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설연휴후 A주를 움직일 14가지 이슈(上)

기사입력 : 2015년02월25일 10:50

최종수정 : 2015년02월25일 13:37

[뉴스핌=중국본부] 

중국증시가 장기 설연휴(18일~24일)를 마치고 25일 개장함에 따라 향후 주가 향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상하이종합지수가 연휴시작 전날(17일)까지 7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보인데다 설 연휴중 주요국 증시가 상승한 점을 들어 연휴 이후 중국증시에 대체로 호황장이 전개될 것으로 점치고 있다.  또한 2000년~2014년 까지 15년간 설연휴 이후 A주 주가를 분석한 자료에서도 11회는 오르고 4차례만 하락, 상승확률이 약 7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대감을 더해줬다.  

올해 설연휴기간중에는 A증시를 둘러싸고 어느때보다 많은 재료와 이슈가 터져나왔다.  시장을 뒤흔 들 유화분야의 메가톤급 M&A설, 모바일 결재시장의 용쟁호투 , 석유를 팔고 농업을 찍은 버핏의 투자행보, 후강퉁 공매도 개시, 안방보험의 동양보험인수  등이 대표적인 내용이다. '장기 휴가'끝에 25일 재개장하는 A증시가 국내외에서 발생한  숱한 재료와 이슈에 어떻게 반응할지 모두 14가지 항목으로 나눠 내용과 시장 영향 등을 정리해본다
.  

1. 페트로차이나-시노펙 합병설

18일,  중국 정부가 미국 최대 석유기업인 엑손모빌에 필적할 수 있는 국유기업을 만들고, 저유가시대 석유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 자국 석유 기업의 합병을 검토 중이라는 사실이 월스트리트저널을 통해 전해졌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지도부의 요구에 따라 중국 정부 경제고문은 업계 통합 가능성 여부를 연구 중에 있으며 페트로차이나(中國石油· 중국석유 CNPC)와 시노펙(中國石化 중국석화), 중국해양석유(中國海油·SNOOC)와 중국화공(中國化工·CHEMCHINA)이 각각 합병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페트로차이나와 시노펙이 합병할 경우 세계 최대의 석유업체가 탄생하는 것으로, 단기내 중국 대부분의 오일가스 생산을 독점하게 되고 수천억 달러의 자산을 확보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같은 보도에 대해 페트로차이나와 시노펙·중국해양석유·중국화공 모두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은 상태나, 18일 당일 H주에 상장 중인 시노펙과 페트로차이나의 주가는 각각 4.65%, 3.10%씩 급등했다.

한편 증시 전문가들은 중앙기업의 구조조정이나 합병·개혁 등의 소식이 A주에 호재라고 분석한다. 앞서 고속철 제조업체인 중궈난처(中國南車)와 중궈베이처(中國北車)의 합병 관련 보도가 나온 뒤 두개 종목 모두 3% 가량 올랐으며, 비록 소문에 그치긴 했지만 차이나유니콤(中國聯通)과 차이나텔레콤(中國電信)의 합병설이 나왔을 때도 차이나유니콤 주가는 무려 20% 이상 폭등한바 있다.

일각에서는 이같은 대형 국유기업의 합병 방안 대부분이 브레인스토밍 혹은 상식을 깨는 연구 중에서 나온 것이 많을 뿐 꼭 실현될 수 있는 계획은 아니라며 지나친 기대감에 우려를 표시했으나,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합병이 추진될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중론이다.

실제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해 8월 "국유기업은 여전히 '국가경제의 중요한 대들보'로, 정부가 국유기업의 번영과 발전을 반드시 확보해야 한다"며 "국유기업을 강하게 키우는 것은 위대한 부흥을 실현하는 관건"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2. 웨이신(微信, 위챗) 등 모바일결제 세뱃돈(훙바오, 紅包) 급증,  테마주 주목

올해 춘제(春節, 음력설)를 보내는 중국인의 모습은 예년과 사뭇 달랐다. 온 가족이 모여 춘완(春晩,CCTV에서 방영하는 설 특집 프로그램)을 보는 대신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며 웨이신 ·즈푸바오(支付寶·알리페이) 등이 지급하는 설 훙바오를 받기에 여념이 없었던 것.

