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스왑 시장 개요
통화스왑의 현금흐름
통화스왑(CRS, Cross Currency Swap)이란 ‘거래당사자간에, 약정한 일정기간(over an agreed period)에 걸쳐, 相異한 통화에 대한 이자금액을 서로 교환하기로 하고, 계약만기시점에 계약시점에서 약정한 교환환율(exchange rate)로 원금을 상호 교환하는 계약’이라 정의할 수 있다.

거래 당사자간에 교환환율(Exchange rate)을 적용하여 異種通貨를 교환한다.
예컨대, 스왑거래 이용자가 미화 일천만불(Usd 10Mio.) 을 수취하기로 하였다면 그 반대급부로 스왑은행에 교환환율(보통 계약시점의 현물환율) \\/$1,000을 곱한 \\10,000,000,000원을 지급하게 된다.
거래개시일에 사용된 교환환율은 거래만기일의 원금 교환금액을 계산할 때 다시 사용된다.
거래만기일의 현금흐름은 개시일과 반대로, 이용자가 원화 일백억원을 수취하고 미화 일천만불을 지급하게 된다. 단, 거래개시일의 원금교환은 당사자간 합의에 의하여 교환하지 아니할 수 있다.
스왑은행은 거래개시일에 원화를 수취하였는데, 이는 원화를 借入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지므로 약정기간에 걸쳐 원화이자를 지급하게 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거래되는 Krw/Usd 통화스왑의 경우 이자지급주기는 매6개월이다. 반대로 스왑이용자의 입장에서는 Usd를 차입한 효과가 발생하므로, 매6개월마다 6개월 Libor 금리를 지급하게 된다.
현재 우리나라 은행간 거래 통화스왑 만기는 1, 2, 3, 4, 5, 7, 10년이다. 통화스왑의 만기 역시 이자율스왑의 만기와 궤를 같이하여 20년까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6개월 Libor(6mon Libor)의 금리결정(Fixing)은 이자기산일 시점 2일전 으로 한다. 예컨대, 통화스왑계약을 체결하여 2006년 2월 20일에 이자지급이 이루어 진다면 이자기산일은 2005년 8월 20일이 된다.
따라서, 2006년 2월 20일에 지급될 이자금액은 2005년 8월 18일 고시된 6mon. Libor가 된다.
은행간 통화스왑의 경우 Usd 이자금액은 6mon Libor 이나, 對고객 거래의 경우 당사자간 약정에 의해 변동금리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6mon Libor ± Spread로 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이자지급주기 자체를 변화시킬 수도 있겠다

거래개시일에 교환하였던 원금을 반대로 상호 교환한다. 이는 마치 차입한 자금을 상환하는 것과 같다.
거래만기일 원금교환에 사용되는 교환환율은 거래개시일에 사용되었던 교환환율이 그대로 사용된다.
통화스왑은 初期 元金交換의 有•無, 변동금리 6개월 Libor에 加算되는 스프레드 수준 등에 따라 通貨危險(Foreign Exchange risk, Forex risk, F/X risk)을 창출시킨다.
노출된 통화위험에 대하여는 환시장에 개입하여 Spot 혹은 Forward 거래를 통해 F/X Position을 변동시킴으로써 위험을 관리하여야 한다.
-------------------------------------------------------------------------
*영국 달력기준 2營業日 前임에 주의하여야 한다.
이자율 스왑계약에서와 같이 변동금리는 스왑 계약기간 동안 변동하게 되는데 통화스왑의 변동주기는 6개월로 이자율스왑의 3개월 변동주기와 차이가 있다.
이자율스왑은 우리나라 원화에 대한 스왑으로 영업일을 결정함에 있어 우리나라 달력을 사용하는 반면, 통화스왑 변동금리의 준거금리인 6개월 Libor(London Inter-bank Offered Rate)는 London Business Day를 이용하여 결정한다.
