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경제일반

속보

더보기

[중국 블록체인 굴기] 특허 출원 세계 1위, 정부 민간 전방위 기술 응용

기사입력 : 2019년11월01일 14:41

최종수정 : 2019년11월01일 14:41

IT, 통신, 보험 등 다양한 분야서 블록체인 연구
중앙 및 지방 정부 블록체인 지원 정책 발표 줄이어
가상화폐 산업 덩달아 주목

[편집자] 중국 정부가 블록체인 기술을 통한 통치력 강화에 나섰습니다. 시진핑 국가 주석이 블록체인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정부 관료들도 관련 지식 학습에 열중입니다. 인민은행도 세계 최초 디지털 화폐 발행을 선언하며 분위기를 띄우고 있습니다. 국내외 시장에선 벌써부터 블록체인 관련 기업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중국이 '블록체인 강국' 건설에 나선 배경과 영향을 종합 뉴스 통신 뉴스핌이 분석해봤습니다.

[서울=뉴스핌] 정산호 기자 =중국에서 블록체인 기술 응용이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다. 블록체인 산업 전반의 '덩치'도 급격하게 팽창되고 있다. 정부가 관련 산업 성장을 주도하고, 민간이 이에 적극적으로 호응하면서 블록체인이 중국 신산업의 핵으로 부상하는 모양새다. 

[사진=바이두]

◆ 세계 최대 특허출원 국가

블록체인 관련 특허 출원에서 중국은 세계 1위다. 2018년 기준 전 세계 블록체인 특허 수는 6818건으로 이 가운데 4835건이 중국기업이 출원한 것으로 집계됐다. 블록체인 강국으로 불리는 미국을 크게 앞질렀다.

이 분야 특허 기술 개발에는 바이두(百度), 중궈롄퉁(中國聯通), 중궈핑안(中國平安)등 대기업의 활약이 눈부시다. 

중국의 '3대 IT 기업'인 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는 모두 상위 10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 알리바바는 특허 출원 건수 290건으로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블록체인 특허 출원 기업 자리에 올랐다.

텐센트는 116개로 9위, 바이두는 100개로 10위를 기록했다. 또한 중궈롄퉁(中國聯通) 163개, 중궈핑안(中國平安) 131개, 중궈뎬왕(中國電網) 70개와 같이 통신, 보험, 전력 등 다양한 분야의 중국 기업들이 블록체인 연구에 박차를 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블록체인 기업은 IT 산업이 발달한 도시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재 확보가 용이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역별 분포로 살펴보면 수도 베이징(北京)이 175개로 1위, 상하이(上海)가 95개로 2위, 광둥(廣東)과 저장(浙江)이 각각 71개, 36개로 3위와 4위를 기록했다. 4개 지역 점유율은 중국 전체의 약 80%에 달했다.

블록체인 관련 기업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중국의 정보통신 사업을 담당하는 공업신식화부(工業信息化部·공신부)가 발표한 '2018 블록체인 산업 백서'에 따르면 2018년 중국의 블록체인 관련 기업은 456개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백서는 중국의 블록체인 산업이 발전을 위한 기초적인 규모화가 이뤄졌다고 평가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기술 응용분야 업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물경제 응용 분야에 109개 기업, 금융 응용 기업이 86개로 뒤를 이었다. 블록체인 솔루션 연구(61개), 미디어(58개), 플랫폼연구(42개) 분야 등이 뒤를 이었다.

민간 시장조사 업체 통계에 따르면 중국의 블록체인 기업 수는 당국의 발표보다 훨씬 많다. 중국 기업정보 플랫폼 톈옌차(天眼查)는 2019년 10월 기준 중국 블록체인 업체 수가 2만 7513개로 2010년(379개) 대비 7159% 증가했다고 전했다. 2016년 비트코인 열풍을 기점으로 급격한 증가 추세를 나타냈다.

중국 첸잔(前瞻)산업연구원 2019년 중국 블록체인 시장규모가 올해 첫 1억 위안(165억원)을 돌파하고 2022년에는 4억5900만 위안(760억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사진=바이두]

◆ 중국 당국, 정책 지원 및 발전 방향 제시로 산업 육성

중국 당국은 블록체인 기술이 가진 '분산 저장' 및 '추적 가능' 이라는 특징에 주목해 산업을 키우려 하고 있다. 공신부는 블록체인의 예상 응용 분야를 △사법△행정△의료△식품△교역△공업△금융 영역 등을 꼽았다.

