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투자 넘쳐…버블논란 '몰라'

기사입력 : 2014년04월15일 14:29

최종수정 : 2014년04월15일 14:30

막판 펀딩단계에 자금 몰려…올 들어서만 460억원 유입

[뉴스핌=권지언 기자] 고성장 모멘텀주로 주목받던 기술주가 최근 폭락세를 연출하며 붕괴론이 고조되고 있지만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회사들은 여전히 몰려드는 뭉칫돈에 행복한 비명을 지르고 있다.

14일(현지시각) 보스턴글로브는 이미 현금이 넘치고 있는 실리콘밸리 스타트업에 투자자금이 몰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출처=매셔블]
이달 민박 예약사이트 에어비엔비(Airbnb)는 글로벌 투자기업 TPG그로스(TPG Growth), T.로위(T.Rowe), 드래고니어 인베스트먼트그룹(Dragoneer Investment Group)이 최대 5억달러 투자자금 유치를 거의 마무리 지은 것으로 나타났다.

2주 전에는 승차공유 서비스인 리프트(Lyft)가 알리바바그룹과 서드포인트(Third Point) 등으로부터 2억5000만달러의 투자 조달에 성공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연동해 질문과 답변을 주고받는 소셜 질의응답(Q&A) 서비스 쿠오라(Quora)의 경우 2년 전 6000만달러의 벤처 자금을 조달한 데 이어 최근에는 8000만달러를 추가로 조달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쿠오라의 경우 직원수가 아직 70여 명에 불과하고 매출도 나오고 있지 않지만 투자 자금이 끊이질 않고 있는 상황이다.

데이터리서치업체 CB인사이츠에 따르면 특히 상장 직전 막판 투자단계에서 자금이 대거 몰리고 있는데, 올 들어 현재까지 몰린 자금은 4410만달러(약 460억원)로 지난 5년 동안 최대 규모를 기록했고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도 77%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벤처캐피탈에 헤지펀드와 대규모 수익을 쫓는 사모펀드들도 가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벤처캐피탈인 안드레아슨 호로비츠(Andreessen Horowitz)와 클레이너 퍼킨스&바이어스(Kleiner Perkins Caufield & Byers)는 물론 글로벌 투자회사인 디지털스카이테크놀로지(Digital Sky Technologies)와 타이거글로벌매니지먼트 등이 대표적이다.

매체는 T.로위프라이스와 피델리티 인베스트먼트와 같은 뮤추얼펀드도 가세하고 있으며, 일부 헤지펀드의 경우 스스로 '성장 캐피털'로 변모해 오래된 스타트업들에 투자하기도 한다고 전했다.

인스티튜셔널 벤처파트너스 파트너 놈 포겔송은 "이전 세대에는 기업들이 필요한 만큼의 자금만을 조달했지만 최근에는 실질적인 자금 수요가 생기지도 않았는데 미리 자금 조달이 가능해진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 같은 투자 열기에 일각에서는 막판 펀딩이 이렇게 몰리는 것이 오히려 스타트업들의 기업가 정신에 해가 될 수도 있다고 경고도 나온다.

세쿼이아 캐피탈 파트너 알프레드 린 역시 "투자자들이 점점 신중한 검토를 하지 않은 채 성급히 투자에 나서고 있다"고 경고했다.  
 


[뉴스핌 Newspim] 권지언 기자 (kwonji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정부조직 개편 방식 '안갯속' [서울=뉴스핌] 윤채영 기자 = 이재명 정부의 조직 개편 발표가 오는 8월 13일로 정해진 것으로 확인됐다. 국정기획위원회는 이달 말 대국민보고를 할 계획이었지만 미뤄지면서 정부조직 개편의 구체적인 방식은 안갯속이다. 26일 뉴스핌 취재를 종합하면, 국정위는 정부 조직 개편안 등을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고하며 막바지 정리 작업 중에 있다. 개편이 유력한 기획재정부와 검찰 조직 등에 대한 추가 검토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이한주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장.2025.07.22 gdlee@newspim.com 국정위는 당초 이달 중 대국민보고 등 주요 일정을 마칠 계획이었다. 국정위의 법적 활동 기한은 60일로 오는 8월 14일까지 활동할 수 있다. 1회 한해 최장 20일까지 연장할 수 있지만 국정위는 조기에 활동을 마무리 하겠다고 했다. 국정위의 속도전에 제동이 걸린 데는 정부의 첫 조직 개편인 만큼 조금 더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와 산업자원통상부의 기후와 에너지 파트를 분리해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는 과정에서 각 부처의 반발도 나오는 점 등이 대표적이다. 또 이 대통령이 이달 말에서 내달 초 방미 일정이 잡힐 수 있다는 점도 정부조직 개편이 늦어진 배경인 것으로 전해졌다. 1차 정부조직 개편안에는 기재부의 예산 분리 기능과 검찰청 폐지가 담길 것이 유력하다. 조승래 국정위 대변인은 앞서 "기재부 예산 기능을 분리하는 것과 (검찰청의) 수사와 기소 분리는 공약 방향이 명확하다"고 말했다. 기재부 조직 개편은 ▲예산 편성 기능을 분리해 과거의 기획예산처를 되살리고 나머지 기능은 재정경제부로 개편하는 안 ▲예산처가 아니라 재무부를 신설하는 안 ▲기재부 내에서 기능을 조정하는 안 등이 거론돼 왔다. 이 방안들을 놓고 국정위는 검토하고 있다. 현재는 기획재정부를 기획예산처와 재정경제부로 나누는 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국정위는 초안 등과 관련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는 상황이다. 검찰청 폐지 골자의 검찰 조직 개편안도 이번 조직 개편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여당에서는 검찰의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는 내용의 '검찰개혁 4법'을 발의했다.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발의한 법안에는 검찰 권력의 핵심인 기소권은 법무부 산하에 공소청을 신설해 여기로 이관하는 내용이 담겼다. 수사권은 행정안전부 산하에 중대범죄수사청을 신설해 이곳으로 넘기기로 했다. 다만 수사권을 행안부 산하에 둘지 법무부 산하에 둘지를 두고는 여권 내에서도 이견이 있어 더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개편 방안을 놓고도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금융위 해체 차원의 '금융위 정책과 감독 기능 분리' 조직 개편안이 유력했다. 그러나 최근 여당에서 기획재정부 내 국제금융 업무를 금융위로 이관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하며 '금융위 존치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론에 제동이 걸렸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이 역시도 오리무중인 상황이다. ycy1486@newspim.com 2025-07-26 07:00
사진
특검, 한덕수 자택·총리공관 압수수색"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내란특검팀이 24일 국무총리 서울공관에 대한 압수수색에 들어갔다. 국무총리실은 이날 문자 공지를 통해 특검팀의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검은 이날 한덕수 전 총리 자택 압수수색에도 나섰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내란 특검 사무실에서 조사를 마치고 차량으로 이동하고 있다. 2025.07.02 leehs@newspim.com 한 전 총리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계획을 알고도 이를 묵인 또는 방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검은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한 전 총리 등을 다시 조사한 뒤 구속영장 청구 여부 등을 검토할 전망인 것으로 알려졌다. sheep@newspim.com 2025-07-24 13:5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