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증시] 기대만발 후강퉁, 기관별 포트폴리오 전략

기사입력 : 2014년08월06일 08:24

최종수정 : 2014년08월06일 08:24

QFII와 대형 기관은 블루칩, 사모펀드는 성장주

[편집자주] 이 기사는 8월 1일 오후 2시 30분 뉴스핌의 프리미엄 뉴스 ′안다(ANDA)′에서 표출한 기사입니다.

[뉴스핌=강소영 기자]  올가을  '후강퉁(滬港通,상하이-홍콩 증시 연동)'  출범으로 중국  A증시의 문호개방이 확대될 예정인 가운데, 중국과 홍콩 양 증시 투자자들의 움직임이 벌써부터 부산해지고 있다.  중국 기관 및 QFII (적격 외국인 기관투자자)등 국내외 투자자들이 앞다퉈 투자전략을 세우며 10월 시행할 후강퉁 제도에 큰 기대를 걸고 있는 모습이다. <본보 4월 30일 '상하이-홍콩 증시 연동 ′후강퉁′ 세칙 초안 윤곽' 기사 참조>

이런 분위기를 반영하듯 중국 본토와 홍콩 증시가 동반 호조를 보이고 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7월 31일 2012년 12월 이후 처음으로 2200포인트를 돌파했다.  홍콩 항셍지수도 전일 대비 0.15% 상승해 강보합으로 장을 마감했다. 특히 홍콩에는 7월 이후 외국으로부터의 자금 유입이 크게 늘어나는 추세다.

홍콩 증시와 중국 A주가 들썩이고 있는 가운데,자금의 종류와 성격별로 선호하는 종목이 엇갈리고 있어 눈길을 끈다.

지난달 31일 중국 경제전문지 21세기경제보도(21世紀經濟報道)에 따르면, 공모·QFII와 사모펀드 등 기관별로 집중 투자 대상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 외국, 공모자금은 대형 우량주 선호 

"23일과 24일 QFII들이 은행과 증권사 종목을 사재기에 나서면서 주문량이 폭증하고 있다. 해외업무부에선 장이 마감했어도 일을 마무리 할 수 없다는 불평마저 터져 나오고 있다".  중국의 한 증권사 관계자가 중국 언론에 알린 최근 증시 상황이다.

QFII들은 후강퉁의 최대 수혜업종으로 은행,보험사,증권 등을 꼽고 이들 분야 대형 블루칩을 집중 매입하고 있다. 셰웨이위(師偉玉) 신은만국(申銀萬國)증권 애널리스트는 "QFII가 투자하는 종목 중 40% 이상이 금융과 부동산 종목"이라며 "이런 주식은 A주의 가격이 H주 보다 낮아 앞으로 주가 상승폭이 클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 투자자가 몰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고 밝혔다.

후강퉁 관련주 가운데 A주와 H주의 가격 차이가 비교적 큰 종목은 주로 은행,보험,증권 등 금융분야야 국유 대기업 등 대형 블루칩에 집중돼있다.

같은 기업의 주식의 가격이 양 시장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홍콩과 상하이 투자시장의 분위기가 다르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A주 투자자는 주로 중소 성장주 투자를 선호하는 데 반해 홍콩 투자자는 배당률이 높고 시가총액이 큰 종목 투자 비중이 높다. 후강퉁이 시행되면 대형 블루칩을 선호하는 외자와 그에 인한 가격상승을 노리는 자금들이 A주 대형주에 집중 투자할 것으로 전망된다.

CICC(中金公司)도 최신 연구 보고서를 통해 해외기관 투자자들은 A주 투자 시 유동성 등을 고려해 시가 총액이 작은 종목보다는 대형주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

증권사 등 기관투자자들도 양 지역에서 가격 차이가 큰 블루칩 종목을 유망주로 꼽고 있다. 초상(招商)증권 관계자는 "후강퉁이 시행되면, 그간 저평가 됐던 블루칩 종목이 제 가치를 인정받게 될 것"이라며 "은행,보험,부동산 등 종목의 주가가 큰 폭으로 오를 수 있다"고 밝혔다. 

최근 A주에서 몸값이 수직상승 중인 중신(中信)증권, 차이나라이프(中國人壽), 중국평안(中國平安), 초상은행 등이 대표적인 A/H 가격 차이가 큰 블루칩 종목이다.

