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일본의 대학진학률은 52.6%, 여성은 49.1%
[뉴스핌=김은빈 기자] 고학력화에 의한 임금 인상 효과가 일본에서 옅어지고 있다.
'대졸자'가 '고졸자'보다 평균 임금이 높기 때문에, 대학 진학률이 올라가면 전체 노동자의 임금도 상승하는 게 일반적이다. 다만 9일 니혼게이자이 신문은 "일본 내 대학진학률이 포화상태에 이르면서 이 같은 임금 상승 효과도 줄어들었다"고 전했다.
도쿄대학교 건물 <사진=도쿄대학교> |
일본 문부과학성의 '학교 기본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의 대학진학률은 52.6%였다. 이는 일본이 '헤이세이(平成)' 연호를 쓰기 시작한 1989년(24.7%)에 비해 2배로 늘어난 수치다. 여성은 같은 기간 14.7%에서 49.1%로 3배 증가했다.
임금은 최종학력에 따른 차이를 낳는다. 후생노동성이 정리한 '임금구조기본법 통계조사'에 따르면 2017년 기준 대학·대학원을 졸업한 남성은 월 평균 39만7000엔의 급여를 받지만, 고졸은 29만엔에 그쳤다.
근속년수에 따른 임금 상승을 나타내는 '임금 커브'도 고졸은 대졸에 비해 완만했다. 45~49세에서는 대졸자가 고졸자에 비해 원 15만7000엔을 더 벌었다.
이에 대학 진학률의 상승은 곧 평균 임금을 상승시켜왔다. 닛세이 기초연구소에 따르면 대학진학률이 급증하던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전반엔 전체 급여가 전년 대비 0.6~0.8%씩 상승했다. 임금 상승률이 2000년대 들어 0%대였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고학력화가 임금 상승을 끌어왔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다만 최근 10년 간은 고학력화에 따른 임금 상승이 0.3~0.5%에 그쳤다. 우상향 곡선을 그리던 대학진학률이 2009년 50%를 넘긴 이후 정체됐다는 점이 원인으로 보인다고 신문은 전했다.
학력에 따른 임금 효과는 앞으로 더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 사이토 타로(斎藤太郎) 닛세이 기초연구소 연구원은 "기업이 고령자 채용을 늘리기 위해 대졸자의 임금 커브도 완만하게 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이에 신문은 "앞으로 임금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베이스 업(기본급 상승) 성과 연동 보수제를 도입하는 게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뉴스핌Newspim] 김은빈 기자 (kebj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