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성 둔화, 비자발적 임시직, 자동화로 유휴자원 발생"
"임시직 고용 축소와 생산성 향상 강화돼야 임금 오른다"
[뉴스핌=김성수 기자] "중앙은행의 부양책 만으로는 임금 상승률을 끌어올리지 못한다. 임시직 고용 축소와 생산성의 향상이 필요하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세계 중앙은행과 경제 정책 당국자들을 향해 이같이 경고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와 유럽중앙은행(ECB) 등이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논하는 가운데 나온 의미심장한 분석이다.
지난 27일 IMF는 홈페이지에 게재한 다음 달 세계경제전망(WEO)에 포함될 분석 보고서에서, 대다수 선진국의 명목 임금 상승률이 2008~2009년 이후 현저하게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지적했다.
각국의 명목 임금 상승률과 실업률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자료=IMF 보고서> |
각국 정책 결정자들이 임금 상승률 둔화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큰 성과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미국 실업률은 4.4%로 금융위기 후 최고치인 10%에서 크게 하락했다. 그러나 미약한 임금 상승률로 인해 물가상승률은 5년째 연준 목표치인 2%를 밑돌고 있다.
전통적 경제이론은 고용시장이 과열될 경우 물가상승률이 오를 것이라고 관측하지만, IMF는 그러한 설명이 실제와 동떨어져 있다고 지적한다.
IMF는 선진국 고용시장이 지난 10년간 구조적 변화를 겪었다고 설명했다. 생산성 둔화와 비자발적인 임시직 고용 증가, 노동 인력의 자동화(automation)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요소들은 모두 노동시장의 유휴자원(slack)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고 IMF는 분석했다.
IMF는 "중앙은행의 부양책이 수요를 끌어올리고 실업률을 떨어트릴 수는 있다"면서도 "그러나 비자발적인 임시직 고용의 감소 혹은 생산성 증가율 반등이 나타나기 전까지는 임금 상승률이 계속 정체 상태에 놓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중앙은행이 부양책을 축소하는 적절한 속도를 결정하는 과정에서는 실업률 지표에 담겨있지 않은 노동시장의 실제 유휴자원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실업률과 임금상승률 비교 <자료=IMF 보고서> |
[뉴스핌 Newspim] 김성수 기자 (sungso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