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 호조에도 中 업황 악화에 주가 하락
연초 40만원에서 10개월만에 40% 가량 빠져
보호무역 강화·철강가격 하락 등 악재 산적
“반등 시점 빨라야 내년 2분기” 전망 우세
[서울=뉴스핌] 김민수 기자 = 국내 철강업계 대장주인 포스코의 부진이 길어지고 있다. 호실적에도 주가는 지난 4월 이후 꾸준히 하락하며 25만원선 아래로 밀려난 상태다. 5위권을 유지하던 시가총액 순위 역시 10위까지 밀려났고(29일 종가 기준), 11위인 KB금융과의 격차도 1조원까지 좁혀졌다.
서울 대치동 포스코센터. [사진=포스코] |
이에 대해 시장에서는 내년 상반기까지 뚜렷한 반등 모멘텀을 찾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설득력을 얻는 분위기다.
앞서 포스코는 지난 26일 23만9500원에 거래를 끝내 지난 2016년 11월9일 23만1500원을 기록한 이후 종가 기준 2년 만에 최저치를 경신했다.
반면 방향성은 2년 전과 현재가 극명히 엇갈린다.
2016년 당시 포스코는 계열사 부실과 글로벌 업황 침체에 따른 실적 부진에 몸살을 겪었다. 결국 2015년 창사 이래 첫 적자를 기록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직후인 1월18일 15만5500원까지 추락하며 10년 만에 최저치를 경신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후 뼈를 깎는 구조조정이 효과를 보이면서 포스코 주가도 가파른 반등곡선을 그렸다. 그 결과 그해 11월14일 25만원에 복구했고 2018년 1월 40만원을 돌파할 때 까지 2년간 대세 상승이 이어졌다.
포스코의 매출과 영업이익률 추이 [자료=메리츠종금증권] |
이와 달리 올해는 1월 최고점을 기록한 뒤 10개월 넘게 하락세가 이어지는 중이다. 이 과정에서 3분기 누적 영업이익 1조5000억원을 달성하고, 현금배당 확대 등 주주친화정책에도 공을 들이고 있지만 좀처럼 반전의 계기를 만들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포스코의 현재 부진이 글로벌 업황 부진에 대한 우려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비우호적인 매크로(Macro) 환경이 연중 내내 지속되면서 멀티플(Multiple)이 가파른 조정을 겪었고, 주가를 끌어내렸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중국의 수요 모멘텀 부진은 업종 전체의 투자심리 악화로 이어졌다. 글로벌 수요를 떠받치던 중국의 인프라투자가 한계점에 봉착했고, 미·중 무역갈등까지 겹치며 글로벌 경기 모멘텀에 대한 우려가 확산됐기 때문이다.
변종만 NH투자증권 연구원은 “2016년부터 올해까지 이어진 철강경기 확장 사이클이 정점을 지났다고 판단된다”며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무역전쟁이 격화됐고, 글로벌 경기둔화와 신흥국 금융시장 불안에 대한 우려도 커지며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크게 하락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방민진 유진투자증권 연구원도 “중국의 수요 모멘텀과 공급 통제 의지 약화로 역내 철강재 가격 및 마진 스프레드의 하방 압력이 예상된다”며 “이는 역내 시황에 대한 노출도가 높은 포스코의 실적 모멘텀이 정점을 지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국 철강 유통가격 추이 [자료= Bloomberg, 하나금융투자] |
본격적인 반등 시점도 내년 1분기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밸류에이션 매력은 분명하지만 대외 환경에 대한 불안감을 감안하면 빨라도 2분기 이후 투자심리가 회복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김윤상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철강가격 조정, 신흥국 통화 가치 급락에 따른 이머징 철강사의 수출 확대 가능성 등으로 글로벌 철강 가격 상승 모멘텀은 크지 않을 것”이라며 “내년 1분기까지 철강 업종의 모멘텀 둔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라고 강조했다.
민사영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중국 철강 수요가 둔화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열연 롤마진은 2018년을 고점을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지난 4년간 이어진 구조조정 과정에서 재무건전성을 회복했고, 후판과 냉연의 업황 개선을 통해 글로벌 피어(Peer) 대비 최고 수준의 영업이익률을 달성한 만큼 저평가 매력이 부각될 것”이라고 전했다.
mkim0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