조금 더 들여다보면 식품의 생산 및 유통 과정의 추적, 제조업 등 생산 분야에서 공정관리, 행정 서류 관리 등에서 투명성을 높이고 검증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블록체인을 활용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는 각 데이터 변동사항이 모두(각 블록)에게 저장되는 블록체인 특성을 이용한 것이다.

정책지원을 통한 관련 산업 육성에도 열심이다. 중국 블록체인 정보 제공 플랫폼 후롄마이보(互鏈脈搏)연구원에 따르면 2019년 상반기 까지 중국 당국은 총 141개의 블록체인 관련 정책을 발표했다.

이 가운데 106개가 지원 및 보조 정책, 35개가 규제 관련 정책인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미국과 한국이 각각 41개, 28개 관련 정책을 발표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블록체인 산업 육성에 가장 적극적인 지역은 광둥(廣東)성으로 집계됐다. 총 12개의 지원 정책을 발표하며 1위를 기록했다. 저장(浙江)성, 푸젠(福建)성, 윈난(雲南)성이 10개로 공동 2위, 산둥(山東)성이 8개로 5위를 차지했다. 중국 23개 성과 도시가 적어도 1개 이상의 블록체인 지원책을 발표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 기업들은 이러한 정부 정책에 맞춰 '블록체인 주도권' 선점을 위해 노력 하고 있다. 알리페이를 운영하는 앤트파이낸셜은 해외 송금 분야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중국 본토에서 홍콩, 필리핀, 파키스탄 등 일대일로(一帶一路, 육·해상 실크로드) 소속 국가들에 저렴하고 빠른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전력회사인 중궈뎬왕은 궈왕(國網)블록체인 유한회사와 계약을 맺고 블록체인 기반 사물인터넷 플랫폼 구축에 나섰다. 데이터 공유 효율 및 보안성을 높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사진=바이두]

◆ 덩달아 주목받는 중국 가상화폐 산업

블록체인과 함께 중국의 가상화폐 산업도 주목을 받고 있다. 2016년 전 세계를 휩쓴 가상화폐 열풍에 뛰어든 중국인들은 가상화폐 거래소 운영 및 채굴기 판매로 부를 쌓았다. 최근 발표된 중국 부호 명단에는 전통 업계 대표와 함께 가상화폐 사업가들이 합류하며 위세를 과시했다.

중국 부호전문 연구기관 후룬연구원(胡润研究院)이 발표한 '2019년 중국 부호 명단'에는 가상화폐 업계 인사들도 이름을 올렸다.

업계 1위는 세계 최대 가상화폐 채굴기 제조사 비터다루(比特大陸, 비트메인)의 대표 잔커퇀(詹克團)이 차지했다. 그의 재산규모는 300억 위안(4조원)으로 전체 부호 순위에서 100위를 차지했다.

비트코인 거래소 비안 (幣安, 바이낸스)의 창업자 자오창펑(趙長鵬)은 180억 위안(2조원)으로 195위에 올랐다. 우지한(吴忌寒) 비트메인 창업자는 재산규모 170억 위안(2조원)로 블록체인 업계 인사로는 3위, 전체 순위에선 214위를 기록했다.

이 밖에도 암호화폐 거래소인 OK코인과 훠비(火幣) 의 창업자 쉬밍싱(徐明星)과 리린(李林)은 재산규모 100억 위안(1조6000억원), 75억 위안(1조2400억원)으로 각각 398위, 531위에 올랐다.

