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초등학교 영어교육 내실화 추진
[서울=뉴스핌] 김경민 기자 = 교육부가 ‘영어 말하기 연습 시스템’을 개발해 내년부터 초등학교 현장에 보급할 방침이다. 영어로 의사소통 할 기회가 부족하다는 현장 지적에 따른 조치다.
![]() |
| [서울=뉴스핌] 이한결 기자 =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
교육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초등학교 영어교육 내실화 계획’을 수립해 4일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균등한 영어 교육 기회를 제공해 지역과 소득에 따른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초등학교 3학년부터 시작되는 정규 영어교육에 초점을 맞췄다. 영어교육 진입기의 학습경험이 중‧고등학교 학습의욕과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친다는 전문가 의견에 따른 것이다.
먼저 교육부는 인공지능 기반 자연어 처리 기술을 활용한 ‘영어 말하기 연습 시스템’을 올해 하반기 중 개발해 내년부터 학교 현장에 보급한다.
해당 시스템은 인공지능과 일 대 일 대화 연습 및 학습자 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맞춤형 영어콘텐츠 추천 등을 갖추게 된다. 이를 통해 교육부는 학생들에게 학교 안팎에서 풍부한 듣기‧말하기 기회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내년 상반기 중에 ‘EBSe 온라인 영어독서 프로그램’을 확대 개편한다. 교육부는 오디오북, 텍스트북을 구비하고 확습활동까지 지원하는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읽기의 즐거움과 균형 잡힌 영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판단했다.
이 외에 사교육비 경감과 교육격차 완화를 위해 영어 교과서별‧차시별 학습영상, 중학교 교육과정과 연계되는 초등학교 6학년 겨울방학 영어 프로그램 등 EBS 영어학습 콘텐츠를 확대 제공한다.
또 학교공간혁신 사업 등과 연계해 편안한 학습 공간에서 영어도서‧학습교구‧스마트기기 등을 활용한 자기주도학습 또는 연계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영어놀이터’도 지원한다.
아울러 교육격차 완화를 위해 화상 영어수업, 영어캠프 등도 지원하고 원어민 배치가 어려운 초등학교에 ‘정부 초청 영어 봉사 장학생’을 확대 배치할 예정이다.
이상수 교육부 교육과정정책관은 “이번 내실화 계획을 충실히 추진해 학부모님의 신뢰를 얻고, 학생들에게 흥미와 즐거움을 주는 학교 영어교육을 만들어 가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앞서 교육부는 지난 3월 공교육정상화법을 일부 개정해 초등학교 1~2학년의 방과 후 영어 수업을 허용토록 했다.
kmkim@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