-------------------------------------------------------------------------

위 그림에서 Onshore Krw/USD Swap Rate라고 표기된 부분은 2006.12.20. 우리나라 국내 은행간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통화스왑 가격을 보여 주고 있다.
통화스왑의 현금흐름이 ‘6 mon. Libor’와 ‘Krw 고정금리(Fixed Rate)’로 구성되어 있음을 생각하고 화면에 고시된 금리에 대하여 살펴 보자.
현재 5년 CRS 금리는 Bid 4.66%, Offer 4.67%로 고시되고 있다. 은행간 CRS의 변동금리는 항상 6 mon. Libor로 고정되므로, 화면에서 보여 주고 있는 4.66%, 4.67% 금리는 변동금리에 상응하는 원화 고정금리임을 쉽게 알 수 있다.
Bid 4.66%는 시장조성자(Market maker)가 변동금리를 수취하는 조건으로 지급할 의사가 있는 원화고정금리를, Offer 4.67%는 원화고정금리 수취 의사가 있는 금리수준을 표시한다.
화면은 Bid, Offer 가격 이외에 각 만기별로 始價(Open), 高價(High), 低價(Low)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5년 CRS 금리에 따라 시장조성자인 스왑은행의 거래 의사표시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통화스왑의 거래
통화스왑 거래는 환위험 관리목적 또는 자본시장 상품가격이 비정상적 으로 형성되었을 경우 이를 통해 초과수익을 창출할 목적(Relative value trading) 등으로 사용된다.
* 통화스왑 이자금액의 계산
이자금액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원금, 이자율, 이자 계산을 위한 기간 및 Basis가 필요함을 이자율스왑에서 살펴 보았다.
스왑계약의 현금이 지급(수취)되는 一方을 ‘Leg’라 한다. 통화스왑의 원화Leg는 이자금액 계산을 위하여 ‘a/365F’를 쓰는 반면 미화Leg는 ‘a/360’을 사용한다.
★ 例) 원금 Usd 10Mio., 교환환율 Krw/USD 965, 원화고정금리 3.5%, 미화 변동금리 6mon. Libor 4.5%, 이자계산구간 2006. 4. 26. ~ 2006. 10. 26.를 가정할 경우,
Krw 이자금액 = 9,650,000,000 × 0.035 × 183일 ÷ 365일 = 169,337,671
Usd 이자금액 = 10,000,000 × 0.045 × 183일 ÷ 360일 = 228,750.00
* 통화스왑 거래계약서
이자율스왑과 동일하게 통화스왑을 거래하게 되면 거래확인서(Confirmation)를 교환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거래확인서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1-2일의 시일이 소요됨에 따라 거래 당일 거래한 내역을 證憑하는 거래내역서를 작성하여 상호 보관하게 된다.
Transaction Confirmation (例)
(CRS: Krw/Usd)
Deal Date : 22nd Aug. 2006
USD Principal Amount : USD 10,000,000
KRW Principal Amount : KRW9,650,000,000 (Agreed Exchange Rate : KRW965.00/USD)
Principal Exchange: On the commencement date, ABC bank pays to XYZ bank Usd10,000,000 and receives KRW9,650,000,000 from XYZ Bank. On the termination date, XYZ bank pays to ABC bank USD10,000,000 and receives KRW9,650,000,000 from ABC bank.
Commencement Date : 24th Aug.2006
Termination Date : 24th Aug. 2011 Term : 5 year
KRW Fixed Rate Payer : ABC bank
Floating Rate Payer : XYZ bank
KRW Fixed Rate : 3.50% pa, calculated on an Actual/365(Fixed) Basis
USD Floating Rate : 6 months LIBOR(flat) calculated to five decimal places, as quoted on Telerate Screen 3750, 11:00 A.M. London time.
