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종승 생활가전 개발팀장 "비스포크 AI로 '가사 제로 시대'"
스크린·빅스비·비전 기술로 생활 맞춤형 혁신
"사용자 이해해 스스로 동작하는 AI 가전으로 진화"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기술을 가전에 본격적으로 접목하며 '가사 노동 제로(zero)' 시대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지난해부터 비스포크 AI 제품을 선보인 삼성전자는 올해 주요 AI 가전 모델 수를 전년 대비 세 배 이상 확대하며 소비자 선택 폭을 넓혔다. 스스로 판단하고 실행하는 '똑똑한 가전'으로 집안일을 줄이고 생활의 여유를 제공하겠다는 목표다.
문종승 삼성전자 생활가전(DA)사업부 개발팀장(부사장)은 7일 삼성전자 뉴스룸과의 인터뷰에서 "비스포크 AI는 사용자를 이해하고 스스로 판단해 맞춤 경험을 제공하는 가전"이라며 "AI 기술과 제품 간 연결을 고도화해 기기가 사용자를 대신해 기능을 수행하고, 궁극적으로 집안일을 제로화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 |
| 문종승 삼성전자 DA사업부 부사장 [사진=삼성전자] |
문 부사장은 "비스포크 AI의 강점은 스크린(Screen), 빅스비(Bixby), 비전(Vision) 기술을 통해 세상에 없던 경험을 제공하는 데 있다"고 설명했다. 냉장고·세탁기·조리기기에 적용된 스크린은 각 제품의 기능을 한눈에 확인하고 통합 제어할 수 있도록 돕는다. 빅스비는 음성만으로 가전을 제어할 수 있게 하며, 비전 기술이 탑재된 냉장고나 로봇청소기, 오븐은 사물을 인식해 스스로 집안일을 수행한다. "가전이 사용자를 이해하고 스스로 판단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삼성전자는 이러한 기술을 뒷받침하기 위해 와이파이(Wi-Fi) 적용도 확대하고 있다. 문 부사장은 "4도어 냉장고의 경우 10대 중 9대(91%)에 와이파이가 적용돼 있다"며 "비스포크 AI 가전의 연결성과 기능을 지속적으로 확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특히 삼성전자의 AI 음성비서 '빅스비'는 가전에 특화된 거대언어모델(LLM)을 기반으로, "사람과 대화하듯 자연스럽게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고 문 부사장은 강조했다. 그는 "보이스 ID(Voice ID) 기능은 가족 구성원의 목소리를 구분해 개인 맞춤형 정보를 제공한다"며 "냉장고에 '내 일정 알려줘'라고 말하면 사용자의 일정과 사진을 바로 보여주는 식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빅스비를 하드웨어와 결합해 제품 사용성을 더욱 높였다. 문 부사장은 "음성 호출 없이도 명령을 수행하는 '웨이크 업리스(Wake up-less)' 기술을 업계 최초로 적용했다"며 "예를 들어 '냉장고 왼쪽 문 열어줘' 한 마디로도 문을 열 수 있다"고 소개했다.
비스포크 AI는 실제 생활 속 불편함을 해소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문 부사장은 "패밀리허브 냉장고의 AI 비전 인사이드 기능은 식재료를 자동 인식해 관리하고, 해당 재료로 만들 수 있는 레시피를 추천한다"며 "조리기기에 최적의 조리 값을 전송해 요리 과정의 번거로움도 줄인다"고 말했다. 또 '비스포크 AI 콤보' 세탁건조기는 "AI 맞춤+ 기능으로 옷감과 오염도를 분석해 세제량과 코스를 스스로 조절하고, AI 진동소음 저감 시스템으로 불편을 최소화한다"고 덧붙였다.
문 부사장은 "향후 비스포크 AI는 가전이 사용자보다 먼저 판단해 스스로 동작하는 수준으로 진화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보다 가치 있는 활동에 시간을 쓸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비스포크 AI 경험을 가정에서 나아가 건물, 자동차, 선박 등 다양한 산업으로 확장할 계획"이라며 "국내외 기업과 협력해 하드웨어·소프트웨어·서비스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미래를 앞당기겠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스마트싱스(SmartThings) 플랫폼을 기반으로 비스포크 AI의 연결성과 잠재력을 더욱 높이고 있으며, DA사업부의 글로벌 캠페인 'Why Samsung'의 두 번째 핵심 가치로 스마트싱스 기반의 연결 혁신을 제시할 예정이다.
syu@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