비트메인의 주주 거웨성(葛越晟)은 재산규모 35억 위안(5810억원)으로 부호순위 1166위에 이름을 올렸는데 그의 나이는 올해 27세로 후룬 순위에 오른 최연소 부호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chung@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내일부터 전공의 추가 모집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보건복지부가 오는 20일부터 전공의 추가 모집을 허용한다. 복지부는 19일 '전공의 추가 모집 안내 공지'를 통해 이같은 내용을 밝혔다. 복지부는 "대한의학회, 대한수련병원협의회, 대한병원협회 등 수련 현장 건의에 따라 5월 중 전공의 추가 모집을 허용할 계획"이라며 "이번 모집은 오는 20일부터 5월 말까지 모집병원별 자율적으로 진행한다"고 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03.18 mironj19@newspim.com 사직전공의의 지원 자격은 지난 1월 10일 '사직 전공의 복귀 지원 대책'에서 발표한 수련 특례를 동일하게 적용한다. 이번 모집 합격자는 오는 6월 1일부터 수련이 개시된다. 수련 연도는 다음 해 5월 31일까지 적용된다. 한편 사직전공의들은 복귀를 전제로 필수의료패키지 재논의, 5월 복귀 시 수련 인정, 입대한 사직자의 제대 후 TO(정원) 보장을 요구했다. 복지부는 언급된 조건을 대부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필수의료패키지 재논의에 대해서는 기존 발표한 의료개혁 과제 중 구체화가 필요한 과제에 대해 현장의 목소리를 충분히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이미 예산에 반영된 과제,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를 통해 확정된 과제는 차질없이 이행하겠다는 입장이다. 5월 복귀 시 수련 인정의 경우는 오는 6월 1일부터 수련이 개시되면 인정된다. 사직전공의가 이번 모집에 합격해 수련을 개시할 경우 내년 2월 전문의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3월 복귀자와 마찬가지로 수련 기간 단축은 없다. 군입대 전공의를 포함한 복귀 전공의 TO 보장도 수용됐다. 복지부는 이번 모집에 합격하는 사직전공의 TO를 보장한다고 밝혔다. 원 소속 병원·과목·연차의 TO가 기존 승급자 등으로 이미 채워진 경우도 사직자가 복귀하면 정원을 추가 인정한다. 다만, 이미 군입대한 전공의가 제대한 후 수련병원으로 복귀하는 문제는 향후 의료 인력, 병력 자원 수급 상황, 기존 복귀자와 형평성 등을 고려해 검토하겠다고 선을 그었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정부가 복귀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는 사직 전공의를 대상으로 추가 모집을 실시할 예정이다. 사진은 6일 서울시내 한 대학병원의 의료진 모습. 2025.02.06 yooksa@newspim.com 추가 모집에 대한 정부 입장이 변경된 이유에 대해 복지부는 "대한수련병원협의회, 대한병원협회 등 6개 단체가 전문의 수급 차질을 막고 의료공백 상황을 해결할 수 있도록 사직전공의의 수련 복귀를 위한 추가 모집을 열어줄 것을 건의했다"며 "전공의 복귀 의사를 확인하기 위해 의료계가 자체적으로 실시한 여러 조사에서도 상당수 복귀 의사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복지부는 "고심 끝에 수련 현장 건의를 받아들여 5월 중 수련 재개를 원하는 전공의는 개인의 선택에 따라 수련에 복귀할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그밖에 구체적 모집 절차, 지원 자격 등은 병원협회 홈페이지에 공고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sdk1991@newspim.com 2025-05-19 16:03
사진
시흥 연쇄 흉기 피습 4명 사상 [시흥=뉴스핌] 노호근 기자 = 경기 시흥시 정왕동 일대에서 하루 사이 4건의 흉기 피습 사건이 연이어 발생해 2명이 숨지고 2명이 중상을 입었다. 경찰은 동일 인물에 의한 연쇄 범행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용의자를 추적 중이다. 경찰로고. [사진=뉴스핌DB] 경찰 등에 따르면 19일 오전 9시 30분께 정왕동 한 편의점에서 60대 여성 점주 A씨가 50대 중국 국적의 남성 B씨가 휘두른 흉기에 찔려 병원으로 이송됐다. A씨는 목과 복부에 중상을 입었으나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같은 날 오후 1시 30분쯤 편의점 인근 체육공원 주차장에서 70대 남성 C씨가 흉기에 복부를 찔리는 또 다른 사건이 발생했다. C씨 역시 병원으로 옮겨졌으며, 현재 치료 중이다. 또 편의점 근처의 한 원룸 건물 내에서는 남성 2명이 각각 다른 층에서 흉기에 찔린 채 발견됐다. 이들은 모두 현장에서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4건의 사건 발생 장소가 지리적으로 가깝고, 짧은 시간 내 발생한 점에 주목하고 있다. 범행 수법에도 유사점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일단 1인의 연쇄 범행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수사를 진행 중이다. 현재 경찰은 사건 현장 인근 폐쇄회로(CC)TV 영상을 확보하고 분석에 착수했으며, 목격자 진술 등을 토대로 용의자의 신원 및 동선을 파악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범행 간 시간 간격과 위치 등을 감안할 때 동일범 소행일 가능성이 있다"며 "신속한 검거를 위해 모든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찰은 이 사건에 대해 살인 및 살인미수 혐의를 적용해 수사를 확대할 방침이다. seraro@newspim.com 2025-05-19 16:1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