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업, 일용직 고용증가세 둔화
[세종=뉴스핌 곽도흔 기자] 5월 취업자수가 전년동월대비 41만3000명 증가에 그쳐 올들어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 2월 83만5000명을 기록한 뒤로는 석달째 증가폭이 둔화되는 모습이다.
정부는 세월호 사고 여파로 관련 서비스업종의 고용증가세가 둔화됐고 금융권 구조조정도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6월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4년 5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5월 취업자는 2581만1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41만3000명이 증가했다.
통계청 공미숙 고용통계과장은 "제조업,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등에서 취업자가 증가한 가운데 도매 및 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 등에서 증가폭이 축소돼 전체 취업자 증가 규모는 40만명대를 시현했다"고 설명했다.
![]() |
6개월 연속 50만명대 이상을 기록했던 취업자수가 세월호 여파로 5월에 40만명대로 증가폭이 둔화됐다. (자료=통계청) |
OECD기준(15~64세) 고용률은 65.6%로 전년동월대비 0.6%p 올랐다.
산업별로는 제조업(14만8000명, 3.6%),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3만1000명,8.3%), 숙박 및 음식점업(10만7000명, 5.5%), 도매 및 소매업(6만7000명, 1.8%), 교육서비스업(4만9000명, 2.8%) 등에서 증가했다.
반면 농림어업(-5만8000명, -3.4%), 금융 및 보험업(-2만9000명, -3.4%),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2만5000명, -2.1%), 예술·스포츠·여가관련서비스업(-1만7000명, -4.2%) 등에서 감소했다.
서비스업 전체로는 취업자가 50만명대 이상을 유지하다 5월에 32만7000명으로 급감했다.
종사상지위별로는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44만1000명, 3.8%)와 임시근로자(12만1000명, 2.4%)는 증가했고 일용근로자(-12만5000명,-7.4%)는 감소했다. 비임금근로자 중 자영업자(-3만1000명, -0.5%)는 감소했고 무급가족종사자(7000명, 0.6%)는 증가했다.
연령계층별로는 50대 취업자는 22만7000명, 60세이상 취업자는 18만2000명, 40대 취업자는 2만2000명 각각 증가한 반면 30대 취업자는 4만2000명, 20대 취업자는 1만1000명 각각 감소했다.
5월 실업자는 95만1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5만4000명(19.3%) 증가했다. 실업률도 3.6%로 전년동월대비 0.6%p 상승했다.
5월 비경제활동인구는 1569만1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6만2000명(-1.0%) 감소했다.
비경제활동인구가 전년동월대비 7개월째 감소세를 보이면서 실업자가 증가하고 실업률이 상승하는 모습이다.
기획재정부는 5월 고용동향에 대해 6개월 연속 지속된 50만명 이상의 고용증가세가 5월 들어 40만명대로 둔화된 것은 세월호 사고 여파로 관련 서비스 업종의 고용증가세가 둔화됐고 금융권 구조조정도 일부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기재부 오상우 정책기획과장은 "세월호 충격은 점차 완화될 것으로 보이나 6월 고용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므로 면밀한 모니터링 필요하다"며 "긴급민생대책회의에 따른 경기보완대책을 차질없이 이행하는 등 고용 증가세 회복 노력을 강화하고 청년·여성고용 확대, 시간선택제 일자리 활성화 관련 정책 등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뉴스핌 Newspim] 곽도흔 기자 (sogoo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