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농외 근로소득 2000만원까지 경영체 등록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농림축산식품부는 여성농업인이 겸업을 할 경우 공동경영주 등록이 가능하도록 제도를 개선했다고 25일 밝혔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공동경영주 제도는 경영주의 배우자인 여성농업인을 경영 주체로 인정하고 제도적 지위를 보장하기 위해 지난 2016년에 도입됐다.
공동경영주로 등록하는 경우 농업인 수당, 복지바우처, 농촌 여성창업지원사업, 농촌 국민연금·건강보험, 고용보험 미가입자 출산급여 등 다양한 정책의 지원 대상이 된다.
![]() |
|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15일 서울 중구 농협중앙회 본관 대강당에서 열린 제3회 여성농업인의 날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2024.10.15 yooksa@newspim.com |
그러나 경영주는 겸업을 해도 농업인 자격이 인정되는 반면, 배우자인 농업인은 일시적으로라도 취업해서 국민연금법상 사업장가입자 또는 국민건강보험상 직장가입자가 되면 농업인 확인서 발급 규정(농식품부 고시)에 따라 경영체 등록이 취소되어 농업인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이에 농식품부는 농한기에 일시적 취업을 통해서라도 생계를 꾸려야 하는 농촌현실을 감안해 K-농정협의체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공동경영주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했다.
여성농업인이 일시적으로 취업하더라도 겸업을 통한 근로소득(농업인 확인서 발급 신청 직전 달 포함 과거 1년)이 2000만원 미만이고, 연간 90일 이상 영농에 종사한 사실이 확인되면 공동경영주 지위를 누릴 수 있게 되는 게 주된 골자다.
이러한 개선 사항은 관련 고시를 개정해 반영할 예정이며 내년 3월부터는 실제 현장에서 적용된다.
plum@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