USD Floating Rate Fixing Dates: 2 Business Days Prior to Reset Date
First Fixing Rate: 4.50% pa
Interest Payment Dates: Semi annual payment on 24th of the relevant month in each year, commencing on Feb.2006 up to and including the Termination date (Subject to adjustment in accordance with the Business or Non-Business Day Convention as follows)
Day Count Method - KRW: Semi Annually calculated on an actual/365(fixed) Day Basis
- USD : Semi Annually calculated on an actual/360 Day Basis
Business Day Convention : London for Fixing , New York & Seoul for Payment
Non-Business Day Convention : Modified Following
Miscellaneous Documentation : ISDA
□ 거래내역서_용어설명
▀ Deal Date: 거래가 성사된 일자를 표시한다.
거래는 다툼이 발생할 경우 거래내역을 증빙하기 위하여 녹음이 되는 장비를 이용한다. 예컨대, 유선으로 거래조건에 합의하였다면 전화통화내역을 녹음함으로써 事後 분쟁에 대비하게 된다.
▀ USD Principal Amount, KRW Principal Amount: 통화스왑의 원금은 이자율스왑과 달리 실제 교환이 되는 금액을 표기하고 있다.
따라서, 이자율스왑의 명목원금과는 성격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스왑거래의 개시일에 원금교환을 생략하기도 하는데 이때는, F/X 위험의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 Commencement Date: 통화스왑이 실제로 시작되는 일자를 보여주고 있다.
Effective Date라 불리기도 하는데 실제 거래가 유효하기 시작한 일자를 뜻한다. 은행간에 거래되는 표준 통화스왑의 거래개시일(Commencement Date)은 거래일(Deal Date) 보다 2營業日 後가 된다.
▀ Usd 6mon. Rate: 우리나라 Krw/Usd 은행간 통화스왑의 변동금리는 그 준거금리로 6개월 Libor를 사용하고 있다.
거래확인서에 ‘Flat’이라 표시된 것은 변동금리가 6개월 Libor로 가산금리가 없음을 나타내고 있다.
약정에 따라 변동금리를 6mon. Libor ± α로 할 수 있을 것이다. 은행간 표준 통화스왑은 Flat을 사용하고 있다.
▀ USD Floating Rate Fixing Dates: 변동금리가 재설정되는 방식을 규정하고 있다. 변동금리는 이자기산일(Reset Date) 2 영업일 전으로 하고 있다.
例에서 거래개시일이 8월 24일에 해당하므로, 이자계산 기간은 8월 24일부터 2월 23일이 된다.
처음 이자지급은 2006년 8월 24일부터 기산하여 2007년 2월 24일 지급되는데, 그 일자계산은 초일산입 말일 불산입 원칙에 따르므로 2007년 2월 24일 일자에 해당하는 이자는 지급되지 않는다.
두번째 이자지급은 2007년 2월 24일부터 기산하여 2007년 8월 24일 구간에 대하여 지급된다.
두번째 이자금액을 계산하기 위한 변동금리의 Fixing은 2007년 2월 24일부터 영국(London) 달력 기준으로 2영업일 前 Libor 금리를 사용하게 된다.
▀ First Fixing Rate: 예에서, 처음 이자지급일에 지급되는 변동금리 이자금액을 계산하기 위하여 적용된 Libor 금리이다. 개시일 前 2 London 영업일 금리에 해당한다.
▀ Business Day Convention: Krw/Usd 통화스왑의 이자금액을 교환하기 위한 영업일의 기준은 NewYork과 Seoul의 달력을 이용한다. 변동금리의 Fixing은 London 달력을 사용한다.
-------------------------------------------------------------------------
*한•미간 금리차이를 감안할 경우 양국의 자본시장 상품은 특정 가격관계를 유지하여야 한다.
환율시장과 자금시장(Money market)은 상호 밀접한 관계에 있는데 만일 이러한 관련을 일탈하여 자산가격이 형성될 경우 차익거래(arbitrage)의 가능성이 열리게 된다.
