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정상 모두 과감·저돌적... '강 대 강' 회담 예상
승부사 같은 행보...공동선언 합의 변수될 수도
“악수·오찬·산책·회담 등 모든 상황 예측불가 많아"
[호치민·서울 =뉴스핌] 민석기 통신원 노민호 기자 정윤영 수습기자 = 2차 북미 정상회담이 불과 이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회담을 어떻게 이끌어나갈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지난해 6·12 싱가포르 정상회담 이후 8개월 만에 27일부터 이틀간 베트남 하노이에서 마주한다.
트럼프 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협상스타일 [그래픽 = 뉴스핌] |
◆ '악수 외교' 트럼프 지난 회담서 김정은과 12초 기선 제압...이번에는?
트럼프 대통령은 각국 정상을 만날 때 저돌적인 '악수 외교'로 기선제압에 나서는 것이 특징이다. 예로 2017년 미일 정상회담에 신조 아베 일본 총리와 19초간 그리고 같은 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회담에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손을 꽉 쥐며 9초간 악수를 나눴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6·12 싱가포르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위원장과 약 12초가량 악수를 강하게 나눴다. 이로써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김 위원장과의 만남에서는 얼마나 오래 악수를 나누며 긴선제압에 나설지 주목된다.
◆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비즈니스맨'
사업가 출신의 트럼프 대통령과 3대째 세습 독재를 이어나가고 있는 김정은 위원장은 사업가적 기질을 공유하고 있다. 두 정상 모두 즉흥적이며 변덕스럽고 주목받는 것을 좋아한다.
존 개러멘디 민주당 하원 군사위원(캘리포니아)은 트럼프 대통령과 관련해 "이 남자는 완전히 통제 불능이니 심호흡을 하고 기도하라" 발언했을 정도로 트럼프 대통령은 과감하고 저돌적인 모습을 보여왔다.
양국 정상의 즉흥적 성격을 미뤄 이번 2차 정상회담에서 역시 '한미연합군사훈련 중단'과 같은 폭탄선언이 나오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 또한 제기되고 있다.
[싱가포르 로이터=뉴스핌] 윤종현 인턴기자 = 단독 정상회담 종료 후 열린 확대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대화하고 있다. 미국 측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존 켈리 비서실장이, 북한 측에서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과 리수용 당 중앙위 부위원장 겸 국제부장, 리용호 외무상이 배석했다. 2018.06.12. |
트럼프 대통령은 제재 완화와 경제 성장이라는 당근을 앞세워 돌이킬 수 없는 비핵화(FFVD)를 북한한테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1차 북미 정상회담 이후 교착 국면이 현재까지 이어진 가운데 이번 협상에서 과연 양측이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 재집권 노리는 트럼프...정치적 명운 걸린 2차 북미정상회담
이번 정상회담의 결과는 트럼프 대통령의 향후 정치적 입지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김 위원장과 '세기의 브로맨스'를 연출하며 한반도 평화에 새로운 역사를 써낸다면 러시아 스캔들 특검 수사 등 본인을 둘러싼 여러 가지 악재를 딛고 재집권으로 향하는 탄탄대로를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2차 북미정상회담을 통해 북한 비핵화 문제가 진전될 경우 트럼프 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수상이 현실화 될 수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북한이 평화협정과 노벨평화상을 놓고 트럼프 대통령을 유혹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싱가포르 로이터=뉴스핌] 윤종현 인턴기자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공동으로 서명한 북미정상회담 합의문을 보여주고 있다. 2018.06.12. |
한편 트럼프는 북한 비핵화와 관련해 '서두를 필요 없다'는 표현을 다섯 차례 반복하며 느긋한 협상을 지휘하고 있다. 2차 북미 정상회담 성과와 관련해 기대치를 낮춰 부담감을 줄이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적대국에서 동반자 관계로 거듭난 베트남을 무대로,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한반도 평화 문제와 FFVD 비핵화를 어떻게 끌어나갈지 결과가 주목된다.
■ 용어설명 FFVD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핵폐기(final, fully verified denuclearization)'를 의미한다. 그러나 사실상 CVID와 말만 달라졌을 뿐 실질적인 의미는 거의 똑같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CVID는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비핵화'를 의미한다. 영문 Complete, Verifiable, Irreversible Dismantlement의 앞글자를 딴 것이다.
CVID는 2003년 미국과 리비아 간 협상 때 만들어진 용어다. 부시 행정부 시절 미국 국무부 브리핑에서 처음 사용된 이후 미국의 공식 입장으로 받아들여졌다.
Yoonge9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