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글 이현경 기자·사진 김학선 기자] 15세 미만 청소년의 독립 반대, 혼전 동거는 두 말 할 것도 없이 NO. 서양인은 개방적일 것이란 편견을 확실하게 깨준 터키인이 등장했다.
조선 시대 사람이 아니냐는 의문이 들 만큼 고지식한 ‘터키 유생’ 에네스카야(30). 그는 JTBC ‘비정상회담’ 첫 회부터 제대로 자신의 존재를 각인시켰다. 11개국을 대표하는 외국인 패널들 중 가장 보수적인 그는 껍데기만 외국인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사고와 가치관은 유교 사상이 깊은 한국인과 견줄만하다. 덕분에 대중의 관심이 에네스 카야에 쉽게 집중됐다. 게다가 흠 잡을 데 없는 한국어 실력은 목소리만 들으면 한국인으로 착각할 정도. 정확한 발음을 구사하는 외국인의 방송 출연에 대중의 관심은 자연스레 집중됐다.
사실 그는 ‘비정상회담’의 성공에 확신이 없었다. 방송 전 출연자 선정 사전 인터뷰에서 임정아PD에 “얼마나 갈 것 같냐”며 되물었다고. 그러나 첫 방송과 동시에 프로그램은 시선을 모았고 화제의 예능으로 떠올랐다. 3회가 방송된 후 에네스 카야는 메인 작가와 PD를 다시 찾아가 “제가 감히 그런 말을 해서 죄송하다”고 바로 사과했다며 웃지 못할 에피소드를 전했다.
“방송 생활을 2007년부터 시작했어요. SBS ‘모닝와이드’ VJ를 하면서 대한민국을 다 돌아다녀봤죠. 영화, 토크쇼에도 드문드문 출연했고요. 문득 생각해 봤는데 외국인들이 출연하는 토크 프로그램이 계속 갈 수 있을까 싶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대놓고 PD님께 ‘오래갈 것 같냐’고 물었죠. 나중에야 제가 다시 사과했지만(웃음), 그때 담당 작가와 PD가 이렇게 말을 하더라고요. 당시 그런 제가 더 마음에 들었다고요. ‘한국이 좋다’는 말만 하는 게 아니라 자신의 생각을 분명하게 말하는 점이 프로그램과 잘 맞을 걸로 봤다고요. 그런 성향이 방송에서도 부각됐죠.”
보수적인 에네스 카야는 ‘터키 유생’에 이어 ‘꽉네스’라는 별칭도 얻었다. 20대의 도전·진취적 성향의 패널들과 완전히 다른 방향의 의견을 내세우는 경우가 흔하고 자신의 의견을 굽히는 경우는 드물다. 특히 20대인 벨기에 출신 줄리안과 호주 출신 다니엘과는 사사건건 대립한다. 물론 그는 방송 외 실제 패널들과 사이가 좋다. 방송에서 선보이는 주제에 따른 의견 차이일 뿐이다. 가릴 것은 가리되 할 말은 하고 사는 것이 그의 지론. 많은 이들이 에네스 카야를 ‘보수적’이라고 본다는 말에 그는 요즘 사람들이 너무 개방적인 것은 아니냐고 반문했다.
“요즘 방송 트렌드가 자연스러움이죠. 운 좋게 저의 돌직구나 주장을 밀고나가는 면이 최근 방송 흐름과 잘 맞아서 호응을 얻는 듯합니다. 저를 보수적이라고 보시지만 오히려 요즘 세상이 빠르게 개방적으로 변하는 건 아닌가 싶어요. 개방과 보수의 의미보다 중요한 것은 옛것을 지키는 것이죠. 역사가 있기에 현재가 있잖아요. 우리 것을 인정하지 않고 새로운 것만 받아들이면 문화는 사라질 지도 모르죠.”
에네스 카야의 말에 힘이 실리는 데는 정확한 한국어 발음이 한 몫 한다. 그는 무엇보다 말할 때 발음이 정확해야 한다고 믿는다. 18세에 아버지의 권유로 한국으로 건너 온 그는 2002년 한일월드컵에서 터키와 3·4위전을 벌인 국가라는 정보 하나만으로 한국의 수도 서울을 찾았다. 한국말을 전혀 몰랐던 18세 청년 에네스 카야는 어학당을 다니며 한국말 배우기에 매달렸다. 건국대학교 어학당을 다닌 그는 적극적으로 선생님에게 발음을 묻고 익히기를 반복했다. 그런 그에게도 아직까지 어려운 한국 발음이 있다면 ‘어르신’이다.
