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산업

속보

더보기

빅데이터로 본 중국 상장사 총수, 50대 남성 토끼띠 석사 철강 종사자 많아

기사입력 : 2019년05월06일 10:44

최종수정 : 2019년05월07일 06:30

여성 사장 5%에 불과, 20대 기업인 10명
연봉 최다 최저 수령자 무려 16310배 차이

[서울=뉴스핌] 이미래 기자 = 고학벌 고스펙 고급경력을 갖춘 기업인만 회장을 하던 시절은 지났다. 정보통신기술(IT) 인공지능(AI) 등 비교적 ‘젊은’ 산업이 시장을 장악하면서 다양한 스펙을 갖춘 기업인들이 나타난 것.

이러한 가운데 중국 A주 상장사 총수들의 인적사항을 분석한 자료가 발표돼 주목을 끈다. 거대 시장 중국에서 활약하는 임원들의 특징을 살펴본다.

21데이터뉴스실험실(21數據新聞實驗室)이 A주 상장사 총수 3600여 명의 연령 학력 연봉 등을 분석한 결과 50대 남성 토끼띠 석사 기업인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중국 본토 증시 상장사 고위급 임원(회장 대표 이사장 등)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통계에 따르면 약 3500여개 A주 상장사 임원 가운데 남성은 총 3399명으로, 전체의 94.4%를 차지했다. 여성 사장 수는 200명으로 전체의 5.6%에 불과했다.

3592명 임원의 평균 연령은 만 54세로, 절반 정도가 60허우(后, 1960년대생, 만50~59세)에 속했다. 그 뒤를 70허우(70년대생, 766명)와 50허우(50년대생, 511명)가 이었다. 20대 기업인은 10명으로 0.3%를 차지했다.

최고령 기업인은 중국 케이블 업계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타이양뎬란(太陽電纜, 002300.SZ)의 리윈샤오(李雲孝) 회장과 컴퓨터수치제어(CNC) 공작기계 제조사 하이톈징궁(海天精工, 601882.SH)의 장징장(張靜章) 회장으로, 올해 그들의 나이는 82세다.

반면 최연소 기업인은 올해로 24세가 된 순하오주식(順灝股份, 002565.SZ) 왕정린(王鉦霖) 회장이다. 그는 지난해 7월 취임했으며 연봉은 2만5000위안(약 450만 원)인 것으로 알려졌다. 보유한 지분은 없다.

A주 상장사 총수 대다수는 고학력자로, 특히 석사 학위 소지자가 1615명으로 44.7%에 달했다. 학사 학위 소지자는 1020명(28.3%), 박사는 304명(8.4%)이다. 최종 학력이 ‘초등학교 졸업’인 기업인도 1명(0.028%) 있었다.

총수 간 연봉 격차는 뚜렷했다. 최다 연봉 수령 기업인은 최저 연봉과 무려 1만 6310배의 격차를 보였다.

임금을 공개한 2600여 명의 임원의 평균 연봉은 102만 위안(약 1억7700만 원)이다. 연봉이 1000만 위안인 기업인도 11명에 달했다. 연봉 10만 위안(약 1735만 원) 미만이라고 답한 임원은 72명으로, 최저 연봉은 2500위안(약 45만 원)이다.

‘연봉 킹’은 신소재 그래핀 제조사 팡다탄쑤(方大炭素, 600516.SH)의 당시장(黨錫江) 회장이었다. 2018년 기준 그의 연봉은 4077만 위안(약 70억7200만 원)이다. ‘철의 여인’ 둥밍주(董明珠) 거리전기(格力电器, 000651.SZ) 회장은 연봉 960만 위안으로 12위를 차지, 여성 기업인으로 유일하게 20위권에 들었다.

평균 연봉이 가장 높은 업종은 철강(344만 위안) 부동산(238만 위안) 비은행금융기관(190만 위안) 은행(154만 위안) 비즈니스무역(130만 위안) 순이었다.

매체는 “기업인의 주 수입원은 연봉이 아닌 주식 배당금”이라며 “배당수익이 막대해 공식 연봉이 작더라도 큰 문제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연봉 순위 17위에 그친 팡훙보(方洪波) 메이디(美的)그룹(000333.SZ) 회장은 지난해 연봉(808만 위안)과 주식 배당금으로 총 50억5755만 위안(약 8772억 원)을 벌어들였다.

