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위스 3년째 1위, 북유럽 상위, 남유럽 추락, 美 7위, 日 13위, 中 29위
[뉴스핌=이기석 기자] 한국의 국가경쟁력이 5단계 상승하면서 3년만에 세계 19위를 회복했다.
보건 및 초등교육, 상품시장의 효율성, 금융시장의 성숙도 등이 6개 부문의 순위가 오르면서 전체 순위 상승에 기여했다.
거시경제 환경이나 기업혁신 등은 하락했지만 10위권의 비교적 높은 순위를 유지했고 인프라, 고등교육 및 훈련, 기술수용의 적극성, 시장규모 등도 10위권을 나타냈다.
그렇지만 제도적인 요인과 노동시장의 효율성, 금융시장의 성숙도 등은 순위 상승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60위권 밖에 포진되는 등 낙후하다는 평가를 면치 못했다.
◆ 韓 경쟁력 19위로 상승, 교육 부문 상승, 금융시장 낙후 여전
5일 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2012년 WEF의 국가경쟁력 순위평가에서 한국은 전체 144개 국가 중에서 19위를 차지, 지난해보다 5단계 상승했다.
한국은 지난 2009년 전체 19위를 기록했다가 2010년에는 22위, 2011년에는 24위로 밀린 바 있어 3년만에 19위를 회복한 것이다.
이는 스위스의 국제경영개발원(IMD; 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이 발표한 2012년 한국의 국가경쟁력 순위인 22위보다 높은 것이기도 하다.
WEF의 국가경쟁력 평가는 기본요인, 효율성 증진, 기업혁신 및 성숙도 등 3대 분야로 구성돼 있으며 12개 중간부문과 111개 세부항목으로 구성돼 있으며, 설문과 통계로 순위가 평가된다.
12개 중간 부문을 보면, 보건 및 초등교육 분야가 15위에서 11위로, 상품시장 효율성이 37이에서 29위로 상승했으며, 금융시장 성숙도도 80위에서 71위로 올랐다.
제도적인 요인이 65위에서 62위, 노동시장의 효율성이 76위에서 73위, 기업활동의 성숙도가 25위에서 22위로 올랐다.
반면 거시경제 환경이 6위에서 10위, 기업혁신이 14위에서 16위로 하락했다.
인프라 부문은 9위, 시장규모가 11위, 고등교육 및 훈련이 17위, 기술수용의 적극성이 18위로 변동이 없었다.
국가경쟁력 부문 중에서 제도적인 요인이나 노동시장의 효율성, 금융시장의 성숙도 등은 비록 순위가 오르긴 했지만 60위권 밖에 있어 여전히 취약한 부문으로 평가되었다.
◆ 스위스 3년째 1위, 북유럽 견고, 재정위기 남유럽 추락
한편 국가별 순위를 보면, 스위스가 3년 연속 1위를 차지한 가운데 싱가포르가 2위, 핀란드가 3위, 스웨덴이 4위, 네델란드가 5위, 독일이 6위, 미국이 7위, 영국이 8위, 홍콩과 일본이 각각 9위와 10위에 랭크됐다.
전체적으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도 스위스와 북유럽 국가들이 강한 경쟁력 상태를 유지했으며, 유로존 재정위기의 진앙지로 평가된 남유럽 국가들은 취약한 수준을 보였다.
남유럽 국가들은 거시경제 불균형과 금융접근성 부족, 노동시장 경직성, 혁신 부족 등을 이유로 스페인이 36위, 이탈리아가 42위, 포르투갈이 49위를 기록했으며, 그리스는 96위로 밀려났다.
미국의 경우는 7위로 전년대비 2단계 하락하면서 4년 연속 추락했다. 거시경제 취약성과 정치인에 대한 낮은 신뢰, 정부 효율성에 대한 우려가 원인이 됐으나 글로벌 혁신, 시장효율성 면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신흥국가 중에서는 중국이 3단계 하락하면서 29위를 기록했다. 브라질이 48위로 상승했으나 남아프리카공화국이 52위, 인도 59위, 러시아 67위 등 하락한 나라가 많았다.
아시아 국가로는 싱가포르가 지난해에 이어 2위로 상위에 랭크됐고, 홍콩과 일본이 각각 9위와 10위를 기록했으며, 대만이 13위를 기록하며 한국보다는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재정부 장기전략국의 김재환 경쟁력전략과장은 “한국의 국가경쟁력이 3년만에 19위 수준을 회복한 데 의미가 있다”며 “특히 초중등 교육의 질 향상 등 보건 및 초등교육 부문과 창업시간과 절차 감소 등 상품시장의 효율성 증진이 기여한 바가 크다”고 말했다.
이어 김재환 과장은 “제도적 요인이나 노동시장의 효율성, 금융시장의 성숙도는 과거에도 취약하다고 평가됐으나 순위 상승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60위권 밖으로 취약한 상태”라며 “국가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보면 이들 분야에 대한 개선 노력이 지속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이기석 기자 (reuha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