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국가균형성장을 위한 지속가능한 대학 생태계 구축' 토론회 개최
"대학, 지역 인재·일자리 창출·산업 발전 핵심축…지역과 상생해야"
[서울=뉴스핌] 송주원 기자 = 최교진 교육부 장관이 미국 엠아이티(MIT) 등을 벤치마킹해 대학과 기업의 지속 가능한 협력체계를 만들기로 했다.
최 장관은 1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국가균형성장을 위한 지속가능한 대학 생태계 구축' 토론회에서 "대학은 지역 인재를 길러내고 일자리를 창출하며, 산업 발전을 이끄는 핵심 축"이라며 이 같이 강조했다.
![]() |
| 최교진(앞줄 왼쪽에서 일곱 번째) 교육부 장관, 김영호(앞줄 왼쪽에서 여덟 번째) 교육위원장 등이 1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국가균형성장을 위한 지속가능한 대학 생태계 구축' 토론회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송주원 기자] |
교육부는 지난 9월 '국가균형성장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 방향'을 발표했다. 방향의 핵심은 ''5극3특 국가균형성장 전략'과 연계해 각 권역의 거점국립대를 중심으로 지산학연 협력체계를 만들고, 라이즈(RISE) 체계를 통해 중소규모 지역대학도 지역과 밀착한 특성화 대학으로 성장하도록 상생 구조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다.
최 장관은 "우리는 그동안 많은 사례를 통해 지역과 대학이 살아나기 위해서는 대학-지역-기업 간 연계와 협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웠다"며 "그동안 정부도 산학협력을 위해 많은 재정을 투입했지만 대부분이 단기간 지원되는 사업단 중심으로 설계됐다. 그래서 사업이 끝나면 인력과 조직이 사라지고, 성과도 이어지지 않았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교육부는 정부의 지원이 끊기면 산학 간 협력도 끊기는 구조를 없애고, 대학-기업의 지속 가능한 협력체계를 만들고자 한다. 정부가 산학일체 전략의 설계자가 되어 대학의 교육·연구가 산업현장과 연계되는 지속 가능한 성장 생태계를 만들겠다"며 "미국의 MIT 켄달 스퀘어, 애리조나주립대 이노베이션 존(Innovation Zone), 일본의 도쿄대–도요타 협력 모델처럼, 특성화 연구대학을 중심으로 기업이 대학 안에 연구소를 두고 학생과 교원이 연구과제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고 강조했다.
9년 연속 미국에서 가장 혁신적인 대학으로 선정된 애리조나 주립대학교는 기업·지자체와 함께 학생·교수, 연구소, 기업이 공동으로 지역과 지역 산업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미국 올린 공과대학교는 산업이 대학의 교실이 되는 환경을 만들었고, 일본 도쿄대학교는 도요타와 산학연계 제도를 정착시켰다.
최 장관은 "RISE 체계를 통해 대학–기업–지자체가 함께 운영하는 5극 3특 산학혁신벨트를 만들고, 각 권역별 공동연구소와 공유캠퍼스를 통해 지역 대학이 동반 성장하는 현장형 혁신교육·연구 플랫폼을 지원하겠다"라고 했다.
jane94@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