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D-1' 갤럭시S4 아이트래킹 기능 '관심집중'..아이폰6에도 곧 채택?

기사입력 : 2013년03월13일 11:32

최종수정 : 2013년03월13일 14:17

14일 발표될 갤럭시4 아이스크롤 기능 등 탑재..애플도 u무브 기술 채택할 듯

[뉴스핌=김윤경 국제전문기자] 하루 앞으로 다가 온 삼성전자의 신형 스마트폰 갤럭시S 4에 대한 기대감이 부풀고 있다. 5인치급 제품으로선 처음으로 아몰레드(AMOLED·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을 갖출 것이란 예상도 그렇지만 눈동자 움직임을 포착해 사용자 친화적인 환경을 갖출 것이란 부분도 큰 관심사.

눈동자를 움직여서 제품을 움직이는 아이 트래킹(Eye-Tracking) 기술은 처음 개발될 때엔 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들이 쓸 수 있는 수단으로서 의미를 가졌지만, 하드웨어가 점차 발달하면서 적용 대상 기기가 많아지면서 새로운 사용자 경험(UX;User Experience)를 제공하는데 쓰이고 있다. 

가상현실을 지나 사용자가 컴퓨터가 재현하는 가상의 정보공간을 현실상황에 맞춰 체험할 수 있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더욱 그렇다. 

눈동자를 움직이면 자동차를 운전할 수 있고 눈을 깜박여 휴대전화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등 마우스 클릭이나 손가락 터치도 하지 않고 컴퓨터(스마트폰, 태블릿PC 등)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는 건 획기적이다. 노키아 810 모델엔 실제 눈 깜박임으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들어있다.

뉴욕타임스(NYT) 4일자 기사에 따르면 갤럭시S 4에는 '아이 스크롤(Eye Scroll)'이나 '아이 포즈(Eye Pause)' 등의 아이 트래킹 기술이 탑재될 것으로 알려졌다. 아이 스크롤은 뉴스 등을 볼 때 눈동자가 페이지 맨 아래까지 내려오게 되면 자동으로 화면이 다음 장으로 넘어가도록 하는 식. 동영상을 보다가 눈동자가 화면에서 벗어나면 자동으로 영상을 멈추도록 하는 것이 아이 포즈 기능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1월 유럽에서 이미 '아이 스크롤'이란 상표를 등록했고 2월엔 미국에서 '삼성 아이 스크롤'로 상표등록을 마쳤으며 '아이 포즈' 역시 상표등록을 해 두었다.

이미 갤럭시S 3에는 사용자가 화면을 보는 동안 계속 켜진 상태가 유지되는 '스마트 스테이' 기능은 탑재돼 있는데, 한 단계 더 발전된 아이 스크롤이나 아이 포즈 기능이 탑재되면 인간과 컴퓨터간의 상호작용(HCI·Human Computer Interaction)이 한 단계 도약한다는 의미가 있다. 스마트폰은 이미 음성인식 서비스를 통해 날씨를 물으면 알려준다든지 하며 더 친숙한 모습으로 바뀌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삼성전자의 이런 최신 소프트웨어 기술이 완벽성을 갖출 지는 아직 미지수다. MIT 테크놀러지 리뷰에 기고한 글에서 존 파블러스는 삼성전자의 아이 트래킹 기술이 사용자의 의도를 100% 반영해줄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의구심이 든다고 했다. 

예를 들어 페이지 끝을 읽고 있다가도 어떤 단어나 문장을 다시 보고자 할 수도 있고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지 않고자 할 수도 있는데 눈동자 움직임을 감지한 스마트폰의 페이지는 자동으로 넘어가 버린다면 과연 진정으로 사용자 친화적일 수 있느냔 의문이 남는 것이다.

최근 슬레이트닷컴에 기고한 글에서 브루킹스연구소 존 필라세놀 박사는 아이 트래킹 기술 발전과 사생활 침해 문제를 언급하기도 했다. 필라세놀 박사는 갤럭시S 4에 아이 트래킹기술이 탑재될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전통적인 세계에서 우리가 무엇을 읽을 때엔 우리 자신의 의지를 반영하는데 아이 트래킹 기능은 그런 의지를 제어하게 된다고 밝혔다. 

또 휴대폰에서 우리가 어떤 사진을 본다고 할 때 사용자만 보는 것이 아니라 '휴대폰도' 그것을 읽고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라면서 어떤 면에서 이런 눈동자의 움직임 정보를 모으는 '의도하지 않은' 제3의 애플리케이션이 생길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나 논란은 차치하더라도 아이 트래킹 기능은 갤럭시S 4에만 차별화돼 실리는 건 아닐 것이다. 곧 아이 트래킹 기술 경쟁이 치열해질 것이란 얘기다. 

