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드에 빠져봐요, 2017년 중국 10대 국민드라마 (상)

기사입력 : 2017년11월02일 13:42

최종수정 : 2017년11월03일 13:06

콘텐츠 업그레이드 미스터리 범죄 수사극 인기
유쿠가 방영한 명품 웹드라마 백야추흉
청조 말이후 근현대사 조명한 백록원
대진제국3, 하신, 나년화개월정원

[편집자] 이 기사는 11월 1일 오후 4시18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홍성현 기자] 2017년 중국에서는 어느 때보다 많은 드라마가 우후죽순처럼 쏟아져 나왔다. 올해는 촬영 기술과 콘텐츠 질이 업그레이드된 명품 드라마가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인기를 누렸다. 기존 드라마 장르가 사극과 로맨스물에 치중되던 것과 달리, 미스터리 범죄 수사극이 새로운 대세로 떠올랐다. 웹드라마도 양질의 콘텐츠를 보강하며 웹드라마는 가벼울 것이라는 편견을 깨뜨렸다. 2017년 한 해(1월~10월) 화제성과 평점에서 모두 좋은 평가를 받은 중국 드라마 10편을 상하로 나누어 소개한다.

백야추흉(白夜追兇)

-평점: 9.1 /중국 리뷰 사이트 더우반(豆瓣)기준

-출연: 판웨밍(潘粵明), 왕룽정(王瀧正), 량위안(梁緣), 뤼샤오린(呂曉霖)

-장르: 미스터리, 추리물

중국 동영상 사이트 유쿠(優酷)에서 방영된 웹드라마 백야추흉(白夜追兇)은 2017년 방영된 드라마 가운데 가장 평점이 높은 작품이다. 웹드라마도 명품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주었고, 기존 사극과 로맨스물 위주의 중국 드라마 인기 영역을 범죄 수사물까지 확장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수사팀장인 관훙펑(關宏峰)이 일가족 살인 사건 용의자로 공개수배자 신세가 된 동생의 누명을 벗기기 위해 고군분투 하는 이야기를 토대로 드라마는 전개된다. 세세한 부분까지 현실감 넘치게 연출해 실제 같다는 느낌을 주는 고품격 드라마다.

한편, 배우 판웨밍(潘粵明)이 극 중 일란성 쌍둥이로 설정된 관훙휘와 광훙펑 형제 1인2역을 소화한다. 생긴 모습은 같지만 전혀 다른 성격의 형제를 완벽하게 연기했다는 호평을 이끌어냈다.

백야추흉(白夜追兇) <사진=바이두>

백록원(白鹿原)

-평점: 8.8

-출연: 장자이(張嘉譯), 친하이루(秦海璐), 허빙(何冰), 류스치(劉世琦)

-장르: 시대극

백록원(白鹿原)은 수년의 준비기간을 거쳐 만든 77부작 대작 드라마다. 촬영 개시 전 배우 전원이 20여일간 단체 농촌체험을 할 정도로 제작에 공을 들였다. 94명의 출연진, 400명의 제작진이 의기투합해 반세기에 걸친 대서사시를 재현했다. 연기와 연출 모두에 심혈을 기울인 웰메이드 수작이다.

1993년에 발표된 작가 천중스(陳忠實)의 동명소설이 원작으로, 20세기 초 백록(白鹿)이라는 마을에 사는 두 집안의 이야기가 드라마의 핵심 줄기다. 서로 돕고 지내는 한편 미묘한 관계인 두 가문의 3대에 걸친 스토리.

토지개혁, 항일전쟁, 해방전쟁 등 시대의 변천에 따른 중국 사회의 단면을 그대로 보여준다는 평가다. 청나라 말기에서 1970년대에 이르는 중국 근∙현대사를 알고 싶다면 백록원을 추천한다.

백록원(白鹿原) <사진=바이두>

◆ 대진제국지굴기(大秦帝國之掘起 대진제국3)

-평점: 8.5

-출연: 닝징(寧靜), 장보(張博), 왕샤오이(王小毅), 싱자둥(邢佳棟)

-장르: 역사, 전쟁

‘대진제국지굴기(대진제국3)’는 중국 진(秦)나라 시대를 담은 시리즈물 가운데 시즌3에 해당하는 작품이다. ‘속편은 성공하기 어렵다’는 법칙을 깨고 8.5라는 높은 평점을 받았다. 중국에서 드라마 성공(인기) 판단기준인 시청률 1%를 넘겼으며, 최종회의 조회수는 5억3000만회를 기록했다.