“‘ㅓ’와 ‘ㅡ’가 연이어 붙는 단어를 빨리 말하면 발음이 부정확해져요. 아직까지 쉽지 않네요. 다른 건 몰라도 발음은 잘해야겠다는 생각에 어학당을 다닐 때도 선생님께 직접 발음을 묻고 발음 기호를 확실히 적어서 익혔죠. 보통 외국인들은 아시아계 말은 중국어처럼 뜻과 글자 수가 많을 거라 지레 겁을 먹어요. 저도 한국어를 제일 처음 배울 때 글자 수에 대해 물었죠. 다행히 한글은 모음과 자음만으로 쉽게 읽고 말할 수 있더군요. 이런 말하면 어떻게 들릴지 모르겠지만 사실 한국어는 배우기가 쉬웠고 공부하는 재미가 있어 빨리 늘었죠. 그러다 2009~2011년 제가 공부했던 어학당에서 제게 100~150명의 학생 앞에서 강의를 부탁했어요. 제가 돈을 주고 배우던 곳에서 이제는 돈을 받고 배움을 전하게 됐구나 싶어 뿌듯했죠. 투자한 만큼 본전을 뽑았다고나 할까요?(웃음)”
고등학교 3학년 시절 문·이과 통합 전교 3등까지 할 정도로 성적이 좋았던 에네스 카야. 그러나 엄청난 경쟁률에 원하는 대학은 못갔다. 당시 그는 터키에서 길몽으로 통하는 당나귀 꿈을 꿨다. 당연히 원하는 대학에 붙을 줄 알았다. 그러나 대학 진학 실패 후 희한하게도 일사천리도 한국으로 오게 된 그는 지금 생각해보니 그 길몽이 한국에서의 삶을 암시한 듯 하다며 웃었다.
한국에 정착한 지 어언 12년 째. 한국에 대한 애틋함도 남다르다. 한국에서 그의 또다른 삶이 시작됐기 때문이다. 2007년부터 시작된 방송활동, 2009~2010년 서울FC 감독 귀네스의 통역, 그리고 올해 초부터는 터키 과일 음료를 수입하는 사업도 시작했다. 사업가로서 성공과 더불어 그에게는 꿈이 하나 있다. 영화 ‘초능력자’(2010)에도 출연한 그는 한국 최초로 꾸준히 살아남는 외국인 영화배우로 남고 싶다.
“제 청춘을 한국에서 보내고 있어요. 성장이 완성되지 않은 18세에 건너와 아르바이트도 하고 공부도 하면서 사회를 배웠죠. 중국에서 대학원을 마치고 터키 지사가 있는 회사에서 일할 기회가 있었는데 2008년 경제 위기로 무산됐죠. 한국에서 사는 게 저는 더 좋더라고요. 이제는 터키만큼 우리나라 같은 애정도 더 깊어졌죠. 제가 사랑하는 한국에서 받은 게 많습니다. 이제는 사업도 키우면서 방송 활동도 꾸준히 하면 더 좋겠다 싶어요. 연기도 부쩍 재미있어졌고요. 언젠가 한국에서 연기한 외국인 배우로 영화제에서 상도 한 번 받아보고 싶습니다.”
[장소 협조=블룸 앤 구떼]
세월호 가족들 위로하러 팽목항 찾은 터키인들 기억하시나요? 형제의 나라 터키에서 온 에네스 카야는 1999년 터키 대지진 때 한국의 도움을 받은 일을 기억한다. 심신이 지친 세월호 피해자 가족과 자원봉사자 등 현장에 계신 분들께 저희가 직접 케밥을 드렸어요. 그 분들도 맛있게 잘 먹었다고 말씀해 주셨죠. 하지만 허락을 받았음에도 현장 관계자나 네티즌들의 반발이 거세 일찍 철수했습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됐다는 마음이 전해졌다면 괜찮습니다. 항간에 터키에서는 위로의 의미로 케밥을 나눠준다는 소리도 있었는데 사실이 아닙니다. 케밥 종류도 300가지가 넘거든요. 세월호 참사로 힘든 분들께 조금이라도 위로를 해드리려던 마음이 제일 컸습니다." |
[뉴스핌 Newspim] 이현경 기자 (89hklee@newspim.com) 김학선 기자(yooks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