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노경은 기자] 온라인상 일부 휴대전화 판매점들이 애플의 아이폰5에 과도한 보조금을 지급하며 또다시 시장을 혼탁하게 하고 있다. 이른바 '갤럭시S3 17만원 사태'와 같은 상황이 또다시 기승을 부리는 것이다.
온라인 판매점들은 '주말 특별정책' 명목으로 보조금을 스팟성으로 과다 지급하며 고객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14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온라인 판매점은 11일 밤부터 온라인 휴대폰 커뮤니티 및 공동구매 사이트 등에서 SK텔레콤의 아이폰5 16기가 제품을 번호이동을 조건으로 32만~36만원에 판매했다.

아이폰5 16기가 제품의 출고가는 81만4000원으로 이번에 이통사가 제공한 보조금은 50만원에 달한 것이다. 이는 방통위에서 권고한 보조금 상한선인 27만원을 훌쩍 뛰어넘어선 수준이다.
여기에 62요금제(월 6만 2000원 납부) 이상 요금제를 사용할 경우 추가로 지원받는 13만원까지 더해지면 아이폰5를 19만원 선에 구입할 수 있는 것이다.
업계에서는 아이폰5를 둘러싼 판매점의 보조금 확대 정책이 아이폰5의 재고물량 해소와 함께 영업정지를 앞두고 고객 확보 차원에서 나온 대응책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아이폰5는 지난해 12월 7일 국내 출시 이후 한 달간 100만대까지 팔릴 것으로 예상됐지만 1월 초 기준으로 50만대 안팎에 머무르며 재고가 쌓였기 때문이다.
한 이통사 관계자는 "아이폰5가 기대만큼 흥행하지 못하면서 일부 판매점들이 재고 물량을 털어내기 위해 게릴라성으로 보조금을 집행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뉴스핌 Newspim] 노경은 기자 (now21c@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