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양회] 환경 '중국 백년지대계' 선포, 관련산업 초호황

기사입력 : 2015년03월03일 17:16

최종수정 : 2015년03월09일 09:01

[뉴스핌=조윤선 기자] 중국 최대 정치 행사인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환경문제가 중점적으로 다뤄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중국 자본시장에서는 '환경'이 핵심 테마로 부상했다. 

양회를 앞두고 방영된 '스모그 조사: 돔형 지붕 아래서′라는 제목의 다큐멘터리가 중국의 심각한 환경문제를 또 다시 도마위에 올려놓았다. 전직 CCTV(중국 중앙 텔레비전) 아나운서 차이징(柴靜)이 중국 대기오염의 심각성을 알린 이 다큐멘터리는 하루만에 1억뷰의 클릭 수를 기록했고, 10만건의 댓글이 달릴 정도로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환경문제가 경제발전과 민생개선을 위해 중국이 조속히 해결해야 할 중요 문제이자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면서, 향후 환경과 관련한 정부의 각종 정책이 잇따라 시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의 관심을 반영하듯 2일 A증시에서도 환경보호 관련 테마주가 폭등해 눈길을 끌었다.

그래픽: 송유미 기자.
◆양회 핵심의제 '환경', 정책 호재로 '훨훨'

허쉰망(和訊網) 등 중국 매체는 양회에서 환경문제가 핵심의제로 다뤄질 것이며, 2015년은 환경 정책 추진의 '원년'이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시진핑(習近平) 정부가 제창하는 국가 발전 비전 '중국몽(中國夢)'에서도 양호한 생태환경 조성을 강조하고 있는 만큼 중국의 환경 사업은 속도를 낼 것이란 전망이다.

게다가 중국의 환경보호 산업은 선진국에 비해 뒤쳐져 있어 향후 성장 여지도 크다. 2013년 기준, 환경 투자가 중국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6%에 불과했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이 비중이 각각 2.25%, 2.45%에 이른다. 따라서 향후 10년간 중국의 환경투자가 15% 가량 급증할 것이란 관측도 나왔다.

국태군안(國泰君安)증권 애널리스트 왕웨이(王威)는 "환경보호주 투자의 최적의 시기가 도래했다"며 "환경 관련 정책들이 출범하면서 중국 환경산업이 성숙해지고 관련 업체의 실적이 개선되는 등 업계가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역대 최고로 엄격하다는 신(新)환경보호법이 1월 1일부터 시행됐고, 수질오염 개선을 위한  '수(水) 10조'가 상반기안에 발표되고 올해 전면적으로 실시될 전망이다. 토지환경 정화를 위한 '토(土) 10조'도 하반기 출범을 앞두고 있다. 이밖에 중국은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 처리, 탄소배출권 거래제도, 환경세 등의 내용을 담은 '국가환경보호 13·5 규획'을 편성하고 있다.

화태(華泰)증권 수석 애널리스트 쉬뱌오(徐彪)도 "환경 테마는 우리가 주목하는 올해 가장 유망한 투자 분야"라며 "향후 중국의 환경 시장은 10조 위안(약 1740조원)에 육박하는 거대시장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기오염 오수처리 토양정화 등 환경 테마 '주목'

환경 분야가 양회 주요 의제로 부각되고, 관련 정책 호재가 예상되면서 A증시 환경테마주가 들썩이고 있다.

양회 개막을 앞둔 2일 A증시에서는 대기오염 관련 섹터가 7% 넘게 폭등하는 등 환경보호 관련 종목 주가가 일제히 상한가를 기록했다. 환경 관련 종목 주가 상승세는 정협과 함께 양회가 개막하는 3일에도 이어졌다.  

중국 증권전문 매체 증권일보(證券日報)는 초미세먼지 관련 60개 개별종목이 2일 상승세를 보였고, 이 중 22개 종목이 상한가를 쳤다며, 비달환보(菲達環保 600526.SH), 취광과기(聚光科技 300203.SZ) 등 관련 종목을 눈여겨 볼 것을 조언했다.

이날 상덕환경(桑德環境 000826.SZ) 등 토양정화 종목과 박세과(博世科 300422.SZ) 등 오수처리 종목도 급등세를 보였다.

일부 전문가들은 구체적으로 대기오염 방지와 관련된 ▲탈황탈질 기술 관련 업체 ▲초미세먼지 배출 억제 관련 기업 ▲공기정화기 생산업체에서 투자기회를 포착할 것을 제안했다.

