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 국민 극작가 헨리 입센의 대표작 중 하나인 ‘사회의 기둥들’은 1877년에 쓰인 것이다. 137년 전 완성된 이 희곡은 연극사에 있어 ‘근대극으로의 전환점’이 된 실질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김광보 연출에 따르면 헨리 입센의 원작을 거의 각색하지 않고 그대로 무대에 올렸다. 그럼에도 작품은 놀라울 정도로 지금 이 시대를 투영한다.
주인공인 카르스텐 베르니크(박지일)는 노르웨이 한 소도시의 영주이자 선박회사 운영자다. 베르니크는 높은 도덕성으로 시민들에게 칭송받지만, 그가 쌓아올린 권력과 명예 뒤에는 거짓과 위선이 있다. 자신의 치부가 사람들에게 들킬까 전전긍긍하는 베르니크, 사회가 규정한 도덕성에 얽메인 마을사람들, 그리고 자신의 정의로운 신념을 내세우는 요한(이석준)과 로나(우현주)의 모습에서 지금 이 사회, 우리의 가정이 겹쳐 보인다.
극 중 베르니크의 반대편에 서서 정의와 진실을 외치는 인물은 로나(우현주)와 요한(이석준)이다. 요한 역의 이석준은 자신이 연기하는 역할을 바라보며 “작품 속 요한은 얼핏 정의로워 보이지만 결국 위선적인 인물이라고 통감했다”는 말을 남겼다.
올바르게 살아간다 주장하는 것조차 어쩌면 이기심 혹은, 위선이 아닐까. 국가적, 사회적 문제를 다루는 것처럼 보이는 ‘사회의 기둥들’이 실은, 우리의 가정이나 친구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아주 일상적인 불합리와 닿아있다고 느끼게 하는 이유다.
‘사회의 기둥들’은 ‘인형의 집’ ‘민중의 적’ 등 헨리 입센의 여타 명작에 가려져 그간 국내에는 번역조차 되지 않은 작품이다. 김광보 연출은 ‘사회의 기둥들’을 LG아트센터에서 선보이기로 결정한 뒤 지난 3월 처음 번역본을 받았다. 이후 4월16일, 세월호 참사가 발생하면서, 김 연출은 “한동안 이 작품을 올리는 것이 맞는 것인지 고민했다”고 고백한다. 그럼에도 연극 ‘사회의 기둥들’을 통해 단지 세월호에 국한된 이야기가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친 이 시대의 이야기를 하고 싶다는 김 연출의 바람으로 막 오르게 됐다.
앞서 밝혔듯 김 연출은 원작을 거의 각색하지 않고 무대에 올렸다. 섣부른 첨삭이 작품의 진면목을 왜곡시킬 수도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실제 헨리 입센은 이 작품을 구상해 완성하기까지 8년의 시간을 들였다. 실질적 창작기간은 2년. 대작 ‘페르 귄트’와 ‘황제와 갈릴리사람’(1873)의 창작기간이 각각 9개월, 1년 반인 것을 고려할 때, 입센이 ‘사회의 기둥들’ 구성에 얼마나 고심했는지 알 수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사회는 단 하나의 행동만으로 그 사람을 판단해 버릴 만큼 잔혹한 구석이 있다. 이 불확실한 시대가 우리에게 강요하는 규칙은 또 얼마나 많은가. 거짓과 위선으로 점철된 위태로운 초석 위, 우리의 서글픈 모습을 조명한다.
하지만 ‘진리와 자유’라는 작은 위로의 목소리가 들린다. 사회의 진정한 기둥들에 대한 헨리 입센의 해답은 작품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헨리 입센 작, 김광보 연출의 연극 ‘사회의 기둥들’은 오는 11월30일까지 LG아트센터에서 공연된다.
[뉴스핌 Newspim] 글 장윤원 기자 (yunwon@newspim.com)·사진 LG아트센터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