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Anda 글로벌

속보

더보기

中 A증시 '알리바바 군단' 주가 '쑥쑥'

기사입력 : 2014년11월14일 16:47

최종수정 : 2014년11월14일 16:47

상장 광군제호황 겹쳐 , 테마주 주가 30%상승

[뉴스핌=조윤선 기자]  중국 전자상거래 업계 대목인 11월 11일 광군제(光棍節 싱글데이) 특수 덕에 알리바바 주가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뒤 중국 A증시의 관련 상장사 주가가 덩달아 큰 폭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출처:텐센트재경(騰訊財經).

지난 10일(미국 현지시간) 알리바바(NYSE:BABA) 주가는 4.01% 오른 119.15달러로 장을 마감, 지난 9월 19일 상장이래 최고점을 찍었다.

당일 장중 한 때, 주가가 119.45달러까지 치솟아 시가총액이 3000억 달러(약 329조원)를 넘어서기도 했다.

이번 광군제에 하루 571억 위안(약 1조7900억원)이 넘는 역대 최고 매출 기록을 달성한 것이 알리바바 주가 상승에 일조했다는 분석이다.

11일 주가는 장 마감 기준 114.54달러로 떨어졌지만, 12일 다시 3.20% 오른 118.20달러를 기록하며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주목할 점은 알리바바의 주가 상승세가 A증시에 상장한 제휴사 또는 관련 업체 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다는 점이다.

2013년 이후 알리바바는 항공·관광, 문화미디어, 물류, 모바일통신, 의료, 교육, 게임, 보험·금융 등 분야에서 투자와 인수합병(M&A)에 나서며 사업 다각화를 추진, 관련 A증시 상장사에 시장의 이목이 집중됐다.

알리바바는 온라인 관광사업 강화를 위해 중국 호텔 소프트웨어업체인 스지정보(石基信息 002153.SZ)를 인수했다.

미국 증시 상장 직후인 지난 9월 29일 알리바바 산하 온라인쇼핑몰 타오바오(淘寶)가 28억1000만 위안(약 5000억원)에 스지정보 지분을 인수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스지정보 주가는 당시 거래일 이틀연속 상한가를 기록했다.

알리바바의 양호한 3분기 실적도 최근 주가 상승에 힘을 보탰다.

알리바바 그룹이 상장 후, 지난 4일 최초로 공개한 실적보고서에서 3분기 매출이 27억4200만 달러(약 3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기대비 53.7%나 증가한 깜짝 실적으로 주목을 받았다.

모바일 매출 증가에 힘입어 산하의 타오바오와 톈마오(天猫·티몰)의 거래금액도 905억2900만 달러로 전년대비 49%가까이 급증했다.

미국 증시 상장, 깜짝 실적 달성, 광군제 역대 최고 매출 기록 등 호재가 잇따르면서, 중국 증시가 7월 22일 반등한 후 현재까지 알리바바 테마주 10개 종목 주가가 30% 넘게 폭등했다.

심지어 이들 종목의 주가상승률은 알리바바 상장 후 현재까지(9월 19일~11월 12일 기준)의 주가상승률(27.51%)을 앞지른다.

이 10개 종목은 ▲진정구펀(金證股份 600446.SH) ▲중하이커지(中海科技 002401.SZ) ▲샹유커지(湘郵科技 600476.SH) ▲잉팡웨이(盈方微 000670.SZ) ▲메이야바이커(美亞柏科 300188.SZ) ▲중하이파잔(中海發展 600026.SH) ▲훙치체인(紅旗連鎖 002697.SZ) ▲제순커지(捷順科技 002609.SZ) ▲중하이하이성(中海海盛 600896.SH) ▲쓰웨이투신(四維圖新 002405.SZ)이다.

그래픽: 송유미 기자.

둥관(東莞)증권은 알리바바와 지분투자 관계로 엮인 헝성전자(恆生電子 600570.SH), 스지정보, 화수촨메이(華數傳媒 000156.SZ) 등 모바일인터넷, 스마트물류, 클라우드 컴퓨팅 영역의 관련 상장사에서 투자 기회를 포착할 것을 조언했다.

알리바바가 향후 인수합병을 추진하거나 집중 투자할 가능성이 큰 모바일인터넷, 물류, 클라우드 컴퓨팅은 물론 금융, 문화엔터테인먼트, 헬스산업 관련 상장사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둥관증권은 이러한 종목으로 톈위안디커(天源迪科 300047.SZ), 수퍼맵소프트웨어(超圖軟件 300036.SZ) 등을 추천했다.

중국 전자상거래 업계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이 업계에서 알리바바와 협력관계에 있는 상장사에도 새로운 투자 기회가 있을 것이란 전망도 제시됐다.