턴센트(騰訊) 재경이 인용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웨이신이 광고업체와 함께 지급한 현금 훙바오는 5억 위안으로 18일 하루 동안 웨이신 가입자들은 10억1000만 건의 훙바오를 주고받았으며, 훙바오 발송량이 최고조를 이루었을 때는 분당 8억1000만 건의 훙바오가 발송되었다. 알리바바그룹의 모바일 결제 플랫폼 즈푸바오 또한 가입자에게 6억 위안의 훙바오를 지급했으며, 특히 마윈(馬雲) 회장은 본인이 직접 100만 건의 현금 훙바오를 지급했다. 18일 당일 즈푸바오 훙바오 발송량은 2억4000만 건에 달했으며 참여자 수는 연인원 6억8300만명, 지급된 훙바오 금액은 40억 위안에 육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온라인상에 떠도는 또 다른 통계에서는 불과 2일 동안 웨이신이 약정 개인 모바일뱅킹 카드 2억장을 발급한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웨이신 훙바오 받기에 참여했던 사람이 지난해 800만 명에서 1년 만에 폭증한 것에 대해 업계 전문가들은 인터넷 산업과 모바일 결제 시장의 거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따라서 연휴 이후 A주에서 이들 업계의 종목이 계속해서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점치며 신대륙(新大陸, 000997.SZ)과 증통전자(證通電子, 002197.SZ) 등에 주목할 것을 제안했다.

3. 투자 귀재 워렌 버핏, 석유팔고 농업기계와 IMB 지분 늘려

2월 20일 오전 미국 언론을 통해 지난해 하반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BRK.A)가 세계 최대 농기구 제조사인 디어앤드컴파니(Deere&Company) 지분을 대량 매입했다는 소식을 보도했다. 버핏의 지분 매입은 비공개로 진행되었으며, 그의 참여로 디어앤드의 주가는 작년 4분기에만 12.6% 오른 것으로 전해졌다.

농기계 분야에 대한 투자와 함께 버핏은 지난해 4분기 IBM의 주식 650만 주를 추가로 매입하며 IBM 지분 보유율을 7.8%로 늘렸다. 버핏이 IBM의 주식을 처음 매입한 것은 2011년의 일로, 당시 이미 IBM의 최대 주주가 되었다.

반면 유가하락에 버크셔 해서웨이는 지난 4분기 보유중이던 엑손모빌 주식을 전량 매각했고, 정유회사인 코노코필립스의 주식 47만주 역시 팔아치웠다.

'투자 귀재' 워렌 버핏은 줄곧 자본시장의 '풍향계'로 통하며 시장 주류자금의 향방을 결정했고, 관련 테마주 및 섹터의 가격 변동에 영향을 끼쳐왔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버핏이 농기계 종목과 IT 종목에 대한 투자를 늘린 배경을 분석하며 ▲길봉농기(吉峰農機, 300022.SZ) ▲일타고빈(一拖股份, 601038.SH) ▲신연고빈(新研股份, 300159.SZ) 등 농기계 테마주와 ▲랑조정보(浪潮信息, 000977.SZ) ▲화동컴퓨터(華東電腦, 600850.SH) ▲동유과기(同有科技, 300159.SZ) 등 컴퓨터 및 빅데이터 종목에 주목할 것을 제안했다.

4. 대도시 부동산시장 침체, 중소형도시 부동산 투자열 재점화

올해 춘제 기간, 중국 중소형(이삼선) 도시의 부동산 업체들은 휴식 대신 부동산 매매 판촉행사를 벌였다. 명절을 쇠러 고향을 찾은 귀성객들을 잡기 위해서였다.

최근 일부 대도시의 지나치게 높은 가격으로 인해 고향에 집을 사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타이위안(太原)·청두(成都) 등 2·3선 도시에서는 새로운 부동산 투자 붐이 일고 있다. 특히 지난해 대부분 중소형 도시들이 부동산 구매제한 정책을 폐지한 것이 촉매제가 되었다는 풀이다.