한편 A주 상장사 임원 중 토끼띠가 408명(11.3%)으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용띠(10.4%) 호랑이띠(9.8%) 뱀띠(8.9%) 말띠(8.5%) 순이었다.

 

leemr@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강선우 청문보고서 재송부 요청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국회에 국방부, 국가보훈부, 통일부, 여성가족부에 대한 인사청문 보고서 송부를 재요청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금주 내에 임명을 마무리하고 신속한 국정 안정을 꾀하기 위해 기한은 오는 24일 목요일로 요청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레젭 타입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현행 인사청문회법에 따르면 국회는 임명동의안 등이 제출된 날로부터 20일 이내에 청문 절차를 마무리해야 한다. 만약 국회가 이 기간 내에 청문보고서를 송부하지 않을 경우, 대통령은 그로부터 열흘 이내 범위에서 기한을 정해 국회에 송부를 재요청할 수 있다. 앞서 이 대통령은 논문 표절 논란이 불거진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지명을 철회했으며, 보좌진 '갑질' 등 의혹이 불거진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임명 절차를 이어가기로 했다. 강 후보자와 관련해 야당뿐 아니라 시민사회단체들로부터도 반대 의견이 잇따르고 있다. parksj@newspim.com 2025-07-22 15:52
사진
[단독] '근로감독관법' 입법 초읽기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근로감독관 직무·권한·수사권 행사 기준 등 근로감독 업무 전반에 대해 체계적인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근로감독관법 제정안이 발의될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이후 근로감독관 증원 의지를 꾸준히 밝혀왔다. 이 대통령 대선 공약에는 임기 내 근로감독관을 최대 1만명까지 늘린다는 계획이 담겼다. 전문가들은 현행 근로감독에 대한 법적 근거가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과 훈령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한 만큼, 증원에 앞서 법체계를 정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21일 국회에 따르면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근로감독관법 제정안 발의를 준비 중이다. 이르면 이번주 발의를 마무리하고 국회 설득에 나설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제4회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제정안은 근로감독의 내용과 감독관의 책임 및 권한 등을 명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반복 위반 및 중대한 위법행위에 대한 즉각적 수사 착수 기준을 밝히고, 정기·수시·특별감독 유형 구분과 감독결과에 대한 처리기준을 명문화했다. 근로감독행정 정보시스템 및 노동행정포털 구축 등 디지털 행정 기반 마련, 권리구제지원관 도입 등 근로감독 역량 강화를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 근거도 포함했다. 전문가들은 근로감독관 증원, 근로감독권 지방 이양 등 근로감독 관련 대통령 공약 사항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법체계 정비가 먼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현행 법체계를 보면 근로감독관에 대한 법적 근거는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인 '근로감독관 규정'이 가장 상위 법령이고, 그 아래 시행규칙인 '근로감독관증 규칙'과 훈령 '근로감독관 집무규정'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하다. 근로감독 내용과 감독관 권한 등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법적 근거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 대통령은 취임 이후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근로감독관 증원 및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 필요성을 반복 강조해 왔다.  이 대통령는 지난 10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과 이를 위한 근로감독관 대폭 증원 등을 지시한데 이어, 지난 17일에는 "산업안전 업무를 담당할 근로감독관을 300명 정도라도 신속하게 충원해 예방적 차원의 현장 점검을 불시에 상시적으로 해 나가기를 바란다"며 구체적 증원 규모까지 언급했다. 이 대통령이 근로감독관 확대를 추진하는데는 근로감독관 인력 부족이 한계치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노동사건은 급격히 증가하는데 반해, 이를 조사할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임금체불 등 근로기준법 분야를 다루는 근로감독관 수는 2236명으로 지난 2019년 이후 정체 현상이 뚜렷하다.  김근주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근로감독관과 더불어 이들이 2~3년마다 순환 근무하는 노동위원회 조사관의 업무가 증폭하고 있어 인원 확충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근로감독) 권한 일부를 지방정부에 이양하는 등의 논의도 있다"며 "이런 부분이 현행 체제로는 가능하지 않아 법체계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이번 제정안을 두고 "독자적인 근로감독법을 제정한다면 근로감독이라는 행정권한의 위상이 법적으로 확립될 것"이라며 "노동행정의 실행력이 강화될 뿐 아니라 일선 근로감독관의 전문성 제고와 집행의 일관성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sheep@newspim.com 2025-07-21 18:0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