-------------------------------------------------------------------------
통화스왑의 현금흐름
통화스왑(CRS, Cross Currency Swap)이란 ‘거래당사자간에, 약정한 일정기간(over an agreed period)에 걸쳐, 相異한 통화에 대한 이자금액을 서로 교환하기로 하고, 계약만기시점에 계약시점에서 약정한 교환환율(exchange rate)로 원금을 상호 교환하는 계약’이라 정의할 수 있다.

거래 당사자간에 교환환율(Exchange rate)을 적용하여 異種通貨를 교환한다.
예컨대, 스왑거래 이용자가 미화 일천만불(Usd 10Mio.) 을 수취하기로 하였다면 그 반대급부로 스왑은행에 교환환율(보통 계약시점의 현물환율) \\/$1,000을 곱한 \\10,000,000,000원을 지급하게 된다.
거래개시일에 사용된 교환환율은 거래만기일의 원금 교환금액을 계산할 때 다시 사용된다.
거래만기일의 현금흐름은 개시일과 반대로, 이용자가 원화 일백억원을 수취하고 미화 일천만불을 지급하게 된다. 단, 거래개시일의 원금교환은 당사자간 합의에 의하여 교환하지 아니할 수 있다.

스왑은행은 거래개시일에 원화를 수취하였는데, 이는 원화를 借入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지므로 약정기간에 걸쳐 원화이자를 지급하게 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거래되는 Krw/Usd 통화스왑의 경우 이자지급주기는 매6개월이다. 반대로 스왑이용자의 입장에서는 Usd를 차입한 효과가 발생하므로, 매6개월마다 6개월 Libor 금리를 지급하게 된다.
현재 우리나라 은행간 거래 통화스왑 만기는 1, 2, 3, 4, 5, 7, 10년이다. 통화스왑의 만기 역시 이자율스왑의 만기와 궤를 같이하여 20년까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6개월 Libor(6mon Libor)의 금리결정(Fixing)은 이자기산일 시점 2일전 으로 한다. 예컨대, 통화스왑계약을 체결하여 2006년 2월 20일에 이자지급이 이루어 진다면 이자기산일은 2005년 8월 20일이 된다.
따라서, 2006년 2월 20일에 지급될 이자금액은 2005년 8월 18일 고시된 6mon. Libor가 된다.
은행간 통화스왑의 경우 Usd 이자금액은 6mon Libor 이나, 對고객 거래의 경우 당사자간 약정에 의해 변동금리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6mon Libor ± Spread로 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이자지급주기 자체를 변화시킬 수도 있겠다

거래개시일에 교환하였던 원금을 반대로 상호 교환한다. 이는 마치 차입한 자금을 상환하는 것과 같다.
거래만기일 원금교환에 사용되는 교환환율은 거래개시일에 사용되었던 교환환율이 그대로 사용된다.
통화스왑은 初期 元金交換의 有•無, 변동금리 6개월 Libor에 加算되는 스프레드 수준 등에 따라 通貨危險(Foreign Exchange risk, Forex risk, F/X risk)을 창출시킨다.
노출된 통화위험에 대하여는 환시장에 개입하여 Spot 혹은 Forward 거래를 통해 F/X Position을 변동시킴으로써 위험을 관리하여야 한다.
-------------------------------------------------------------------------
*영국 달력기준 2營業日 前임에 주의하여야 한다.
이자율 스왑계약에서와 같이 변동금리는 스왑 계약기간 동안 변동하게 되는데 통화스왑의 변동주기는 6개월로 이자율스왑의 3개월 변동주기와 차이가 있다.
이자율스왑은 우리나라 원화에 대한 스왑으로 영업일을 결정함에 있어 우리나라 달력을 사용하는 반면, 통화스왑 변동금리의 준거금리인 6개월 Libor(London Inter-bank Offered Rate)는 London Business Day를 이용하여 결정한다.