중국 진나라 부흥기를 담은 전형적인 역사물로서, 기원전 305년, 진나라 역사상 가장 오래 집권한 군주 소양왕(昭襄王) 즉위 후 56년간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중국 역사 소설가 쑨하오후이(孫皓暉)의 6부작 소설 ‘대진제국(大秦帝國)’이 원작이다.

사극이라고 해서 의도적으로 드라마틱한 설정을 하거나 특정 캐릭터를 우상화하지 않고 최대한 역사적 사실에 충실하게 그려냈다. 실력파 중견배우들의 뛰어난 연기를 감상하는 것도 드라마 대진제국3을 보는 관전포인트 중 하나다. 중국 매체들은 “감탄을 자아내는 배우들의 연기 내공과 상대배우 간 찰떡 호흡이 드라마의 재미를 살린다”고 평가했다.

대진제국지굴기(大秦帝國之掘起 대진제국3) <사진=바이두>

하신(河神)

-평점: 8.4

-출연: 리셴(李現), 장밍언(張銘恩), 왕쯔쉬안(王紫璇), 천위미(陳芋米)

-장르: 미스터리, 탐정

민국시기(民國時期) 수해가 빈번히 일어나자 괴상한 소문이 끊이질 않는다. 강물에서 익사한 시체가 발견되고, 이 사건 용의자로 의심받는 수상 경찰대 대장 궈더유(郭得友)가 지인들과 힘을 합쳐 사건의 진상을 밝히는 미스터리 드라마 ‘하신(河神)’.

중국 동영상 사이트 아이치이(愛奇藝)에서 제작∙방영한 하신은 웹드라마의 완성도 대한 기존의 편견을 철저히 무너뜨린 작품이다. 시청자들에게 “웹드라마 수준이 이 정도로 발전했구나”라는 신선한 충격을 안겨준 것. 탄탄한 줄거리에 정교한 영상미, 여기에 화려한 특수효과까지 더해지며 완성도에 정점을 찍었다.

남자주인공 리셴(李現)은 신인임에도 훌륭한 연기력을 펼치며 드라마를 끌고 가는 핵심 역할을 했다. 리셴이 연기한 궈더유(郭得友) 캐릭터는 2017년 여름 중국 여심을 들썩이게 하며 뜨거운 인기를 누렸다.

하신(河神) <사진=바이두>

◆ 나년화개월정원(那年花開月正圓 꽃피던 그해 달빛)

-평점: 8.4

-출연: 쑨리(孫儷 손려), 천샤오(陳曉), 후싱얼(胡杏兒), 런중(任重)

-장르: 시대극

드라마 나년화개월정원(那年花開月正圓 꽃피던 그해 달빛)은 여주인공이 원톱으로 극을 이끄는 작품으로, 지난해 말 큰 사랑을 받은 사극 금수미앙(錦繡未央)의 뒤를 잇는 또 하나의 수작이다. 최고 시청률 3.4%(동방위성 기준)를 돌파하는 등 드라마의 성공으로 원작소설 안오상부(安吳商婦)까지 베스트셀러 반열에 올랐다.

때는 청나라 말기, 독립적인 사고방식을 가진 주영(周瑩)이 갖은 음모와 고난을 견뎌내며 최고의 거상으로 성장하는 이야기다. 배우 쑨리(孫儷 손려)가 ‘독립적인 여성캐릭터’로 분해 당당한 매력을 발산한다.

구성이 복잡하고 수많은 등장인물이 등장하지만, 거침없이 시원시원한 전개에 배우들의 연기도 선방하며 ‘구멍이 없는 드라마’라는 평가를 받았다. 등장인물간의 갈등 외에 각종 화려한 먹거리들이 눈길을 사로잡아 보는 재미를 더한다.

나년화개월정원(那年花開月正圓 꽃피던 그해 달빛) <사진=바이두>

 

<하편으로 이어짐>

 

 

[뉴스핌 Newspim] 홍성현 기자 (hyun22@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