한 조사기관 통계 결과에 따르면, 청두·충칭(重慶)·선양(沈陽)·창사(長沙)·정저우(鄭州) 등 인구유출량이 상당한 도시가 귀성 부동산 투자가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시장 과열 억제정책으로 중국 경제 성장을 지탱해왔던 부동산 시장이 무너질 것이라는 전망도 있었으나 한편에서는 중국만의 특수한 상황이 부동산 시장을 구제할 것이라는 관측도 힘을 얻고 있다.

즉, 부동산은 오래된 투자 방식으로 특히 금리와 부동산 가격이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도시의 근로자들에게 있어 중소형 도시의 부동산 구매는 필연적인 선택이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리커창(李克强) 총리 역시 "중국 부동산의 필수 수요는 장기적인 것"이라고 밝힌바 있으며, 따라서 부동산주 또한 하향기를 거쳐 반등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금리 인하가 부동산주 반등에 최대 호재가 될 것이라는 전망 속에 ▲상실발전(上實發展, 600748.SH) ▲광우발전(廣宇發展, 000537.SZ) ▲중남건설(中南建設, 000961.SZ) 등 2·3선 도시의 부동산주에 주목할 만하다.

5. 안방보험(安邦保險), 韓 동양생명 인수 등 국내외 기업 M&A 가속

중국 최대 보험사인 안방보험이 16일 네덜란드의 비바트(VIVAT)보험 지분을 매입한 데 이어 17일 우리나라의 동양생명에까지 손을 뻗치는 등 국내외 투자에 부동산 및 금융분야 투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에 관해 업계는 실물경제가 불안한 상황에서 주가가 낮을 때 주식을 사들이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며, 안방보험의 투자에서 교훈을 찾을 것을 제안했다.   

 6. 후강퉁 공매도 3월 2일 시행

중국이 다음달 2일부터 후강퉁(상하이-홍콩 주식 교차거래) 공매도 거래를 허용하면서 A증시에 미칠 영향에 귀추가 주목된다.

중국 금융당국은 후강퉁 공매도를 허용하는 대신, 거래에 많은 제한규정을 마련해 무분별한 공매도 거래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이를테면 후강퉁을 통해 중국 A주에 투자시 무담보 공매도(주식이 없는 상태에서 파는 것)는 불가능하며 차입공매도만 가능하다. 일일 공매도 수량은 중국증권등기결산공사(한국의 예탁결제원)에 개설된 홍콩예탁결제기관(HKSCC) 거래 A주 계좌 주식 총수의 1% 이내로 제한된다. 롤오버(만기연장) 시기 공매도 수량도 10 영업일의 5%를 넘을 수 없다.

중국 매체는 후강퉁 공매도에 대한 제한규정을 둔 것은 공매도가 활성화될 경우 주가가 급격히 출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며, 현재 후강퉁 누적 거래액이 1000억 위안(약 18조원)을 넘겼고 외국 투자자들이 이성적인 투자를 하고 있기 때문에 공매도가 A증시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분석했다.

7. 그리스 채무 상환기간 연장, 금값 약세 예상

유로존 재무장관 협의체인 유로그룹이 그리스의 경제 개혁안을 승인, 그리스가 만기를 앞둔 2400억 유로 규모의 구제금융 상환을 4개월 뒤로 미룰 수 있게 됐다.

중국 매체는 그리스가 채무 상환기간 연장으로 유로존 탈퇴 위기를 모면하면서, 금값 하락 압력이 커질 것으로 전망, A증시에서 금과 관련한 비철금속 섹터 주가 조정 리스크에 주의할 것을 조언했다.

