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인터넷은행 리스크관리 실패로 조기 폐업
차별화·소비자 편의성 극대화한 은행은 성장세
[편집자] 이 기사는 8월 8일 오후 3시37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김은빈 기자] 영업개시 1주일만에 150만 계좌를 달성한 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 ‘돌풍’이라 말하기 부족함이 없는 수준이다. 한국보다 한 발 앞서 인터넷은행을 받아들인 미국 일본 등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다만 돌풍을 넘어 성공으로 평가받기 위해서는 또 다른 '신의 한 수'가 필요했다.
◆ 2년 새 7배 성장했지만…3년 만에 문 닫아
미국에서 인터넷은행들은 ‘앙팡 테리블(무서운 아이)’이었다. 지난 1995년 영업을 시작한 시큐리티 퍼스트 네트워크 뱅크(Security First Network Bank)는 ‘세계 최초 인터넷은행’이다. 낮은 수수료와 높은 예적금금리를 무기로 화려하게 등장했다.
뒤이어 1997년 탄생한 넷뱅크(Net Bank)도 1997년부터 2005년까지 총자산과 총대출, 총예금이 연평균 60% 이상 성장했다. 또 1999년 영업을 시작한 넥스트뱅크(Next Bank) 역시 실질 자산이 2년 만에 7배로 불어날 정도로 초기에 잘나갔다.
하지만 이들의 질주는 그리 오래가지 못했다. 시큐리티 퍼스트 네트워크 뱅크는 설립 6년 뒤인 2001년 캐나다의 RBC은행에 합병됐다. 넥스트뱅크는 2년만에 7배라는 성장세를 보였지만 영업기간 동안 1억1000만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결국 영업 3년만인 2002년 문을 닫았다. 다른 인터넷은행들도 부실한 재무상태로 영업을 접어야 했다.
전문가들은 이들이 조기 몰락한 이유로 ‘리스크 관리 실패’를 꼽았다. 인터넷은행도 은행인 만큼 철저한 리스크 관리가 기본이 돼야 하지만 이들은 그렇지 못했다는 것.
넥스트 뱅크는 2001년 감독당국의 세부검사에서 고객의 대부분이 서브프라임 등급(저신용자)임이 드러나기도 했다. 빠른 성장 속도만큼 대손 규모도 증가할 수 밖에 없었던 셈이다.
이윤석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초기 흥행보다 중요한 게 리스크 관리”라면서 “미국의 인터넷은행 중 실패한 대부분의 은행이 리스크관리에 실패했었다”고 지적했다.
◆ 철저한 리스크관리 + 차별화가 관건
일본의 인터넷은행은 성공적으로 정착했다. 2001년에 인터넷은행이 첫 등장한 이래로 지금도 높은 성장률을 이어가고 있다. 올해 인터넷은행의 전체 대출금 규모는 전년에 비해 20%가량 증가했다. 대형은행의 증가율이 3%전후라는 점을 고려하면 경이적이다.
그 중 2008년에 등장한 지분은행(じぶん銀行)은 후발주자이면서도 차별화에 성공한 사례다. 일본 최대 은행인 미츠비시UFJ와 이동통신사 KDDI가 공동설립한 지분은행은 소비자 편의성을 극대화했다.
지점번호와 계좌번호를 모두 알아야만 이체가 가능한 다른 일본은행들과 달리, 핸드폰 번호만 알아도 이체가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한 것. 모바일 특화 은행이라는 장점을 살린 서비스였다.
지분은행은 5년만인 2012년부터 흑자로 전환해 현재는 10%이상의 자기자본수익률(ROE)를 기록하고 있다.
2003년 등장한 미국의 찰스 스왑 뱅크(Charles Schwab Bank)는 모기업인 찰스 스왑 증권의 빅데이터, 로보어드바이저 등을 활용해 고객에게 종합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해 성공했다. 또한 애플페이와 연계해 아이폰을 체크카드처럼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도 선보였다. 그 결과 이 은행은 2016년 기준 미국 부보예금 취급기관 중 자산규모 15위에 올랐다.
결국 인터넷은행의 장기 정착에는 철저한 리스크관리와 기술을 통한 차별화가 필요한 셈이다.
전문가들은 인터넷은행의 핵심 경쟁력이 기술인만큼 기술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경영환경을 마련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서승환 한국법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인터넷전문은행은) 기술친화적인 산업인 만큼 ICT기업이 주축이 되어 끌어갈 필요성이 있다”며 “현재같은 소유 구조로는 중장기적으로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뉴스핌Newspim] 김은빈 기자 (kebj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