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스포츠 축구

속보

더보기

[줌인 유니폼 ②] 프로 야구 구단들, 독특한 유니폼 왜 만들까?

기사입력 : 2018년05월14일 08:01

최종수정 : 2018년05월14일 09:20

연고지 유니폼 등으로 모기업 지원 아닌 '독자생존' 모색

[서울=뉴스핌] 김용석 기자 = 독특한 프로야구 유니폼들이 많아지고 있다.

어린이날 프로야구 구단 LG 트윈스 선수들은 ‘SEOUL’이라는 글자가 새겨진 유니폼을 입고 경기에 나섰다. 서울의 상징색인 단청 빨간색을 적용, 강렬한 인상을 더했다.

프로야구 구단 LG가 선보인 '서울' 연고지 유니폼. <사진= LG 트윈스>

우리가 흔히 보아왔던 기업 로고가 박힌 유니폼이 아닌 지역 이름을 단 특별 유니폼이다. 왜 이것을 만들었을까?

프로구단의 독자생존과 관련이 있다. 예전에는 거의 대부분 모기업의 지원을 받아 구단을 꾸렸지만 조금씩 달라지고 있다.

프로야구 인기와 유니폼 등의 수익을 통해 구단 재정을 튼튼히 하자는 취지다. 하지만 모기업 지원이 없으면 유지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대다수 프로야구 구단은 한해 400억원 가량의 돈을 쓴다.

LG는 지난해 관중 입장 수익 1위 구단이다. 서울 라이벌 구단인 두산 베어스가 132억원, LG가 134억원이다. 서울을 기반으로 한 공격적 마케팅의 결과다. LG와 두산의 잠실구장 광고 수입 80%는 구장 소유주인 서울시가 가져간다.

모기업이 없는 넥센 히어로즈가 지난해 벌어들인 총 수입은 200억원. 이중 순수 마케팅을 통한 수입은 100억원 안팎이다. 중계권료는 약 53억원씩 10개 구단이 모두 동일하게 가져간다.

지난해 메이저리그는 15년 연속으로 수입이 증가해 올해 연간 수입이 사상 처음으로 100억달러(약 10조7000억원)를 돌파했다. 하지만 미국은 ‘야구의 고향’이지만 유니폼에 회사나 브랜드를 달지 않는다.

스폰서를 유치하지 않는 이유는 메이저리그가 미국 문화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유니폼에 광고를 하지 않고도 펜스 광고와 여러 스마트한 마케팅을 통해 수익을 낸다. 입장 관중, 경기장 펜스 등의 광고 수익, 중계권료다. 이중 가장 큰 수익원은 중계권이다. 지역 연고명과 팀 이름만을 사용하고도 말 그대로 ‘메이저리그(Major League) 경영’을 하고 있는 것이다.

팀 이름에 연고 지역 지명과 기업 명을 함께 쓰는 국내 종목도 있다.
프로축구와 프로농구다. 프로축구 구단 FC 서울, 수원 삼성, 전북 현대, 프로농구 구단은 서울 SK 나이츠 등이 있다. 일본프로야구도 최근 도시명과 기업명을 동시에 넣는 쪽으로 방향을 바꿨다.

우리나라에서 연고지 명을 처음 유니폼에 새긴 건 SK 와이번스다. 지난 2005년 연고지 ‘INCHEON(인천)’이란 글자를 새긴 유니폼을 처음 제작했다. 1947년 4대 도시 대항 전국 야구대회에서 우승한 인천야구 대표팀인 ‘인천군(仁川軍)’의 유니폼을 재현했다.

연고지명을 새긴 유니폼은 반응이 좋았다. 롯데 자이언츠도 지난해 동백 유니폼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 연고지 ‘BUSAN(부산)’과 함께 부산을 대표하는 동백꽃 색깔의 유니폼에 입혔다. 동백 유니폼의 때문이었는지 이날 경기는 4일 전에 2만6600장의 표가 모두 팔렸다. 현장 판매 없이 입장권이 인터넷·모바일 예매로만 매진된 것은 롯데 구단 사상 최초의 일이었다. 롯데는 동백 유니폼을 입고 나선 경기에서 높은 승률(10경기 7승3패)을 기록했다.

수원을 연고지로 둔 kt 위즈도 지난해 9월 ‘수원 화성 문화제’를 기념해 ‘정조대왕 유니폼’을 만들었다. 수원 화성을 축조한 정조대왕을 상징하는 용포 이미지를 유니폼에 넣었고, 유니폼에 ‘SUWON(수원)’이란 글자를 새겼다. 삼성 라이온즈와 NC 다이노스 등도 비슷한 형태의 마케팅을 마련하고 있다.

프로야구 원년부터 구단 이름이 바뀌지 않은 팀은 삼성 라이온즈와 롯데 자이언츠 뿐이다.

프로 야구 구단 SK의 인천 연고 표시 유니폼. <사진= SK 와이번스>  

 

롯데의 동백 유니폼. 이 유니폼은 매진이 될만큼 큰 인기가 있었다. <사진= 롯데 자이언츠>

 

fineview@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특검 "尹, 구속연장 없이 기소도 검토" [의왕=뉴스핌] 김학선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재구속된 이후 조은석 특별검사팀의 출석 요구에 잇달아 불응한 가운데 15일 윤 전 대통령이 수감된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 앞의 모습. 특검은 이날 윤 전 대통령에 대해 구속기간 연장 없이 바로 기소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5.07.15 yooksa@newspim.com   2025-07-15 14:38
사진
'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선사시대의 생활문화를 엿볼 수 있는 바위그림인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는 12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한국 정부가 신청한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2010년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15년 만의 결실이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총 17건(문화유산 15건·자연유산 2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반구천의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반구천의 암각화'는 국보로 지정된 울산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포함하는 유산이다.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는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 등이 생동감 있게 표현돼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상화 생태계를 엿볼 수 있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2010년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지난해 1월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했다. 이후 서류 및 현장실사 등 심사를 거쳤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반구천의 암각화'에 대해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인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 단계를 담은 희소한 주제를 선사인들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고 평했다. 이어 "선사시대부터 약 6000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이면서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문화 발전을 집약해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세계유산위원회는 등재 결정과 함께 사연댐 공사의 진척 사항을 보고할 것과 더불어 반구천 세계 암각화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보장하고, 관리 체계에서 지역 공동체와 줌니들의 역할을 공식화하고,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주요 개발 계획에 대해 알릴 것을 권고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이번 '반구천의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는 국가유산청과 외교부,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 해당 지자체가 모두 힘을 합쳐 이뤄낸 값진 결과"라며 "이번 등재롤 계기로 '반구천의 암각화'가 가진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충실히 보존하는 한편, 지역주민과의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는 적극행정으로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상에 알려진 지 50여 년이 지났지만, 세계유산 등재까지는 쉽지 않은 긴 여정이었다"며 "앞으로도 국가유산청은 '반구천의 암각화'를 인류 공동의 유산으로서 가치를 지키고 잘 보존·활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alice09@newspim.com 2025-07-12 18:0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