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선미 기자 = 사우디아라비아(‘사우디’) 유력 언론인 자말 카쇼기(60)가 사우디 왕실의 지시로 암살됐다는 의혹에 따른 파장이 확산되며 내주 사우디 리야드에서 개최되는 국제 투자회의 ‘미래투자 이니셔티브’(FII)에 월가의 굵직한 금융기관들이 연이어 불참을 선언하고 있다.
사우디 왕실을 옹호해 오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마저 카쇼기의 사망을 인정한 후,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도 불참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월가가 ‘사막의 다보스’로 불리는 FII를 완전히 저버린 것은 아니다. 이목을 의식해 최고경영자(CEO)들은 불참하지만 보다 직급이 낮은 임원들은 참석해 사우디 왕실이 전하는 메시지를 들고 돌아올 예정이다. 월가가 사우디를 아직 귀한 고객으로 여기고 있다는 증거다.
실상 기업인과 왕족을 호텔에 연금시켜 놓고 재산을 강탈하는 등 과거 사우디 왕실의 인권 탄압 문제가 불거졌을 때에도 월가는 전혀 흔들리지 않고 사우디 왕실과의 관계를 유지했다.
하지만 카쇼기 암살의 배후가 사우디 왕실이라는 매우 결정적인 증거가 나와 트럼프 행정부가 '전 세계 마그니츠키 인권 책임 법안‘(Global Magnitsky Act, 2016)을 바탕으로 사우디에 제재를 가하기라도 하면 월가의 사정이 극히 난처해질 수 있다.
또한 명예 실추를 감당하고라도 사우디 왕실과 관계를 유지할 가치가 있느냐는 문제도 있다. 현재로서는 월가 은행들이 자신들의 존재 이유는 이익 창출이며, 인권 문제가 불거진 모든 고객을 끊어냈다면 남아 있는 고객이 거의 없을 것이란 변명으로 버티고 있다.
터키에서 실종된 사우디아라비아 유력 언론인 자말 카쇼기 [사진=로이터 뉴스핌] |
그렇다면 대대적인 비난을 감수하면서까지 사우디와의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정말 이익 창출에 도움이 될까?
일단 사우디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의 기업공개(IPO)는 무한정 연기됐다. IPO가 연기되기 전에도 투자은행들에 돌아갈 수수료가 0.2%로 깎였다는 로이터 보도도 있었다. 톰슨로이터 데이터에 따르면, 이는 중국 전자상거래 그룹 알리바바 IPO 당시 35개 은행이 나눠 가진 수수료의 6분의 1도 안 되는 수준이다.
하지만 월가 은행들은 앞으로 사우디가 추진할 사업들에 여전히 기대를 걸고 있다.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실권을 잡은 후 경제 개혁이 가속화되면서 대량 국채 발행, 대대적 민영화, 인프라스트럭처 투자에 대한 기대감이 부풀고 있다. 하지만 과거 사우디가 은행들에 큰 이익을 약속한 경제 전환 사업들이 물거품이 된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대표적인 예로, 빈 살만 왕세자가 추진하는 5억달러(약 5663억원) 규모의 미래지향적 신도시 ‘네옴’ 건설 계획은 10년 전 수포로 돌아간 ‘경제도시’ 계획과 흡사하다.
이익을 좇는 월가 은행들이 조금만 세밀하게 계산해 보면 사우디와의 관계에 따른 이익이 기대만큼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월가가 여전히 사우디를 버리지 않고 있다.
세계 최대 사모펀드인 블랙스톤의 조너선 그레이 회장은 블랙스톤의 인프라스트럭처 펀드에 200억달러(약 22조6500억원)를 약속한 사우디를 저버리지 않겠다고 밝혔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래리 핑크 최고경영자(CEO)도 지난 16일 미국 경제전문 매체 CNBC와의 인터뷰에서 사우디의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국왕이나 빈 살만 왕세자가 카쇼기 암살의 배후로 명확히 드러나면 사우디와의 비즈니스 관계를 끊겠냐는 질문에 “끊지 않겠다”고 답했다.
핑크 CEO는 수년 간 1년에 3~4번 사우디를 방문한다며, “사우디의 친구로서 오랫동안 유지해 왔던 관계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를 중심으로 한 뉴욕의 금융가 [사진=블룸버그] |
g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