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둔형 지도자' 이미지 벗는 김정은, 정상국가화 외교 가속화
3개월 동안 남북정상 2회, 북중정상 3회, 북미정상회담 1회
43일마다 중국 방문...北, 기존 관례 깨고 대대적 보도 '눈길'
전문가 "김 위원장 정상외교 본격화, 9월 유엔총회 갈지도"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비핵화와 경제 개발에 나서고 있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행보가 전 세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
과거 은둔형 지도자로 여겨졌던 김 위원장은 지난 4.27 남북정상회담 이후 문재인 대통령과 2번,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3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2번 만났다. 각국 지도자들과 경쟁적으로 만나면서 은둔형 이미지를 완전히 바꿨다는 평가가 나온다.
고모부인 장성택과 이복형인 김정남을 제거하고 북한 간부들에 대한 잔인한 숙청을 벌였던 포악한 독재자 이미지도 어느 정도 희석시켰다는 평이다. 전문가들은 김 위원장이 6.12북미정상회담 이후에도 중국을 방문, 시진핑 주석과 회동하는 등 외교전을 적극적으로 펼치는 정상국가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더욱 확대할 것으로 예상했다.
[베이징 신화사=뉴스핌] 이동현 기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9일 오후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환영식에서 악수하고 있다. |
◆ 김정은의 방중, 43일 마다 이뤄져 '눈길'
김 위원장의 중국 방문은 최근 3개월 내 세번째 이뤄졌다. 첫 번째 방문인 지난 3월 25~28일 이후 출발일 기준으로 43일 마다 성사된 점이 흥미롭다.
첫 번째 방중은 김 위원장의 2011년 취임 후 첫 외국 방문으로 전용열차를 통해 이뤄졌다. 이 기간 동안 김 위원장은 시진핑 국가주석 내외와 만나 북중 관계를 튼튼히 했지만, 기존 북한 최고지도자의 방문과 마찬가지로 김 위원장의 행적이 철저히 비밀에 부쳐졌다.
김 위원장은 그로부터 43일 후인 5월 7일 전용기인 '참매1호기'로 랴오닝성 다롄으로 이동해 시 주석을 만났다. 당시 도보다리 회담을 방불케 하는 김 위원장과 시 주석의 통역관만 대동한 산책이 이목을 집중시키기도 했다.
세 번째 방중은 두 번째 방중에서 역시 43일 후에 김 위원장 전용기를 통해 이뤄졌다. 특히 이례적인 것은 중국과 북한 매체들이 이례적으로 김 위원장이 중국 땅을 떠나기 전에 방중 사실을 보도한 것이다.
조선중앙통신과 조선중앙방송 등을 20일 오전 7시 쯤 김 위원장의 세 번째 중국 방문 사실과 시 주석과의 회담 내용 등을 보도했다. 과거 북한의 최고지도자가 중국 땅을 떠나 귀국한 후에야 이를 공개했던 과거 관행에서 크게 벗어난 것으로 북한이 외교의 국제적 기준을 따르기 시작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베이징 신화사=뉴스핌] 이동현 기자=올해 들어 3번째 중국을 방문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9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환영회에 부인 리설주 여사와 함께 참석,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및 시 주석의 부인 펑리위안과 함께 기념 촬영을 찍고 있다. |
◆ 조진구 "유엔총회 때 방미, 남북미중 종전선언도 가능"
최강 "김정은 유엔총회 연설, 美 추가 압박 피할 국제여론 조성"
전문가들은 이후 김 위원장이 정상국가 수반으로서의 행보를 더욱 가속화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초청한 9월 워싱턴 초청이 현실화돼 김 위원장이 유엔 총회에서 연설을 하는 모습도 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조진구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북미정상회담도 한번에 끝날 문제가 아니고 북일정상 간에도 있을 수 있다"며 "김 위원장이 9월에 미국을 방문할 수도 있다. 유엔총회 때 김 위원장과 함께 남북미중이 종전선언을 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조 교수는 "현재로서는 조약을 만들거나 구체적으로 논의할 필요도 없다"며 "보기좋은 정치적 선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최강 아산정책연구원 부원장도 "유엔총회를 계기로 남북미 정상회담을 하는 것이 우리 정부가 그리는 시나리오"라며 "김 위원장도 국제무대에 진출해 유엔이라는 또 하나의 세력을 등에 업을 수도 있어 나쁘지 않다"고 분석했다.
최 부원장은 "유엔은 갈등보다는 대화에 무게를 실을 것인데, 유엔총회에서 평화 공존의 메시지를 던지고, 정상적 관계 수렴을 위해 노력할 의향이 있다고 하면 향후 미국의 추가적인 제재와 압박을 피할 수 있는 국제적 여론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dedanh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