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제3차 스마트시티 종합계획' 발표
시범도시 기술·서비스, 3기신도시로 확산
전문인력 양성·해외시장 진출 방안 담겨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세종과 부산의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에서 검증한 기술과 서비스를 수도권 3기신도시로 확산한다. 세종과 부산시범도시는 오는 2021년 첫 입주를 목표로 사업을 추진한다.
100곳 이상 도시에 스마트시티 사업을 추진하고 25곳에 도시재생과 연계한 사업을 추진한다. 스마트시티 전문가 과정을 신설해 450명의 전문이력을 양성하고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규제 샌드박스'를 도입한다.
14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제3차 스마트시티 종합계획(2019~2023)'을 내놨다. 이번 종합계획은 스마트시티의 조성과 확산을 위한 중장기 계획으로 스마트시티 생태계 조성과 해외진출을 비롯한 종합적인 지원방안을 담았다.
먼저 세종과 부산에 추진 중인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의 설계를 완료하고 내년 상반기 착공, 오는 2021년 하반기 첫 입주를 계획으로 사업을 추진한다. 시범도시에 적용될 신기술을 체험하고 실증해볼 수 있는 테스트베드 공간은 입주 전 내년 하반기 조성한다. 모빌리티, 스마트그리드, 수소인프라, 헬스케어 등 시범도시에서 검증한 신기술은 수도권 3기신도시를 비롯한 전국으로 확산시킨다.
기존도시 스마트화 사업은 2023년까지 100곳 이상을 지정한다. 기존 공모사업을 앞으로 '스마트시티 챌린지'로 통합하고 도시(대)-단지(중)-솔루션(소) 단위로 사업을 개편한다. 예산을 확대 편성해 내년부터 새로운 체제로 공모사업에 착수한다. 도시재생과 연계한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은 오는 2022년까지 25곳 이상 선정한다.
정부는 이와 함께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을 오는 2022년까지 108개 지자체에 보급하고 이후 전국 보급을 추진한다. 재난·안전 분야 외 복지·환경 분야로 서비스를 확대한다.
연내 허브 플랫폼 초기모델과 데이터 처리기술 개발 등 1단계 기술개발을 완료하고 실증 시나리오와 기초 데이터를 구축한다. 내년부터는 실증을 통한 데이터허브 플랫폼 기술 고도화와 6대 스마트 서비스(교통·안전·행정·에너지·환경·생활복지) 기술개발을 본격화한다. 기술개발과 실증이 완료되는 2022년부터 사업화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스마트시티 전문이력도 2023년까지 450명을 육성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연세대, 서울대, 부산대, 카이스트에 석사과정, 석·박사 통합과정을 신설한다. 지자체, 민간기업, 전문가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 국가정보포털도 연내 구축한다.
스마트시티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규제 개선에도 나선다. 스마트시티 규제를 일괄 해소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형 규제 샌드박스' 도입을 연내 추진한다. 국가시범도시와 연계한 실증사업도 올해부터 새롭게 추진한다.
스마트시티를 신산업 육성을 위한 다양한 거버넌스 구축도 추진한다. 특히 민간기업의 스마트시티 참여 확대를 위해 지난 2월 발족한 '융합 얼라이언스'를 지속 확대하고 회원사를 중심으로 비즈니스 모델 개발과 해외 진출 논의도 본격화한다.
스마트시티 세계시장 선점을 위한 기술 표준화와 함께 2023년까지 100개 내외의 중소·스타트업 창업 지원에 나선다. 혁신서비스 구축을 위한 발주방식 개선, 수요-공급 원활한 매칭을 위한 온라인 솔루션 마켓도 함께 추진한다.
국내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연내 '스마트시티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을 마련한다. 해외 정부, 국제기구, 국제연구기관 간 네트워크를 구축해 해외진출을 적극 지원한다. 오는 9월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를 출범하고 세계적인 수준의 국제행사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배성호 국토부 도시경제과장은 "이번 종합계획은 개별사업 추진 단계를 넘어 혁신생태계 조성과 해외진출 지원에 초점을 맞춰 중장기 정책방향을 도출했다는데 의미가 있다"며 "스마트시티가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시민의 삶의 질을 높임과 동시에 신산업에 대한 투자를 유인하고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혁신성장 플랫폼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