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해운 구조조정 마무리로 업체 수 감소
"지난해 대상이었던 대기업 빠지면서 신용공여액 줄어"
[뉴스핌=이지현 기자] 국내 대기업 25곳이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됐다. 지난해에는 조선·해운업종의 구조조정이 가장 많았다면 이번에는 건설업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금융감독원은 2017년 정기 대기업 신용위험평가 결과 및 향후 계획을 발표했다.
신용위험평가는 채권은행이 부실징후기업을 판정하기 위한 제도다. 주채권은행은 재무위험, 영업위험 등을 평가해 A~D등급을 매기고 필요한 사후조치를 취한다. C·D등급을 받은 부실징후기업은 워크아웃이나 회생절차를 밟게 된다.
이번 신용위험평가의 평가 대상업체는 금융권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 대기업 1902개사 중 631개사다.
금감원은 이들 중 25개사를 구조조정 대상 업체로 선정했다. C등급을 받은 기업 13곳, D등급 12곳이다. 지난해 구조조정 대상 기업이 32개였던 것과 비교하면 7개사가 감소한 셈.
![]() |
<자료=금융감독원> |
금융감독원은 "이번 해에는 기업 실적이 개선되는 가운데 지난해부터 이어진 조선·해운 대기업 구조조정이 대부분 마무리되어 구조조정대상 업체 수가 전년 대비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구조조정 대상에 포함됐던 STX조선이나 한진해운, 현대상선 등 대기업들이 구조조정 대상에서 빠지면서 대상업체 수가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이번에는 구조조정 대상 업체의 총 자산 및 신용공여액도 지난해와 비교해 대폭 감소했다. 올해 구조조정 대상업체 신용공여액은 2조5000억원으로 지난해 19조5000억원에 비해 17조원 가까이 감소했다. 대상업체 총 자산도 지난해 24조4000억원에서 올해 3조1000억원으로 크게 줄었다.
업종별로는 건설업이 8개사로 5대 취약업종(건설·조선·기계·전자·발전업) 중 가장 많았다. 지난해 6곳이 구조조정 대상이었는데 올해 더 늘어난 것. 이번에는 시행서 4곳도 포함됐다. 뒤를 이어 조선사 3곳, 철강업체 1곳도 선정됐다. 해운업체와 석유화학기업은 이번에 구조조정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지난 수년간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해와 5대 취약업종의 구조조정대상이 지난해 17개에서 올해 12개로 감소했다"면서 "건설업의 경우 업황이 나쁘지는 않지만 부실 위험에 걸쳐져 있던 기업들이 올해 공교롭게 한꺼번에 선정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금융회사 건전성 영향 제한적"
금융당국은 이번 구조조정 대상 기업 선정에 따른 금융회사들의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올해 선정된 구조조정대상 업체에 대한 충당금을 이미 반영해 놨기 때문이다. 올해 3월 말 기준 해당 업체들에 대한 금융회사의 대손충당금은 1조원 가량이다.
구조조정 대상 업체들의 워크아웃, 회생절차 추진에 따른 대손충당금 추가적립액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더욱이 은행권이 3월말 기준 자기자본 약 211조원을 보유하고 있는 등 손실흡수 여력이 충분해 금융회사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이 극히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 |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사진=이형석 사진기자> |
금감원은 이번에 선정된 기업들에 대해 워크아웃 등을 통해 신속한 경영정상화를 유도할 예정이다. 또 올해 하반기 중으로 외부전문기관과 공동으로 신용위험평가 및 워크아웃 기업 사후관리의 적정성을 점검한다는 계획이다.
또 하반기 중 유관기관과 태스크포스(TF)팀을 꾸려 신용위험평가 모형 및 신용위험평가위원회 운영방식 개선을 추진할 예정이다. 신속하고 선제적인 구조조정이 이뤄질 수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한편 금감원은 올해 7월부터 금융권 신용공여 500억원 미만인 중소기업의 신용위험평가도 진행 중이다. 이는 오는 11월 말 완료될 예정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신용위험평가 과정에 기술력과 성장성도 반영해 유망 중소기업이 창업 초기에 부당한 애로를 겪지 않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뉴스핌 Newspim] 이지현 기자 (jh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