-------------------------------------------------------------------------

위 그림에서 Onshore Krw/USD Swap Rate라고 표기된 부분은 2006.12.20. 우리나라 국내 은행간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통화스왑 가격을 보여 주고 있다.
통화스왑의 현금흐름이 ‘6 mon. Libor’와 ‘Krw 고정금리(Fixed Rate)’로 구성되어 있음을 생각하고 화면에 고시된 금리에 대하여 살펴 보자.
현재 5년 CRS 금리는 Bid 4.66%, Offer 4.67%로 고시되고 있다. 은행간 CRS의 변동금리는 항상 6 mon. Libor로 고정되므로, 화면에서 보여 주고 있는 4.66%, 4.67% 금리는 변동금리에 상응하는 원화 고정금리임을 쉽게 알 수 있다.
Bid 4.66%는 시장조성자(Market maker)가 변동금리를 수취하는 조건으로 지급할 의사가 있는 원화고정금리를, Offer 4.67%는 원화고정금리 수취 의사가 있는 금리수준을 표시한다.
화면은 Bid, Offer 가격 이외에 각 만기별로 始價(Open), 高價(High), 低價(Low)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5년 CRS 금리에 따라 시장조성자인 스왑은행의 거래 의사표시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통화스왑의 거래
통화스왑 거래는 환위험 관리목적 또는 자본시장 상품가격이 비정상적 으로 형성되었을 경우 이를 통해 초과수익을 창출할 목적(Relative value trading) 등으로 사용된다.
* 통화스왑 이자금액의 계산
이자금액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원금, 이자율, 이자 계산을 위한 기간 및 Basis가 필요함을 이자율스왑에서 살펴 보았다.
스왑계약의 현금이 지급(수취)되는 一方을 ‘Leg’라 한다. 통화스왑의 원화Leg는 이자금액 계산을 위하여 ‘a/365F’를 쓰는 반면 미화Leg는 ‘a/360’을 사용한다.
★ 例) 원금 Usd 10Mio., 교환환율 Krw/USD 965, 원화고정금리 3.5%, 미화 변동금리 6mon. Libor 4.5%, 이자계산구간 2006. 4. 26. ~ 2006. 10. 26.를 가정할 경우,
Krw 이자금액 = 9,650,000,000 × 0.035 × 183일 ÷ 365일 = 169,337,671
Usd 이자금액 = 10,000,000 × 0.045 × 183일 ÷ 360일 = 228,750.00
* 통화스왑 거래계약서
이자율스왑과 동일하게 통화스왑을 거래하게 되면 거래확인서(Confirmation)를 교환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거래확인서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1-2일의 시일이 소요됨에 따라 거래 당일 거래한 내역을 證憑하는 거래내역서를 작성하여 상호 보관하게 된다.
Transaction Confirmation (例)
(CRS: Krw/Usd)
Deal Date : 22nd Aug. 2006
USD Principal Amount : USD 10,000,000
KRW Principal Amount : KRW9,650,000,000 (Agreed Exchange Rate : KRW965.00/USD)
Principal Exchange: On the commencement date, ABC bank pays to XYZ bank Usd10,000,000 and receives KRW9,650,000,000 from XYZ Bank. On the termination date, XYZ bank pays to ABC bank USD10,000,000 and receives KRW9,650,000,000 from ABC bank.
Commencement Date : 24th Aug.2006
Termination Date : 24th Aug. 2011 Term : 5 year
KRW Fixed Rate Payer : ABC bank
Floating Rate Payer : XYZ bank
KRW Fixed Rate : 3.50% pa, calculated on an Actual/365(Fixed) Basis
USD Floating Rate : 6 months LIBOR(flat) calculated to five decimal places, as quoted on Telerate Screen 3750, 11:00 A.M. London time.
