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금리 인하 전망 50% 아래로
연준 부의장 "금리 인하 천천히 진행해야"
러시아 노보로시스크 항만, 원유 선적 재개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약화되면서 17일(현지시간) 금 가격이 하락했다. 시장은 데이터 적체가 해소돼 미국 경제에 대한 보다 명확한 그림이 나올 때까지 기다리는 분위기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금 선물 12월물은 0.5% 내린 4,074.5달러에 마감했다. 금 현물은 한국시간 기준 18일 오전 5시 13분 기준 1.5% 하락한 온스당 4,019.12달러였다.
주요 통화 대비 달러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지수는 0.25% 상승해, 달러로 표시되는 금이 다른 통화 보유자들에게 더 비싸졌다.
하이리지퓨처스의 금속 거래 이사 데이비드 메거는 "미국 정부 재가동 이후 대량의 경제 지표 발표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시장이 등락을 반복하며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현재 추가 연준 금리 인하 기대가 약해지면서 금 가격에 대한 낙관론이 둔화됐다"고 덧붙였다.
오는 19일에는 연준의 지난 회의록이 공개되고 20일에는 9월 고용 보고서 발표가 예정돼 있다. 해당 회의에서 연준은 기준금리를 25bp(0.25%포인트) 인하한 바 있다.
약 6주 동안 신뢰할 만한 노동시장 및 인플레이션 통계가 부재한 상황에서, 연준 정책위원들 중 12월 회의 금리 인하에 대해 매파적 태도를 유지하는 인사들은 점점 늘고 있다.
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트레이더들은 현재 12월 25bp 금리 인하 가능성을 41%로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지난주 60% 이상에서 크게 낮아진 수준이다.
이날 필립 제퍼슨 연준 부의장은 연준이 추가 금리 인하를 천천히 진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플레이션 하방 압력을 줄 수 있는 수준 이하로 기준금리가 낮아질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스코샤은행 애널리스트들은 불확실한 경제 상황과 향후 실질금리 하락 가능성을 이유로 2026년 금 가격을 온스당 3,800달러, 올해는 3,450달러로 예상했다.
![]() |
| 러시아 국기를 단 로스네프트 소속 원유 운반선 블라디미르 모노마흐호가 2023년 7월 6일 튀르키예 이스탄불의 보스포루스 해협을 항해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유가는 러시아 항만에서의 원유 선적 재개 소식 등으로 소폭 하락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브렌트유 1월물은 배럴당 64.20달러로 19센트(0.3%) 하락했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12월물은 59.91달러로 18센트(0.3%) 하락해 마감했다.
두 벤치마크 유종은 금요일에 각각 2% 넘게 상승했는데, 이는 러시아 흑해 연안 수출항인 노보로시스크 항만과 인근 카스피해 파이프라인 컨소시엄(CPC) 터미널에서 수출이 중단되며 전 세계 공급의 약 2%에 해당하는 물량이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업계 소식통 두 명과 LSEG 데이터에 따르면, 노보로시스크는 일요일부터 선적을 재개했다. 다만 시장은 여전히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에너지 인프라 공격을 주목하고 있다.
TP ICAP 그룹의 에너지 전문가 스콧 셸튼은 "노보로시스크의 선적 재개 소식이 장 초반 약세를 이끌었지만, 그 영향은 오래가지 않았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군은 지난 토요일 러시아 랴잔(Ryazan) 정유시설을 타격했다고 밝혔으며, 우크라이나 합참은 일요일 러시아 사마라 지역의 노보쿠이비셰프스크(Novokuibyshevsk) 정유시설도 공격받았다고 발표했다.
후지토미증권의 타자와 도시타카 애널리스트는 "투자자들은 우크라이나의 공격이 장기적으로 러시아 원유 수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가늠하려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ING 보고서는 국제유시장이 2026년까지 큰 공급 과잉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우크라이나 드론의 러시아 에너지 시설 공격에 따른 공급 위험 증가, 그리고 전 세계 하루 2,000만 배럴의 원유가 통과하는 호르무즈 해협을 지나 오만만에서 발생한 이란의 유조선 나포 사건을 경고 요소로 지적했다.
BOK 파이낸셜의 데니스 키슬러 수석 부사장은 "글로벌 공급 증가 기대 속에 지정학적 위험이 높게 유지되면서, 유가 변동성이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kwonjiun@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