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18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를 지켜본 금융 시장이 머리를 긁적이고 있다. 예상대로 연준이 기준금리는 인하했으나 이번 결정과 향후 전망을 둘러싸고 이견을 노출, 불확실성을 키운 까닭이다.
이번 인하 결정에 반대한 FOMC 위원이 지난 7월 2명에서 3명으로 늘었고, 회의 이후 공개된 점도표에서는 중간값을 기준으로 했을 때 올해와 내년 '동결'이 전망됐지만, 전체적으로 분열상이 드러났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사진=로이터 뉴스핌] |
◆ 인하 반대, '2→3표'...금리전망 제각각
이날 연준은 FOMC를 마치고 기준금리인 연방기금(FF) 금리의 목표범위를 1.75~2.00%로 25bp(1bp=0.01%포인트) 인하, 지난 7월에 이어 올해 총 두 차례 금리를 내렸다. 이같은 결정은 예상됐던 바지만, 이후 방향을 잡기 위해 세부 내용을 보던 시장은 갈 길을 잃었다.
FOMC 결과를 지켜 본 뉴욕증시는 보합권 혼조세를 나타냈다. S&P500지수와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각각 0.03%, 0.13% 상승으로 강보합 마감했고, 나스닥종합지수는 0.11% 약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다. 미국 국채 금리는 10년물이 전날 1.81%에서 1.78%로 오르는 등 소폭 상승했다.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지수는 0.3% 올랐다.
이번 결정을 놓고 연준 내부 이견이 늘었다는 데 투자자들은 주목했다. 투표권을 보유한 FOMC 위원 10명 가운데 3명이 이번 '25bp 인하'에 반대표를 행사했다. 지난 7월보다 1표 늘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연준이 점점 분열되는 상황에 직면했다'고 평가했다.
에스더 조지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와 에릭 로젠그렌 보스턴 연은 총재가 지난 7월과 마찬가지로 '동결'을 주장했고,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50bp 인하'를 주장했다. 파월의 취임 이후 FOMC에서 만장일치가 깨진 것은 이번이 세 번째다.
위원들의 이견은 회의 이후 공개된 '점도표'에서도 확인됐다. 투표권이 없는 위원을 포함 총 17명의 위원 가운데 올해 금리 전망과 관련, 한 차례 추가 인하를 내다본 위원은 7명이었다. 5명이 현 상태 유지, 5명이 한 차례 인상을 전망했다.
통상 점도표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은 중간값이지만 시장 참가자들은 이같은 분열상에 더 주목했다. 중간값으로 바라본 위원들의 올해 FF금리 전망치는 1.9%다. 내년 역시 동일하게 예상됐다. 즉, 중간값으로는 올해와 내년까지 추가 인하는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는 얘기다.
◆ 이코노미스트들 '올해 인하 없다' 판단
이코노미스트 다수는 점도표 중간값과 마찬가지로 '올해 금리 인하는 없다'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모양새다. 성명서에서 큰 변화가 없었음을 확인한 이들은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에 힘을 실었다.
이날 파월 의장은 연준이 경제 전망에 대한 판단을 '우호적'으로 유지했다는 점을 거론하고, "(그) 배경에는 올해 연준이 연준이 통화정책 기조를 완화적으로 전환한 것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향후 금리 결정과 관련해서는) 매우 '지표 의존적인' 자세를 취할 것"이라고 했다.
캐피털이코노믹스는 보고서에서 "성명서 문구와 경기 판단이 7월과 거의 달라지지 않았다"며 "정책자들은 경제 성장률의 반등을 기본 시나리오로 두는 모습이고, 이는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이 제한적이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로이터통신은 "파월이 '트럼프의 무역정책 때문에 생겨난 리스크에 대한 예방은 올해 두 차례 금리 인하로 충분히 했다'는 메시지를 내놓았다"며 "경제 지표가 추가로 둔화해 경기 하강이 실현되지 않는 한 추가 인하는 필요하지 않다는 뜻을 밝혔다"고 전했다.
◆ 연준 '초단기 자금시장 통제력'에 의문
연준이 금리정책으로 통제하는 미국의 초단기 자금시장에서는 혼란이 이어지고 있다. 때문에 연준의 단기 자금시장에 대한 '통제력'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전날(17일) 초단기 자금시장에서는 은행간 자금수급이 일시적으로 경색되면서 익일물 레포(RP·환매조건부 채권) 금리가 급등하는 '발작' 현상이 일어났다.
월가의 트레이더 [사진=로이터 뉴스핌] |
이에 연준이 목표범위를 정해두고 기준금리로 타깃팅하는 FF 금리가 범위 상단을 벗어나 5% 안팎을 오가는 등 큰 폭으로 뛰었다. 뉴욕 연은은 전날 531억5000만달러를 포함, 이날까지 1250억달러 이상의 유동성을 레포 시장에 공급했다.
FF 금리는 하루를 만기로 은행끼리 필요한 자금을 무담보 거래할 때 표시되는 금리다. 뉴욕 연은은 유동성을 흡수하는 역(逆)레포 거래를 통해 FF 금리를 연준의 목표범위로 유도한다. 최근 수년 은행들은 주로 레포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
레포 금리가 급등한 이유는 분기 법인세 납부와 국채 입찰 결제 등으로 자금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라는 게 대체적인 설명이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는 연준이 양적완화로 불어난 국채 규모를 축소하는 양적긴축을 진행하면서 은행권의 준비금이 크게 감소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일부는 초단기 자금시장에서 연준에 대한 '신뢰'가 시험대에 올랐다고 표현했다. 제퍼리스의 워드 맥카시 수석 금융 이코노미스트는 "레포 시장에서 일어난 일은 사소한 문제가 아니다"며 "그들이 그것을 통제하지 못한다면, 그 뒤에 금융 위기가 기다리고 있을 것"이라고 로이터에 말했다.
이날 연준은 FF금리의 목표범위를 1.75~2.00%로 25bp 인하하면서도, 초과지급준비금금리(IOER)의 인하(2.1→1.8%)폭은 30bp로 더 크게 내렸다. FF금리가 연준이 목표한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억제하기 위한 차원이다.
한편, 투자자들은 한국시간으로 19일 발표될 일본은행(BOJ)의 통화정책 회의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 지난 7월 구로다 하루히코 BOJ 총재가 추가 경기부양에 대해 '보다 긍정적'이라고 밝힌 만큼 이번 BOJ 회의 결과에는 평소보다 큰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bernard02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