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한가람미술관·바라캇 서울까지 고대전 개최
서울대 김헌 교수 "세계화는 제국이 주도…역사서 답 찾는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최근 박물관과 갤러리, 미술관들이 고대 미술전을 열고 있다. 한국에서는 쉽게 볼 수 없는 로마시대, 그리고 이전 시대의 문화재들이 전시장에 들어서면서 관람객들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 해외 유수 국립박물관과 갤러리에서 온 고대 유물들
여행하는 부부가 묘사된 유골함 [사진=국립중앙박물관] |
국립중앙박물관과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은 해외 박물관으로부터 고대 유물을 선보일 기회를 얻었다. 예술의전당 한가람 미술관에서는 아테네 고고학박물관과 아크로 폴리스박물관 등에서 대여한 유물 240개를 소개하는 ‘그리스 보물전’이 펼쳐지고 있다.
이 전시에서는 그리스 문명과 헬레니즘, 로마화가 된 시기까지 전 로마시대를 훑는다.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소 김헌 교수는 “아주 중요한 보물은 안 왔지만 거의 모든 문명을 총괄하고 있다. 문명권별 중요한 시대의 요소를 파악할 수 있는 보물은 다 왔다”며 “그리스 문명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고 그 연속선상에서 서양 문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고 전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지난 9일부터 ‘로마 이전, 에트루리아’를 통해 로마 이전 시대의 유물을 소개한다. 로마가 탄생할 수 있었던 에트루리아 문명의 이야기다. 에트루리아는 로마시대 이전 이탈리아 반도 중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성장했던 고대 국가다. 에트루리아는 기원전 10세기경부터 1000년 가까이 명맥을 이어온 지중해 고대 국가로 그들의 기원과 언어, 종교는 베일에 싸여있지만 그들이 끼친 문명과 문화는 어마어마하다. 국립중앙박물관은 피렌체국립고고학박물관과 구아르나치 에트루리아박물관 등에서 엄선한 300점의 유물을 공개하고 있다.
헬레니즘 양식의 남성 토르소 [사진=바라캇 서울] |
미술학에 영향을 끼친 고대 시대 문물을 감상할 전시도 준비돼 있다. 125년간 5대에 걸쳐 그리스, 로마, 이집트, 이슬람, 아프리카까지 유물 컬렉션을 보유한 국제적인 갤러리 바라캇은 오는 9월 4일부터 그리스 로마의 고대 예술품을 서울에서 선보인다. 갤러리 바라캇 서울은 ‘고귀한 신화, 위대한 역사’를 통해 그리스와 로마의 고대 예술품 50여점을 엄선해 소개한다. 대표적인 작품은 그리스의 뛰어난 조각 양식을 엿볼 수 있는 신상(神象)과 여신과 인간, 동물의 행렬을 생기발랄한 색채로 묘사한 프레스코화, 섬세하고 화려한 로마시대의 모자이크, 사랑의 신 에로스(로마의 큐피드)가 표현된 석관 조각 등이 있다.
바라캇 관계자는 “이 시대의 시인과 역사가, 예술가들이 성취한 눈부신 업적은 오늘날까지도 우리의 사고와 창작 방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그리스와 로마가 문화적 이상향을 자리매김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이 바로 그들의 미술”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전시를 통해 그리스·로마의 신화와 역사가 결합된 미술적 표현을 확인하고 신화 속의 다양한 이야기가 당대인에게 어떻게 수용되고 소비됐는지 확인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 고대 역사에서 살펴보는 강대국의 세계화 전략
디오니소스와 아리아드네가 묘사된 장식판 [사진=국립중앙박물관] |
김헌 교수는 서구를 중심으로 한 세계화의 역사를 최근 열리는 그리스·로마 전시들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세계화’라는 키워드를 서양 중심으로 보면 알렉산더 제국의 헬레니즘화다. 이는 그리스 문명이 인도 서쪽까지 퍼져나간 사례로 문명의 제도화, 사상화, 규격화의 첫 경험”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로마가 문화, 정치적으로 세계화를 일군 과정에 주목할 만하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헬레니즘 문화는 알렉산더가 죽고 난 후 조각나면서 힘을 잃었고 그런 와중에 로마가 커졌다. 로마의 정치적 식민화가 그리스의 영토를 장악했다. 갈리아(로마제국 멸망 이전까지 프랑스), 브리타니카(현재의 영국)를 넘어섰다”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결국 세계화의 주도는 제국이라고 말했다. 그는 “세계의 흐름은 거대한 제국을 중심으로 확장되면서 제도와 법이 통일되고 규격화되고, 동시에 공통적인 생활의 기반을 만드는 것”이라며 “현대 사회는 ‘경제 대국’이 제국이나 마찬가지”라며 “이러한 틈바구니 속에서 어떻게 살아야하는지, 어떠한 생존 전략으로 구체화해야하는지 역사에서 살펴볼 수 있다”고 주목했다.
이어 “대한민국은 ‘대한제국’이란 말만 있었지 제국의 경험이 없고, 늘 강대국 사이에 있었다. 중국, 러시아, 일본도 제국을 경험한 나라다. 미국도 마찬가지”라며 “제국의 생리를 알아야 제국의 움직임에 대처할 수 있는 강소국의 위상을 가질 수 있지 않을까 싶다”고 강조했다.
89hk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