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들 '저녁이 있는 삶'...R&D부문 등 부작용 우려도
[뉴스핌=조아영 기자] 삼성전자 직원 A씨는 최근 오전 7시쯤 출근을 하고 오후 5시가 되면 바로 퇴근한다. 퇴근 시간 눈치를 안 보고,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얻게 된 A씨는 업무 의욕도 높아졌다고 만족감을 표했다.
삼성전자는 이미 지난해 하반기부터 주 52시간 근무에 돌입했다. 오는 7월1일 근로기준법 개정안 적용에 앞서 시범 운영을 통해 미리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응 방안을 마련하려는 취지다.
삼성전자 서초사옥 <사진=양태훈 기자> |
삼성전자는 직원들의 자율적인 근무 시간 관리를 돕기 위해 근태관리시스템의 접근성을 개선하기도 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주 52시간 시대를 대비해 전부터 제도나 시스템 개선 등을 준비해 왔다"며 "다만 직원이 제때 퇴근하지 않으면 팀장이 불이익을 받는다거나, 출장 계획 시 예정 근무시간을 계산해 미리 쉴 수 있다는 내용은 사실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주 52시간 체제로 직원들은 '저녁이 있는 삶' 실현이 가능해졌지만 근무 환경을 감안하지 않은 일괄적 적용은 부작용이 나올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일례로 연구개발(R&D) 부문의 경우 연속성이 중요한데 주 52시간 일괄 적용은 이를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자칫 기술 개발 타이밍을 놓쳐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삼성전자 관계자는 "R&D 부문의 경우 52시간 근무를 일괄적으로 적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예행연습 과정에서 방법을 찾는 중"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 역시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으로 직원들은 '저녁이 있는 삶' 실현이 가능해졌지만 산업 환경에 따른 융통성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김유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근로시간을 단축하면 노동자의 노동 조건이 개선되고 여가생활이 늘어난다"며 "일과 생활의 균형이 가능해진다"고 말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근로시간의 단축으로 고용 창출과 생산성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우광호 한국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산업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으면 근로시간 단축의 본래 취지와 다른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면서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부족한 근로시간이 모두 고용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가정은 다소 현실가 괴리가 있다"고 말했다.
한국경제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부족인원은 26만명, 추가 비용은 12조3000억원으로 예상된다. 추가 비용 중 60%에 달하는 7조4000억원은 제조업에서 발생한다.
[뉴스핌 Newspim] 조아영 기자 (likey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