸드테크 스타트업 '임파서블푸드'가 내놓은 식물성 인공육류 햄버거는 2017년 33곳에 불과했던 공급망을 넓혀 작년 기준 1000개 레스토랑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중국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확산된 여파로 돈육 가격이 급등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중국은 전 세계 돼지고기 소비량 49%를 차지하는 최대 소비 국가다.
올해 10월 기준 중국 내 돈육 가격은 전년 동월 보다 143.5% 급등한 51.2위안/kg을 기록했다. 더욱이 돈육 공급이 여전히 부족 현상을 겪고 있어 가격 상승세가 장기화될 조짐도 보이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 중국 정부는 2030년까지 인당 육류 소비량을 기존 63kg에서 30kg으로 절반 이상 축소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식품성 식품 소비량을 늘리고 대체 단백질에 대한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대목이다.
국내에서도 대체 고기 제품에 대한 시도는 계속되며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도 시작되고 있다. 다만 아직 국내 대체육 시장 점유율은 미비한 상태다.
동원F&B는 미국 식물성 고기 생산 업체인 비욘드미트와 국내 독점 공급계약을 맺고 지난 3월부터 식물성 고기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국내에 출시된 제품은 '비욘드버거', '비욘드치킨스트립', '비욘드비프크럼블' 3종이다.
CJ제일제당은 충북 진천 식품통합생산기지를 중심으로 원천기술 개발을 진행 중이다. CJ제일제당은 오는 2021년 대체육 시장이 본격적으로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식물성 고기 등 미래식량 사업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롯데푸드도 4월부터 식물성 대체 육류 브랜드 '엔네이처 제로미트'를 판매 중이다. 롯데푸드에서 선보이는 대체 육류 제품은 '엔네이처 제로미트 너겟', '엔네이처 제로미트까스' 등 2종으로 닭고기의 풍미와 식감을 살린 것이 특징이다.
![]() |
[서울=뉴스핌] 박효주 기자 = 금천미트 매출 추이.[사진=동원홈푸드] 2019.11.11 hj0308@newspim.com |
◆ 축산물 유통 단계 줄인 '직거래 플랫폼'
축산물 유통 플랫폼에도 변화가 일고 있다. 기존 '생산자-중간유통업자-소비자'로 이어진 축산물 유통 단계를 '생산자-소비자'로 단순화한 직거래 장터도 활성화되고 있다.
동원홈푸드는 국내 최대 축산물 온라인몰 '금천미트'를 운영 중이며 오픈 이후 10년 만인 올해 8월 누적 거래액 1조원을 돌파했다.
금천미트는 국내 최초 기업 간 거래(B2B) 축산물 온라인몰로 자체 육가공 공장, 전국 물류망을 갖추고 있다. 이 같은 경쟁력을 발판으로 2009년 오픈 당시 30억원 수준이던 거래액 규모는 연평균 49%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올해는 거래액 20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식자재, 단체급식 기업 CJ프레시웨이도 B2B사업자를 위한 육류 직거래 플랫폼 '미트 솔루션'을 지난 8월 오픈했다.
미트 솔루션은 유통단계를 줄인 만큼 시중에서 구매할 때보다 최대 30% 저렴한 가격에 구매 가능하며 수입축산물은 CJ프레시웨이가 직수입해 유통하기 때문에 국내 온라인에서 거래되는 평균 시세보다 최대 10%정도 싸게 살 수 있다.
스타트업으로 출발한 '미트박스'도 성장 가도를 달리고 있다. 미트 박스는 유통단계를 축소해 현금거래를 통한 미수금 우려를 해소하고 시세를 실시간 반영, 최대 30% 원가를 절감한 가격에 축산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미트박스는 월 거래액 200억원을 달성해 올해 연간 2500억원 거래액 돌파를 예상하고 있다.
김정욱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비건푸드 소비 트렌드, 돼지열병에 다른 육류 가격 상승 등 축산 시장이 급변하는 국면에 놓였다"면서 "신기술의 대체육류와 가격 메리트를 높인 축산물 플랫폼이 원재료비 상승 시 대안으로 부각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hj0308@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