NYT는12일자 기사에서 이스라엘 벤처기업인 유무브(uMoove)란 업체가 최근 3년간 스마트폰과 태블릿PC용 아이 트래킹 및 헤드 트래킹 기술을 개발해 왔으며 애플을 포함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사들에 이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아이디지털타임스도 '아이폰6'에 실릴 다섯 가지 기술에 대한 루머를 전하면서 u무브의 아이 트래킹 기술을 채용한 '스마트 스크롤' 기능을 1순위로 소개했다. 이밖에도 퀄컴 프로세서가 탑재되고 홈 버튼이 없어질 것이며 케이스 재질도 달라지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고 전했다.

[뉴스핌 Newspim] 김윤경 국제전문기자 (s91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정부조직 개편 방식 '안갯속' [서울=뉴스핌] 윤채영 기자 = 이재명 정부의 조직 개편 발표가 오는 8월 13일로 정해진 것으로 확인됐다. 국정기획위원회는 이달 말 대국민보고를 할 계획이었지만 미뤄지면서 정부조직 개편의 구체적인 방식은 안갯속이다. 26일 뉴스핌 취재를 종합하면, 국정위는 정부 조직 개편안 등을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고하며 막바지 정리 작업 중에 있다. 개편이 유력한 기획재정부와 검찰 조직 등에 대한 추가 검토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이한주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장.2025.07.22 gdlee@newspim.com 국정위는 당초 이달 중 대국민보고 등 주요 일정을 마칠 계획이었다. 국정위의 법적 활동 기한은 60일로 오는 8월 14일까지 활동할 수 있다. 1회 한해 최장 20일까지 연장할 수 있지만 국정위는 조기에 활동을 마무리 하겠다고 했다. 국정위의 속도전에 제동이 걸린 데는 정부의 첫 조직 개편인 만큼 조금 더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와 산업자원통상부의 기후와 에너지 파트를 분리해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는 과정에서 각 부처의 반발도 나오는 점 등이 대표적이다. 또 이 대통령이 이달 말에서 내달 초 방미 일정이 잡힐 수 있다는 점도 정부조직 개편이 늦어진 배경인 것으로 전해졌다. 1차 정부조직 개편안에는 기재부의 예산 분리 기능과 검찰청 폐지가 담길 것이 유력하다. 조승래 국정위 대변인은 앞서 "기재부 예산 기능을 분리하는 것과 (검찰청의) 수사와 기소 분리는 공약 방향이 명확하다"고 말했다. 기재부 조직 개편은 ▲예산 편성 기능을 분리해 과거의 기획예산처를 되살리고 나머지 기능은 재정경제부로 개편하는 안 ▲예산처가 아니라 재무부를 신설하는 안 ▲기재부 내에서 기능을 조정하는 안 등이 거론돼 왔다. 이 방안들을 놓고 국정위는 검토하고 있다. 현재는 기획재정부를 기획예산처와 재정경제부로 나누는 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국정위는 초안 등과 관련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는 상황이다. 검찰청 폐지 골자의 검찰 조직 개편안도 이번 조직 개편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여당에서는 검찰의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는 내용의 '검찰개혁 4법'을 발의했다.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발의한 법안에는 검찰 권력의 핵심인 기소권은 법무부 산하에 공소청을 신설해 여기로 이관하는 내용이 담겼다. 수사권은 행정안전부 산하에 중대범죄수사청을 신설해 이곳으로 넘기기로 했다. 다만 수사권을 행안부 산하에 둘지 법무부 산하에 둘지를 두고는 여권 내에서도 이견이 있어 더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개편 방안을 놓고도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금융위 해체 차원의 '금융위 정책과 감독 기능 분리' 조직 개편안이 유력했다. 그러나 최근 여당에서 기획재정부 내 국제금융 업무를 금융위로 이관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하며 '금융위 존치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론에 제동이 걸렸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이 역시도 오리무중인 상황이다. ycy1486@newspim.com 2025-07-26 07:00
사진
특검, 한덕수 자택·총리공관 압수수색"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내란특검팀이 24일 국무총리 서울공관에 대한 압수수색에 들어갔다. 국무총리실은 이날 문자 공지를 통해 특검팀의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검은 이날 한덕수 전 총리 자택 압수수색에도 나섰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내란 특검 사무실에서 조사를 마치고 차량으로 이동하고 있다. 2025.07.02 leehs@newspim.com 한 전 총리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계획을 알고도 이를 묵인 또는 방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검은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한 전 총리 등을 다시 조사한 뒤 구속영장 청구 여부 등을 검토할 전망인 것으로 알려졌다. sheep@newspim.com 2025-07-24 13:5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