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방송'에 고가TV 경쟁력 기회 잃어...대중화돼야 산업경쟁력 ↑
[뉴스핌=정광연 기자] 지상파 초고화질(UHD) 방송이 시작부터 논란을 낳고 있다. 소수의 지상파 직접수신 가구만 볼 수 있어 공중파 취지를 살리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지상파 방송을 직접 수신하는 가구 비중은 5%에 불과하다. 지난해 국내 전체가구가 약 1920여만 가구이니 96만 가구만 지상파 UHD 방송을 볼 수 있는 셈이다.
이마저도 최대치다. UHD 방송을 보기 위해서는 올해 3월 이후 판매된 미국식 UHD TV가 필요한데, 이 제품의 업계 추산 누적 판매량은 100대 수준이다. 별도의 셋톱박스(6만9900원)를 구매해야지만 HUD 방송 수신이 가능한 유럽식 UHD TV 판매량 역시 100만대를 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된다.
결국 어떤식으로 계산해도 현 시점에서 지상파 UHD 방송을 볼 수 있는 가구는 100만을 넘지 않는다. 여전히 200만원 이상의 고가를 형성하고 있는 UHD TV 가격을 생각하면 급속한 시청자 증가를 기대하기도 어렵다.
사실 이런 문제는 UHD 방송 시작 전부터 수차례 지적됐던 부분이다. 지상파의 반발로 TV 시청 가구의 90%에 달하는 유료방송(케이블) 가입자들이 배제됐기 때문이다.
시청권 보장을 위해서라도 지상파와 케이블의 협의가 마무리되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지만, 정부는 별다른 조치 없이 UHD 방송을 강행했다. 결과가 아닌 ‘성과’에 급급했다는 지적이다.
산업 전체를 바라봤을때도 아쉬운 부분이 적지 않다. 모든 국민이 볼 수 있는 지상파 UHD 방송이었다면 프리미엄 TV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수 있고 또한 UHD 방송 대중화도 발빠르게 이뤄질 가능성이 높았다. 많은 기회를 날려버린 셈이다.
시작부터 ‘소수를 위한 서비스’로 전락한 지상파 UHD 방송이지만 해법 모색은 쉽지 않다. 이미 정부가 수많은 조율 ‘기회’를 놓쳤기 때문이다. 서비스 주체인 지상파가 직접수신 가구에만 UHD를 제공하겠다는 방침을 바꾸지 않는 이제와서 정부가 이를 강제하기는 쉽지 않다.
정부는 수도권에만 제공되는 UHD 방송을 올해 12월부터 광역시권(부산‧대구‧광주‧대전‧울산)으로 늘리고 오는 2021년에는 전국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지금처럼 직접수신 가구만 시청이 가능한 상황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UHD는 보는 사람이 없는, 이름뿐인 서비스라는 오명을 피하기 어렵다.
방송 서비스의 본질은 시청자다. 시청자가 아닌 사업자를 위한 정책은 외면받고, 비판받을 수 밖에 없다. UHD가 손님없는 잔치에 그치지 않도록 조속한 개선이 필요하다.
[뉴스핌 Newspim] 정광연 기자(peterbreak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