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률 올 2.8%→2.7%, 내년 3.3%→3.2%..소비자물가 올 0.9%→0.7%, 내년 1.8%→1.7% 전망
[뉴스핌=김남현 기자] 경제성장률 2.7%와 3.2%, 소비자물가 0.7%와 1.7%, 경상수지 1100억달러와 930억달러.
한국은행이 15일 수정경제전망을 발표하면서 내놓은 우리경제의 올해와 내년 성적 전망치다. 대내외 불확실성이 여전하지만 잠재성장률 수준의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본 셈이다. 앞서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잠재성장률 수준이 3% 아래로 떨어졌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http://img.newspim.com/content/image/2015/10/15/20151015000200_0.jpg)
다만 성장경로와 물가경로에는 상·하방리스크가 혼재하고 있다고 봤다. 우선 성장경로상 상하방리스크로는 상방리스크로의 경우 미국 및 유로지역 성장세 확대와 국제유가의 추가 하락 등을 꼽았다. 하방리스크는 중국 및 자원수출 신흥국 성장세 둔화,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 증대에 따른 경제심리 위축 등이라고 밝혔다. 이주열 총재는 “내년 경제성장의 위협요인으로는 대내적 요인보다 대외적 불확실성이 더 큰 리스크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물가경로의 상방리스크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감산 가능성 및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로 인한 국제유가 급등, 가뭄 등 기상여건 악화로 인한 농산물 가격 급등 등이라고 봤다. 하방리스크는 중국 경제지표 약화와 글로벌 달러화 강세 등에 따른 국제유가 추세 하락, 내수경기 부진에 따른 수요측면에서의 하방압력 확대 등을 꼽았다.
![](http://img.newspim.com/content/image/2015/10/15/20151015000201_0.jpg)
한은은 경제성장률이 내수부문은 중동호흡기 증후군(메르스) 사태 영향에서 벗어나 개선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대외수요 둔화에 따른 수출부진의 영향으로 경기회복세는 미약하다고 봤다. 다만 내년에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경기가 점차 개선되면서 경제성장률이 3% 초반으로 상승할 것으로 봤다.
성장에 대한 지출부문별 기여도를 보면 내수 기여도가 수출기여도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유가 하락등 수입단가 안정에 따른 교역조건 개선으로 국내소득(GDI) 증가율(5.0%)이 GDP 성장률(2.7%)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했다.
물가 역시 올해 중 저유가 영향과 수요측면에서의 하방압력 지속 등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석유류가격의 소비자물가 하락효과는 내년 1분기(1~3월) 이후 소멸될 것으로 예측했다.
![](http://img.newspim.com/content/image/2015/10/15/20151015000202_0.jpg)
GDP 대비 경상수지 흑자 비율은 지난해 6.3%에서 올해 8% 내외로 상승한후 내년에는 6%대 후반으로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경상수지 흑자규모도 금년중 1100억달러를 기록, 7월 전망시(980억달러)에 비해 흑자폭이 확대됐다. 원유, 철광석 등 원자재의 수입가격 하락 등으로 수출보다 수입감소가 크게 나타나면서 상품수지 흑자폭이 상향조정됐다는게 한은의 설명이다.
한편 이번 전망에서는 올해와 내년 세계경제성장률을 각각 3.1%와 3.4%로 전제했다. 이는 지난 전망치 3.2%와 3.7%에서 하향조정한 것이다. 세계교역신장률 역시 올해 3.3%에서 2.7%로, 내년 4.1%에서 3.2%로 낮춰잡았다. 원유도입단가 역시 올해와 내년 배럴당 61달러와 69달러에서 55달러와 58달러로 내렸다.
[뉴스핌 Newspim] 김남현 기자 (kimnh21c@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