그밖에 소비 관련 종목도 공모펀드와 같은 '정규군'의 인기 공략 대상이다. 시황성 종목인 은행과 부동산과 달리 소비관련 대형주는 성장성과 함께 안정성이 장점으로 꼽히고 있다. 유제품 업체 이리구펀(伊利股份)과 가전기업 칭다오하이얼(青島海爾)이 대표적이다.

◇사모펀드, 소형 성장주 선호 

공모와 QFII 자금과는 달리 사모펀드는 후강퉁 유망주로 중소 성장주를 택하고 있다. 같은 금융분야의 종목이라도 공상,교통은행 등 대형 국유기업 종목이 아닌 화하은행과 흥업은행 등 종목에 투자하고 있는 것.

중국의 한 사모펀드 관계자는 중국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후강퉁을 겨냥한 대부분 자금이 A,H주의 대형주에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대다수가 막연한 전망에 기댄 투기에 가깝다"며 "후강퉁의 뚜껑이 열리면 시중의 자금이 반드시 전망대로 움직이지는 않을 것이고, 사모펀드들은 주가가 탄력적인 중소 종목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

20억 위안(약 3351억 원)의 자금을 운용 중인 상하이의 사모펀드도 우쾅희토(五礦稀土), 국금(國金)증권, 거리부동산(格力地產) 등 종목에 투자하고 있다. 그는 "규모가 크고 주가 탄력성이 적은 종목은 사모펀드의 투자 성향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상하이와 선전(深圳)의 사모펀드들은 공모자금과 달리 A주에서 소규모 종목에 투자하는 한편 홍콩 증시에서도 관련 종목에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서울이코노믹포럼]김현철"신남방정책 재건"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최수아 인턴기자 = 김현철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잘못된 경제 정책으로 초래된 대한민국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재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8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계속된 경제 추락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경제 전략적 안정성과 우월성 관점에서 글로벌 경제 전략을 다시 설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그는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큰 경제 위기는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라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관세를 낮추는 자유무역협정(FTA)과 같은 기존의 통상 정책으로 극복할 수 없다"며 관세 협상뿐만 아니라 방위비, 조선업, 에너지 등을 총체적으로 트럼프 정부와 협상하는 신통상 정책을 제안했다. 대중국 전략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며 '탈중국'을 선언했다. 당시 경제계와 학계는 경악하며 '탈중국은 절대 안 된다'고 경고했지만 사회는 침묵했고 결국 2023년 경제성장률 1.4%라는 수치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경제를 무너뜨렸다"고 지적했다. 신남방 정책 재건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는 자주적 신남방 정책을 버리고 한국판 인태전략이라는 종속 정책을 채택했다"며 "이제는 공급망 발상이 아니라 판매망 발상으로 바꾸는 새로운 신남방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경제 영토도 확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신남방을 중심으로 아프리카와 중남미 지역을 포함해 유럽, 호주, 캐나다, 일본 등을 대한민국의 경제 파트너로 끌어들이는 'A+1,1,1'이라는 새로운 경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정책 외에도 대한민국 지역 전략을 새롭게 설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구체적으로 ▲제조업 재활성화 ▲AI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전략 설정 ▲신기술 전략 설정 및 육성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 교수는 기존의 수출 중심 경제 모델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물론 수출은 대한민국 경쟁력의 원천이긴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한 시대가 됐다"며 "새로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수립하고 내수 경제도 활성화시키면서 대한민국을 다시 한번 글로벌 허브로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12:47
사진
이완규 법제처장, 내란방조 피의자 신분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지난해 12월 이 처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한 차례 불러 조사했다. 이 처장은 12·3 비상계엄 선포 다음 날인 지난해 12월 4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대통령 안가(안전가옥)에서 김주현 대통령실 민정수석비서관과 박성재 법무부 장관, 이상민 당시 행정안전부 장관과 회동을 가졌다. 이후 휴대전화까지 교체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시민단체는 이 처장을 내란방조 등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이완규 법제처장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서울서부지방법원 소요사태 관련 긴급현안질의에서 의원 질문에 답변하고 있는 모습. 2025.01.20 pangbin@newspim.com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도 이 처장에 대한 내란방조·증거인멸 혐의 고발장을 접수하고 피의자로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1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한 이 처장은 당시 안가 회동에 대해 "저녁을 먹는 자리였다"며 "어쨌든 그 자리에 간 게 잘못이다. 죄송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런 가운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이날 이 처장과 함상훈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를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헌법재판관 지명을 통한 헌법기관 구성권은 대통령 고유권한으로 대통령 궐위 상태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권한대행이 국민이 직접 선출한 대통령에게 부여된 고유 권한을 행사하려고 드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20:2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