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H지수 8500선 붕괴..."바닥이냐 아니냐 혼란"
[뉴스핌=이광수 기자] #직장인 A(35)씨는 요즘 한숨이 늘었다. 작년 초 가입한 주가연계증권(ELS)상품을 환매해야할 지, 갖고 있어야할 지 고민이 많다. A씨가 가입한 ELS상품은 홍콩 항셍중국기업지수를 기초 자산으로 하고 있는데 최근 원금손실(녹인·Knock In)구간을 앞두고 있다. 연초부터 중국발 위기로 인해 급락한 탓이다. A씨는 "홍콩H지수가 8000선이 바닥일지 아닐지 판단이 안 된다"며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라고 답답해 했다.
차이나 쇼크에 홍콩H지수 ELS 투자자들이 속앓이 중이다. 자칫 수천억의 원금을 잃게 생겼다. 12일 종가 기준 HSCEI 지수는 8439.31. 수익을 내지 못하니 조기상환율도 급격히 떨어졌다. 환매를 고려하는 투자자들은 많지만 뚜렷한 해결책은 없다. 중국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도 해소될 기미가 전혀 없다.
◆ 투자자 속앓이…“뚜렷한 방법 없어”
여기서 투자자들의 고민이 깊어진다. 이미 큰 손실을 본데다, 위험성까지 점점 커지는 상황 때문이다. 투자자들은 지금이라도 손해를 감수하고 환매할지, 좀 더 기다려 보는 것이 나을지 발만 동동 구르는 상황.
손실구간에 접어든 ELS를 환매하게 되면 원금에서 환매 수수료(투자 원금의 3~7%)와 그동안 하락한 만큼을 제외한 금액을 받게 된다. 이중호 유안타증권 애널리스트는 “투자자들의 입장이 다 달라 지금 시점에서 한 가지 방법으로 투자자들에게 조언할 수는 없다”고 못박았다.
이 애널리스트는 “현재 녹인 구간에 들어간 사람은 환매하지 말고 그대로 있는 것이 낫다”고 조언했다. 시기를 봐가며 더 좋게 환매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어 “만약 지금 상황에서 지수가 추가로 하락한다고 하면 현재 녹인 구간을 앞두고 있는 사람은 빨리 환매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환매를 신청한다고해서 바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당일 종가나 익일종가로 처리되기 때문에 서둘러야 한다는 것.
김지혜 교보증권 애널리스트는 “자금이 급한 경우에는 환매를 하는 것이 낫다"며 "만약 녹인이 아직 나지 않았다면 중도 환매 수수료를 고려해 좀 더 지켜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말했다.
◆ 조기상환율 '뚝'…위험성 계속 늘어
사실 ELS는 '중위험 중수익' 투자 방법으로 6개월이 지나 조기상환 후 다시 ELS에 투자 할 만큼 인기 있는 투자 방법으로 투자자 인기를 끌었었다. 13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홍콩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포함한 ELS 상품은 지난해 전체 ELS 발행 규모(76조9501억)의 40%(46조3364억)를 차지할 정도다.
하지만 작년 말부터 중국 증시가 폭락하자 분위기가 싹 바뀌게 됐다. 수익을 내지 못하니 조기상환율은 급락했다.
차이나 쇼크가 오기 전인 작년 8월 전까지는 괜찮았다. 한국예탁결제원의 자료를 보면 지난해 7월 조기상환 규모는 1885건, 6조9450억원. 하지만 이달 전체 만기상환 규모는 365건, 8174억원에 불과하다. 중국증시가 하락하기 전까지는 수익률을 예상기간보다 일찍 달성해 조기상환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현재는 급격히 낮아졌다.
이기욱 대우증권 연구원은 "2012년 이후 발행된 계단형 조기상환 ELS의 경우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년 평균 조기상환 비율은 97.8%"라고 말했다.
하지만 지난해 8월 중국 증시가 급락하면서 영향을 받은 홍콩H지수가 9000선까지 떨어지면서 조기상환 건수는 '뚝' 떨어졌다. 올해 조기상환 규모(1월13일 기준)는 55건, 2022억이고 만기 상환 규모는 166건, 4947억원이다.
ELS는 특정 평가일에 조기 상환되지 못하면 다음 평가일에 상환될 확률이 절반 아래로 떨어진다. 이기욱 연구원은 "2015년 발행된 ELS 가운데 6개월경과 후 조기 상환된 비율은 33.4%"라고 설명했다. 이 확률은 위험성이 점점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뉴스핌 Newspim] 이광수 기자 (egwangs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