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정상회담 후 각국 정상 러브콜, 숨가쁜 외교전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 "9월 유엔총회 연설해달라"
전문가 "김정은, 유엔이라는 세력 업을 수 있어 유리"
김정은 방미 땐 2차 북미정상회담 열릴 가능성 높아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오는 9월 유엔총회에서 연설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외교 보폭을 넓히고 있는 김 위원장이 한반도 주변국들과의 정상외교에 이어 국제 다자외교 무대에 나설지 주목된다.
![]()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2일 열린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악수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김 위원장은 북미정상회담 이후 몸값이 크게 치솟은 상태다. 최근 3개월 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3차례, 문재인 대통령과 2차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한차례 만났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도 정상회담이 예정돼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도 북일정상회담을 추진하겠다는 밝히는 등 주변 4강이 김 위원장에게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김 위원장의 유엔 데뷔 가능성도 한층 높아지고 있다. 안토니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9월 뉴욕 유엔총회에 김 위원장을 초청했다. 정상국가를 추구하는 김 위원장이 유엔총회에 참석할 가능성은 매우 높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김 위원장이 유엔총회 연설을 위해 미국을 가게 되면, 2차 북미정상회담도 열릴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지난 6.12 정상회담에서 서로를 초대한 만큼 향후 워싱턴과 평양에서 북미간 '셔틀 외교'가 이뤄질 수 있다는 얘기다.
◆ 대북 전문가들 "김정은, 9월 유엔총회 연설 가능성 높아"..
권태진 "현재는 어렵다. 북한이 비핵화 조치 취해야 가능할 것" 반론도
![]()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2일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에 앞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전문가들도 김 위원장의 유엔총회 연설과 관련해 북한의 이득이 커서 실현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다만 북한의 비핵화 조치가 현재보다 더 진행돼야 유엔총회 연설이 가능할 것이라는 반론도 있었다.
조진구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김 위원장이 9월에 미국을 방문할 가능성은 충분하다"며 "이를 계기로 남북미중이 종전선언을 할 가능성도 있다. 별도 조약을 만들거나 구체적으로 논의할 필요도 없다"고 말했다.
최강 아산정책연구원 부원장은 "김 위원장의 유엔총회 연설과 남북미 종전선언을 하는 것은 우리 정부가 그리는 시나리오"라며 "김 위원장도 국제무대에 진출함으로써 유엔이라는 또 하나의 세력을 등에 업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최 부원장은 "유엔은 갈등보다는 대화에 무게를 둘 것"이라며 "유엔총회에서 평화와 공존의 메시지를 던지면 미국의 추가적인 제재와 압박을 피할 수 있는 국제적 여론을 만들 수 있어 북한에 나쁘지 않다"고 말했다.
권태진 GS&J인스티튜트 북한·동북아 연구원장은 "김 위원장이 국제무대로 나오는 방안 중 핵심이 유엔"이라며 "미국이 뒷받침해준다면 김 위원장이 유엔에서 연설하는 가회가 주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권 원장은 그러나 "북한이 비핵화에 대한 조치를 한 것이 별로 없어 현 상태에서는 유엔 연설이 가능하지 않을 것"이라며 "유엔 가입국들이 비핵화를 인정할 정도의 조치를 취한다면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dedanh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