알리바바와 사물간인터넷 스마트 시스템 구축 분야에서 협력하고 있는 메이더그룹(美的集團 000333.SZ), 전자상거래 물류종합서비스 플랫폼 관련 제휴사업을 하고 있는 중하이커지, 물류 분야에서 협력을 추진하고 있는 이양신퉁(億陽信通 600289.SH) 등이 해당된다.

알리바바 머니마켓펀드(MMF) 상품인 위어바오(餘額寶) 테마주로 알려진 네이멍쥔정(內蒙君正 601216.SH)도 주목할 만한 종목으로 거론됐다.

네이멍쥔정은 위어바오의 자금 운용을 맡고 있는 톈훙펀드(天弘基金)의 4대 주주 중 하나로, 정식 회사명칭은 네이멍구 쥔정 에너지화학공업 주식유한공사(內蒙古君正能源化工股份有限公司)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정부조직 개편 방식 '안갯속' [서울=뉴스핌] 윤채영 기자 = 이재명 정부의 조직 개편 발표가 오는 8월 13일로 정해진 것으로 확인됐다. 국정기획위원회는 이달 말 대국민보고를 할 계획이었지만 미뤄지면서 정부조직 개편의 구체적인 방식은 안갯속이다. 26일 뉴스핌 취재를 종합하면, 국정위는 정부 조직 개편안 등을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고하며 막바지 정리 작업 중에 있다. 개편이 유력한 기획재정부와 검찰 조직 등에 대한 추가 검토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이한주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장.2025.07.22 gdlee@newspim.com 국정위는 당초 이달 중 대국민보고 등 주요 일정을 마칠 계획이었다. 국정위의 법적 활동 기한은 60일로 오는 8월 14일까지 활동할 수 있다. 1회 한해 최장 20일까지 연장할 수 있지만 국정위는 조기에 활동을 마무리 하겠다고 했다. 국정위의 속도전에 제동이 걸린 데는 정부의 첫 조직 개편인 만큼 조금 더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와 산업자원통상부의 기후와 에너지 파트를 분리해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는 과정에서 각 부처의 반발도 나오는 점 등이 대표적이다. 또 이 대통령이 이달 말에서 내달 초 방미 일정이 잡힐 수 있다는 점도 정부조직 개편이 늦어진 배경인 것으로 전해졌다. 1차 정부조직 개편안에는 기재부의 예산 분리 기능과 검찰청 폐지가 담길 것이 유력하다. 조승래 국정위 대변인은 앞서 "기재부 예산 기능을 분리하는 것과 (검찰청의) 수사와 기소 분리는 공약 방향이 명확하다"고 말했다. 기재부 조직 개편은 ▲예산 편성 기능을 분리해 과거의 기획예산처를 되살리고 나머지 기능은 재정경제부로 개편하는 안 ▲예산처가 아니라 재무부를 신설하는 안 ▲기재부 내에서 기능을 조정하는 안 등이 거론돼 왔다. 이 방안들을 놓고 국정위는 검토하고 있다. 현재는 기획재정부를 기획예산처와 재정경제부로 나누는 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국정위는 초안 등과 관련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는 상황이다. 검찰청 폐지 골자의 검찰 조직 개편안도 이번 조직 개편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여당에서는 검찰의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는 내용의 '검찰개혁 4법'을 발의했다.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발의한 법안에는 검찰 권력의 핵심인 기소권은 법무부 산하에 공소청을 신설해 여기로 이관하는 내용이 담겼다. 수사권은 행정안전부 산하에 중대범죄수사청을 신설해 이곳으로 넘기기로 했다. 다만 수사권을 행안부 산하에 둘지 법무부 산하에 둘지를 두고는 여권 내에서도 이견이 있어 더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개편 방안을 놓고도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금융위 해체 차원의 '금융위 정책과 감독 기능 분리' 조직 개편안이 유력했다. 그러나 최근 여당에서 기획재정부 내 국제금융 업무를 금융위로 이관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하며 '금융위 존치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론에 제동이 걸렸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이 역시도 오리무중인 상황이다. ycy1486@newspim.com 2025-07-26 07:00
사진
특검, 한덕수 자택·총리공관 압수수색"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내란특검팀이 24일 국무총리 서울공관에 대한 압수수색에 들어갔다. 국무총리실은 이날 문자 공지를 통해 특검팀의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검은 이날 한덕수 전 총리 자택 압수수색에도 나섰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내란 특검 사무실에서 조사를 마치고 차량으로 이동하고 있다. 2025.07.02 leehs@newspim.com 한 전 총리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계획을 알고도 이를 묵인 또는 방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검은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한 전 총리 등을 다시 조사한 뒤 구속영장 청구 여부 등을 검토할 전망인 것으로 알려졌다. sheep@newspim.com 2025-07-24 13:5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