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력 계열사 실적 개선…국내 온라인·면세·크로스보더 판매 확대
해외 매출 3%↑·영업익 73%↑…라네즈·에스트라 성장 두드러져
[서울=뉴스핌] 조민교 기자 = 아모레퍼시픽 그룹이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1조 1,082억 원, 영업이익 1,043억 원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8%, 영업이익은 39.0% 증가했다. 실적 개선은 주력 계열사 아모레퍼시픽의 매출 확대와 수익성 강화가 주도했다.
아모레퍼시픽의 연결 기준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 증가한 1조 169억 원, 영업이익은 41% 증가한 919억 원을 기록했다. 국내 사업은 온라인, 멀티브랜드숍(MBS), 백화점 채널 판매가 견조하게 증가한 가운데 면세 및 크로스보더 채널 매출 회복이 더해지며 매출 4%, 영업이익 24% 증가했다. 설화수는 온·오프라인 전 채널에서 판매가 확대되며 프리미엄 스킨케어 시장 내 점유를 강화했다. 라네즈·에스트라는 이커머스 채널 중심으로 고성장을 이어갔으며, 마몽드는 크로스보더 채널 확대로 해외 판매 비중을 높였다. 미쟝센·라보에이치 등 헤어 브랜드는 신제품 출시 확대를 통해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
![]() |
해외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73% 증가했다. 미주 시장에서는 라네즈 성장세가 지속되고 에스트라·한율 등 신규 브랜드 유통 확대가 본격화됐다. EMEA(유럽·중동) 시장에서는 라네즈·이니스프리의 매출 증가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으며 에스트라 등 신규 브랜드 진입으로 포트폴리오가 확장되고 있다. 중화권 사업은 사업 구조 재정비를 통해 흑자 전환했고, 려 브랜드 등 기능성 헤어 제품의 수요 증가가 매출 성장을 이끌었다.
아모레퍼시픽홀딩스 주요 자회사도 실적 개선에 기여했다. 이니스프리는 '그린티 세라마이드 밀크 에센스' 출시와 운영 구조 효율화로 영업이익이 159% 증가했으며, 에뛰드는 MBS 채널 내 립·페이스 메이크업 판매 확대에 힘입어 매출 10%, 영업이익 145% 증가를 기록했다. 오설록은 말차 카테고리 확산으로 매출 27%, 영업이익 40% 증가했다. 다만 에스쁘아는 매출 3%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을 기록했고 아모스프로페셔널은 매출 2%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16% 감소했다.
아모레퍼시픽 그룹은 창립 80주년을 맞아 '크리에이트 뉴뷰티(Create New Beauty)'를 미래 비전으로 제시했다. 그룹은 프리미엄 스킨케어 글로벌 톱3 진입과 해외 매출 비중 70% 달성을 목표로 포트폴리오 고도화, 글로벌 사업 확장, AI 기반 운영 효율화를 지속 강화할 계획이다.
![]() |
| 아모레퍼시픽 CI 워드마크. [사진=아모레퍼시픽그룹 제공] |
mkyo@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