USD Floating Rate Fixing Dates: 2 Business Days Prior to Reset Date
First Fixing Rate: 4.50% pa
Interest Payment Dates: Semi annual payment on 24th of the relevant month in each year, commencing on Feb.2006 up to and including the Termination date (Subject to adjustment in accordance with the Business or Non-Business Day Convention as follows)
Day Count Method - KRW: Semi Annually calculated on an actual/365(fixed) Day Basis
- USD : Semi Annually calculated on an actual/360 Day Basis
Business Day Convention : London for Fixing , New York & Seoul for Payment
Non-Business Day Convention : Modified Following
Miscellaneous Documentation : ISDA
□ 거래내역서_용어설명
▀ Deal Date: 거래가 성사된 일자를 표시한다.
거래는 다툼이 발생할 경우 거래내역을 증빙하기 위하여 녹음이 되는 장비를 이용한다. 예컨대, 유선으로 거래조건에 합의하였다면 전화통화내역을 녹음함으로써 事後 분쟁에 대비하게 된다.
▀ USD Principal Amount, KRW Principal Amount: 통화스왑의 원금은 이자율스왑과 달리 실제 교환이 되는 금액을 표기하고 있다.
따라서, 이자율스왑의 명목원금과는 성격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스왑거래의 개시일에 원금교환을 생략하기도 하는데 이때는, F/X 위험의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 Commencement Date: 통화스왑이 실제로 시작되는 일자를 보여주고 있다.
Effective Date라 불리기도 하는데 실제 거래가 유효하기 시작한 일자를 뜻한다. 은행간에 거래되는 표준 통화스왑의 거래개시일(Commencement Date)은 거래일(Deal Date) 보다 2營業日 後가 된다.
▀ Usd 6mon. Rate: 우리나라 Krw/Usd 은행간 통화스왑의 변동금리는 그 준거금리로 6개월 Libor를 사용하고 있다.
거래확인서에 ‘Flat’이라 표시된 것은 변동금리가 6개월 Libor로 가산금리가 없음을 나타내고 있다.
약정에 따라 변동금리를 6mon. Libor ± α로 할 수 있을 것이다. 은행간 표준 통화스왑은 Flat을 사용하고 있다.
▀ USD Floating Rate Fixing Dates: 변동금리가 재설정되는 방식을 규정하고 있다. 변동금리는 이자기산일(Reset Date) 2 영업일 전으로 하고 있다.
例에서 거래개시일이 8월 24일에 해당하므로, 이자계산 기간은 8월 24일부터 2월 23일이 된다.
처음 이자지급은 2006년 8월 24일부터 기산하여 2007년 2월 24일 지급되는데, 그 일자계산은 초일산입 말일 불산입 원칙에 따르므로 2007년 2월 24일 일자에 해당하는 이자는 지급되지 않는다.
두번째 이자지급은 2007년 2월 24일부터 기산하여 2007년 8월 24일 구간에 대하여 지급된다.
두번째 이자금액을 계산하기 위한 변동금리의 Fixing은 2007년 2월 24일부터 영국(London) 달력 기준으로 2영업일 前 Libor 금리를 사용하게 된다.
▀ First Fixing Rate: 예에서, 처음 이자지급일에 지급되는 변동금리 이자금액을 계산하기 위하여 적용된 Libor 금리이다. 개시일 前 2 London 영업일 금리에 해당한다.
▀ Business Day Convention: Krw/Usd 통화스왑의 이자금액을 교환하기 위한 영업일의 기준은 NewYork과 Seoul의 달력을 이용한다. 변동금리의 Fixing은 London 달력을 사용한다.
-------------------------------------------------------------------------
*한•미간 금리차이를 감안할 경우 양국의 자본시장 상품은 특정 가격관계를 유지하여야 한다.
환율시장과 자금시장(Money market)은 상호 밀접한 관계에 있는데 만일 이러한 관련을 일탈하여 자산가격이 형성될 경우 차익거래(arbitrage)의 가능성이 열리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