또한 탈황 설비 기술과 관련해서는 국전청석(國電清晰 002573.SZ), 용원기술(龍源技術 300105.SZ) 등 종목을, 초미세먼지 억제와 관련해서는 용정환보(龍淨環保 300203.SZ), 과림환보(科林環保 002499.SZ)를, 공기정화기 관련해서는 창원과기(創元科技 000551.SZ), 메이디그룹(美的集團 000333.SZ) 등 종목을 추천했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정부조직 개편 방식 '안갯속' [서울=뉴스핌] 윤채영 기자 = 이재명 정부의 조직 개편 발표가 오는 8월 13일로 정해진 것으로 확인됐다. 국정기획위원회는 이달 말 대국민보고를 할 계획이었지만 미뤄지면서 정부조직 개편의 구체적인 방식은 안갯속이다. 26일 뉴스핌 취재를 종합하면, 국정위는 정부 조직 개편안 등을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고하며 막바지 정리 작업 중에 있다. 개편이 유력한 기획재정부와 검찰 조직 등에 대한 추가 검토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이한주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장.2025.07.22 gdlee@newspim.com 국정위는 당초 이달 중 대국민보고 등 주요 일정을 마칠 계획이었다. 국정위의 법적 활동 기한은 60일로 오는 8월 14일까지 활동할 수 있다. 1회 한해 최장 20일까지 연장할 수 있지만 국정위는 조기에 활동을 마무리 하겠다고 했다. 국정위의 속도전에 제동이 걸린 데는 정부의 첫 조직 개편인 만큼 조금 더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와 산업자원통상부의 기후와 에너지 파트를 분리해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는 과정에서 각 부처의 반발도 나오는 점 등이 대표적이다. 또 이 대통령이 이달 말에서 내달 초 방미 일정이 잡힐 수 있다는 점도 정부조직 개편이 늦어진 배경인 것으로 전해졌다. 1차 정부조직 개편안에는 기재부의 예산 분리 기능과 검찰청 폐지가 담길 것이 유력하다. 조승래 국정위 대변인은 앞서 "기재부 예산 기능을 분리하는 것과 (검찰청의) 수사와 기소 분리는 공약 방향이 명확하다"고 말했다. 기재부 조직 개편은 ▲예산 편성 기능을 분리해 과거의 기획예산처를 되살리고 나머지 기능은 재정경제부로 개편하는 안 ▲예산처가 아니라 재무부를 신설하는 안 ▲기재부 내에서 기능을 조정하는 안 등이 거론돼 왔다. 이 방안들을 놓고 국정위는 검토하고 있다. 현재는 기획재정부를 기획예산처와 재정경제부로 나누는 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국정위는 초안 등과 관련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는 상황이다. 검찰청 폐지 골자의 검찰 조직 개편안도 이번 조직 개편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여당에서는 검찰의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는 내용의 '검찰개혁 4법'을 발의했다.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발의한 법안에는 검찰 권력의 핵심인 기소권은 법무부 산하에 공소청을 신설해 여기로 이관하는 내용이 담겼다. 수사권은 행정안전부 산하에 중대범죄수사청을 신설해 이곳으로 넘기기로 했다. 다만 수사권을 행안부 산하에 둘지 법무부 산하에 둘지를 두고는 여권 내에서도 이견이 있어 더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개편 방안을 놓고도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금융위 해체 차원의 '금융위 정책과 감독 기능 분리' 조직 개편안이 유력했다. 그러나 최근 여당에서 기획재정부 내 국제금융 업무를 금융위로 이관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하며 '금융위 존치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론에 제동이 걸렸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이 역시도 오리무중인 상황이다. ycy1486@newspim.com 2025-07-26 07:00
사진
특검, 한덕수 자택·총리공관 압수수색"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내란특검팀이 24일 국무총리 서울공관에 대한 압수수색에 들어갔다. 국무총리실은 이날 문자 공지를 통해 특검팀의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검은 이날 한덕수 전 총리 자택 압수수색에도 나섰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내란 특검 사무실에서 조사를 마치고 차량으로 이동하고 있다. 2025.07.02 leehs@newspim.com 한 전 총리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계획을 알고도 이를 묵인 또는 방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검은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한 전 총리 등을 다시 조사한 뒤 구속영장 청구 여부 등을 검토할 전망인 것으로 알려졌다. sheep@newspim.com 2025-07-24 13:5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