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까지 1617억원 투입..혁신도시·산업단지 연계
2024년까지 신규고용 1만785명·사업화 매출 2조8000억원 예상
[세종=뉴스핌] 최온정 수습기자 = 정부가 내년까지 1617억원을 투자해 시도별로 '국가혁신클러스터'를 조성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2024년까지 신규고용 1만785명, 사업화 매출 2조8000억원을 기대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국가혁신클러스터를 견인할 지역 중핵 182개 기업을 선정해 2022년까지 투자를 적극 유치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국가혁신클러스터는 시도별로 혁신도시·산업단지 등 지방에 있는 핵심거점들을 연계해 조성하는 혁신거점 육성정책으로, 각 시·도의 주도 하에 대표분야 및 혁신 프로젝트를 선정해 키워나가는 것이 골자다.
[자료=산업통상자원부] |
국가혁신클러스터로 지정되면 혁신프로젝트, 기업투자 유치, 보조금·규제혁신·금융·재정 지원 등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우선 국가혁신클러스터는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우대지역으로 지정돼 부지 매입액의 최대 40%, 설비투자비의 최대 24%까지 보조금이 지원된다.
또한 이 사업을 규제자유특구의 규제샌드박스 제도를 연계하는 동시에 입주기업의 인·허가를 외투지역 수준으로 신속하게 처리하는 규제특례도 적용할 예정이다.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특별금융상품(IBK 기업은행)과 정부 R&D 성공기업에 대한 사업화 자금 저리융자 지원도 제공된다.
[자료=산업통상자원부] |
현재까지는 울산·대구 등 14개 시도에서 자율차 서비스·지능형 의료기기 등 다양한 분야를 대표분야로 지원했으며, 산업부는 시도별로 추가 지원을 받아 육성계획을 확정하기로 했다.
한편 산업부는 국가혁신클러스터 계획을 '지역별 나눠주기식 예산 지원방식'에서 벗어나, 지역이 주도하여 산업을 육성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되, 사후평가를 통해 우수한 지역을 집중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사후평가는 지역별 국가혁신클러스터 종합성과를 단계별로 평가하여 글로벌형·일반형·미흡형으로 구분하고 예산 차등 지원(최대 40% 차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예정이다.
이를 위해 산업부는 지자체의 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을 지원할 실무기관으로서, 시도별 '국가혁신클러스터 추진단' 구성하여 운영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25일 제9차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 이러한 내용을 담은 '국가혁신융복합단지 지정 및 육성계획'을 안건으로 상정했다.
균형위를 통해 심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산업부는 지역별 국가혁신클러스터를 오는 11월에 지정 고시하고, 본격 지원할 예정이다.
onjunge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