올해들어 국제 금값은 급등락의 '롤러코스터' 장세를 연출하고 있다. 지난 1월 22일 온스당 1300달러를 돌파했던 금값은 현재 온스당 1200달러 밑으로 떨어졌다.  <下편에 계속>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단독] 日 여행객 'K-쌀' 사간다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일본 여행객이 한국을 방문, 한국 쌀을 직접 구매해 들고 나가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일본 내 쌀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밥맛 좋은 한국 쌀'이 대체제로 급부상하면서 벌어지는 현상이다. 3일 <뉴스핌>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동안 일본 여행객이 한국에서 직접 구매해 일본으로 들고 간 국산 쌀은 3만3694kg로 집계됐다. 일본은 지난 2018년부터 휴대식물 반출 시 수출국 검역증을 의무화한 나라로, 병해충과 기생식물 등 식물위생 문제에 매우 엄격하다. 특히 쌀처럼 가공되지 않은 곡류는 검역 과정이 매우 까다롭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여행객들의 한국산 쌀 열풍은 지속됐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일본 여행객이 반출한 국산 쌀은 1310kg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상반기에만 무려 25배 이상 급증했다. 같은 기간(2024년 1~6월)으로 비교하면 작년 106kg에서 올해 3만3694kg로 약 318배 증가한 셈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일본 여행객들의 '쌀 쇼핑'이 열풍을 불면서 관련 문의가 급증했다"며 "한국쌀이 일본쌀에 비해 맛과 품질이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인식이 생기면서 반출되는 양도 많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쌀을 화물로 탁송하는 사례도 동반 상승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화물검역을 통해 일본으로 수출된 국산 쌀은 43만1020kg에 달한다. 지난해 화물 검역 실적이 1.2kg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폭증 상태다. 업계에서는 이번 흐름이 국산 쌀에 대한 일시적 특수로 끝나지 않고 국내에서 정체된 쌀 소비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임정빈 서울대 농경제학과 교수는 "일본에서 쌀 가격이 두 배 이상 올랐으니 한국에 와서라도 쌀을 구매하는 여행객이 늘어난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다만 일본의 쌀 관세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한국 쌀의 가격만 보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국산 쌀의 품질이 높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도 합격점이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영종도=뉴스핌] 윤창빈 기자 = 1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 중국발 여행객들이 입국하고 있다. 2023.03.11 pangbin@newspim.com 정부 역시 이같은 수요에 대응해 일본 관광객을 대상으로 검역제도 안내·홍보에 나서기로 했다. 현재는 농림축산검역본부를 통한 사전신청, 수출검역, 식물검역증 발급, 일본 통관까지 최소 3단계 이상이 요구된다. 다만 한국 쌀을 일본으로 반출할 때 한국에서 식물검역증을 발급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일본 관광객이 일본에 돌아가 쌀을 폐기하는 일이 생기면서 홍보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농식품부 고위 관계자는 "지난달 오사카 엑스포 현장 방문을 계기로 일본 농림수산성과 예방할 기회가 주어졌는데 그 자리에서 쌀 검역 문제가 논의됐다"며 "한국 정부는 일본 여행객이 애써 한국 쌀을 구매한 뒤 일본으로 돌아가 폐기하는 일이 없도록 제도 홍보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plum@newspim.com 2025-07-03 11:10
사진
내란특검, 尹재판 증인 72명 신청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서 증인 72명을 추가 신청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3일 내란우두머리·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윤 전 대통령의 9차 공판기일을 열었다.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 [사진=뉴스핌DB] 특검 측은 앞서 1차로 38명의 증인을 신청한 데 이어 이날 재판부에 증인 72명을 추가로 신청하겠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오는 10일 열릴 10차 공판에서는 이날 증인신문을 마치지 못한 고 전 처장에 이어 정성우 전 방첩사 1처장(준장), 김영권 방첩사 방첩부대장(대령)을 불러 신문할 예정이다. 정 전 처장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선관위 전산실 통제와 서버 확보를 지시받은 인물이며 김 부대장은 비상계엄 당일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지시받을 당시 함께 합참 지휘통제실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재판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은 조은석 특검이 검찰로부터 사건을 이첩받은 절차가 위법해 무효라고 주장했으나, 특검은 "법과 상식에 비춰봤을 때 납득할 수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하며 신경전을 벌였다.  sykim@newspim.com 2025-07-03 20:4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