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해외투자 유치…일본, 해외비용 절감
[뉴스핌=주명호 기자] 일본 '아베노믹스'와 인도 '모디노믹스'의 궁합은 어떨까. 두 가지 성장전략을 살펴봤을 때, 긴밀한 투자 협력으로 두 국가 모두 경제성장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고 CNBC가 21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좌)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우). [사진: AP/뉴시스] |
인도는 새롭게 출범한 나렌드라 모디 정권이 친기업, 친투자를 표방하고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외국인직접투자(FDI) 등 해외자본을 끌어들이는 게 급선무다. 가장 먼저 단행해야 할 인프라구조 건설, 정비는 국내 자본으로는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달 초 인도는 모디노믹스의 첫 발걸음으로 철도시설 현대화 계획을 발표하며 관련 비용을 적극적인 외자유치를 통해 조달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낙후된 인도 철도시설의 현대화에는 최소 930억달러가 필요하다는 전망이다.
반면 일본은 새로운 해외 생산기지가 필요한 시점이다. 그간 일본 자본이 활발히 진출해왔던 중국은 최근 들어 임금 상승 등 비용이 높아지면서 경영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다.
노무라증권은 이런 점을 들어 양국이 상호 보완적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지난주 수요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주장했다. 노무라는 "인도가 필요로 하는 것을 일본이 제공할 수 있다"며 아베노믹스와 모디노믹스 체제 하에서 공생이 가능하다는 진단을 내놨다.
일본도 제조업계의 해외 진출이 꾸준히 늘어나는 상황에서 인도 진출을 통해 비용절감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노무라에 따르면 2012년 기준 20%를 넘어섰던 일본 제조업계의 해외 진출 비중은 2018년까지 25% 위로 올라설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중국과의 관계 악화로 진출 및 투자가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도 인도행에 힘을 실고 있다는 지적이다. IHS의 라지브 비스와스 수석연구원은 "2012년 중국의 반일본 시위를 시작으로 양국간 영토 분쟁 등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며 최근 18개월간 일본의 중국 FDI가 급격히 감소했다고 말했다.
인도의 큰 소비시장과 낮은 생산단가는 이미 일본기업들을 빠르게 끌어들이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비스와스는 덧붙였다. 일본의 대인도 FDI 규모는 160억달러를 넘어선 상황이다.
다만 고질적인 인도 정부의 형식적 관료주의 및 규제 등이 기업 진출을 막아설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이로 인해 이미 많은 다국적기업들이 인도에 진출했다가 철수하거나 사업 규모를 축소했다.
프랑스 할인마트 기업 까르푸는 올해 9월말까지 5곳의 대형도매점을 폐쇄할 계획이다. 우리나라 포스코와 미국 월마트도 인도 내 사업 비중을 축소시킨 바 있다.
비스와스는 이전 맘모한 싱 정부가 사업 승인의 장기간 연기 등 투자환경을 해쳐 해외 투자를 감소시켜왔다고 비판하며, 모디 정부는 이와는 다른 행보를 보일 것으로 기대했다.
[뉴스핌 Newspim] 주명호 기자 (joom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