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 증가 따른 경기 부양, 교과서적 이론 안 통해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국제 유가가 지난해 6월 이후 60% 폭락했지만 소비 증가를 포함해 이에 따른 경기 부양 효과는 얻지 못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적어도 지금까지 저유가로 인해 미국 경제가 얻은 것보다 잃은 것이 더 많다는 얘기다.
국제 유가가 폭락하면서 에너지 업계의 수익성 악화부터 글로벌 디플레이션에 이르기까지 적잖은 경고가 불거진 한편 소비가 살아나면서 미국 경제를 부양할 것이라는 기대도 작지 않았다. 소비가 여전히 미국 경제의 70%를 차지하는 만큼 저유가로 인한 소득 증가 효과가 실물경기를 부양할 것.
원유 저장 탱크[출처=블룸버그통신] |
6월 소매판매 지표가 0.3%의 예상 밖 감소를 기록하면서 이른바 저유가의 반사이익이 교과서 속의 이론에 불과하다는 주장에 더욱 무게가 실리고 있다.
골드만 삭스에 따르면 유가 급락 이후 에너지 관련 기업 투자가 급격하게 감소했고, 이로 인해 올해 1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가 0.5%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 상반기 미국 경제성장률이 2.5%에 못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에너지 섹터의 투자 급감에 따른 충격이 결코 작지 않다는 것이 업계 이코노미스트의 지적이다.
저유가에 따른 경기 부양 효과가 일정 부분 발생한 측면이 없지 않지만 이보다 부정적인 파장이 더욱 크다는 판단이다.
골드만 삭스는 유가가 바닥으로 내리 꽂혔던 지난해 말 경기 둔화의 30~40%가 저유가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했다.
지난해 상반기 배럴당 100달러를 훌쩍 넘었던 국제 유가는 올해 3월 배럴당 45달러까지 떨어졌다.
유가 폭락은 에너지 업계를 필두로 미국의 고용시장에도 일격을 가했다. 메이저 석유 업체들이 연이어 대형 장기 프로젝트를 취소하거나 보류하면서 대규모 감원을 단행, 관련 산업까지 고용을 악화시켰다.
유가 급락에 따른 파장이 보다 뚜렷해진 올해 상반기 미국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은 월 평균 20만8000건을 기록했다. 이는 2014년 하반기 월 평균 28만1000건에서 큰 폭으로 떨어진 수치다.
텍사스와 오클라호마, 노스 다코다 등 석유 및 셰일 업체들이 포진한 지역의 고용이 특히 부진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일부 시장 전문가들은 소비자들 사이에 저유가가 중장기적으로 지속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소비 진작 효과를 제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기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