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Q 매출 6조9570억·영업익 4310억 기록
[서울=뉴스핌] 김아영 기자 = LG디스플레이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중심 체질 전환에 힘입어 3분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전 제품군의 OLED 출하 확대와 원가 효율화에 힘입어 4년 만의 연간 흑자 전환이 가시화됐다. 회사는 중소형과 대형 OLED 모두에서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며 프리미엄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LG디스플레이는 올해 3분기 매출 6조9570억원, 영업이익 4310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흑자로 돌아섰다.
![]() |
| LG디스플레이 파주사업장 전경 [사진=LG디스플레이] |
3분기 누적 기준으로는 매출 18조6092억원, 영업이익 3485억원을 기록했다. LCD TV 사업 종료로 매출은 1% 줄었지만, 영업실적은 약 1조원 개선됐다. OLED 중심의 사업 전환 효과가 본격화한 셈이다.
분기 매출 증가를 견인한 것은 OLED였다. OLED 패널 출하가 전 제품군에서 늘면서 3분기 매출은 전분기보다 25% 뛰었다. 중소형 OLED 신제품 출시와 계절적 성수기 효과로 전체 매출 중 OLED 비중은 역대 최고치인 65%를 차지했다. 제품별로는 TV용 패널 16%, IT용 패널(모니터·노트북·태블릿 등) 37%, 모바일용 및 기타 제품 39%, 차량용 패널 8%로 집계됐다.
손익 측면에서도 OLED 확산이 뚜렷했다. OLED 전반의 출하 확대와 강도 높은 원가 혁신 활동을 통해 전년 대비 5000억원 이상 손익이 개선됐다. 인력 운영 효율화에 따른 일회성 비용을 일부 반영했음에도 시장 기대치에 부합하는 실적을 거뒀다.
EBITDA(상각 전 영업이익)는 1조4239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35%,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했다. EBITDA 이익률은 20.5%로 수익성 회복세가 뚜렷했다.
LG디스플레이는 향후 OLED의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프리미엄 제품 비중을 더욱 높일 계획이다. 효율적인 생산·운영 체계를 정착시키고 고객 가치 제고를 통한 안정적 수익 창출에 주력한다는 구상이다.
중소형 부문에서는 기술 리더십과 공급 안정성을 기반으로 고객과의 협업을 강화한다. 특히 프리미엄 신제품 중심의 시장 대응을 통해 차세대 성장 동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대형 OLED 사업은 제품 다변화와 기술 고도화로 안정적 성과를 유지하고, 게이밍 모니터 등 하이엔드 제품군 확대를 통해 프리미엄 시장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계획이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는 탠덤 구조의 P(플라스틱)-OLED, ATO(Advanced Thin OLED), 하이엔드 LTPS LCD 등 고부가 기술 포트폴리오를 강화한다. LG디스플레이는 확고한 고객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성장세가 가파른 차량용 시장에서 리더십을 지속 확대할 방침이다.
김성현 LG디스플레이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 몇 년간 대외 환경의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이어졌음에도 전략 과제의 실행력을 높이고, 선택과 집중을 통한 사업 운영을 통해 매년 사업 성과를 확대해 왔다"라며 "올해 연간 기준의 수익성 턴어라운드는 가시화 됐으며, 강화된 사업 체질과 운영 역량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수익구조를 한층 강화하고 지속적으로 사업 성과를 확대해 나가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aykim@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