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15일~17일 서울 코엑스서 개최
전 세계 300여개 기업 참가, 역대 최대 규모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서울 코엑스에 전 세계 바이오 리더들이 집결했다. 한국바이오협회가 주최한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BIX 2025)'가 15일 개막하면서다. 올해 역대 최대 규모로 열린 행사에는 300여개 기업의 전시와 120여명의 연사가 참여하는 33개 컨퍼런스가 열린다. 방문자는 1만명이 넘을 것으로 관측된다.
이날 오전 열린 개막식에서 고한승 한국바이오협회 회장은 미국의 의약품 관세 부과로 인한 위기 속에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고한승 한국바이오협회 회장이 BIX 2025 개막식에서개회사를 하고 있다. 2025.10.15 sykim@newspim.com |
고 회장은 "미국의 새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예측하기 힘든 환경이 만들어져 정부와 기업이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관세는 저희들이 어떻게 할 수 있는 이슈가 아니지만, 정부에서 열심히 대응해주시고 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를 만들어주시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의약품을 넘어 다양한 분야로 바이오를 확장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바이오는 의약품과 진단기술 뿐만 아니라 생활과 밀접한 것들을 굉장히 많이 만들 수 있는 분야"라며 "그린 바이오와 화이트 바이오, 배양식품 등 바이오를 기반으로 만들 수 있는 것들이 많다"고 말했다.
이어 "이 시점에서 돌파구를 찾으려면 우리도 스스로 이런 기술과 생태계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여러 노력을 해야한다"며 "10년 후에는 바이오의약품 뿐만 아니라 더 큰 시장에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봤다.
이날 현장 부스에는 다양한 기업과 기관들이 참가해 각자의 경쟁력과 역량을 알렸다. 전 세계 15개국에서 300여개의 기업이 참가한 만큼 R&D와 제조·공정, 물류·패키징·디지털헬스케어·첨단바이오까지 바이오 산업의 모든 밸류 체인을 아우르는 전시가 펼쳐졌다.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단독 부스를 마련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최근 공개한 신규 CMO 브랜드 '엑설런스(ExellenS)'를 적극 홍보했다. 엑설런스는 동등성과 속도를 핵심 가치로 삼아, 고객에게 일관된 품질의 의약품을 신속히 공급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생산체계를 의미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업계에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기술이전과 규제 승인 측면에서 빠르다는 사실을 어느 정도 알고 있지만, 이를 브랜딩하고 인식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엑설런스를 소개하고 있다"고 말했다.
![]() |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BIX 2025 현장 2025.10.15 sykim@newspim.com |
올해 3년 연속 BIX에 참가한 에스티젠바이오는 현장 입구에 부스를 마련하고 회사의 위탁개발생산(CDMO) 역량을 알렸다. 행사 기간 동안 부스 내 미팅 공간을 마련해 잠재 고객사와 비즈니스 미팅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에스티젠바이오 관계자는 "BIX 행사에 참가하는 게 확실히 수주 활동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한다"며 "잠재 고객사를 많이 만날 수 있는기회"라고 전했다. 이어 "지난해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유럽의약품청(EMA) 트랙레코드를 모두 확보한 뒤로 수주 문의가 잇따르고 있으며 논의도 구체화되고 있다"며 "향후 시설을 증설할 계획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회사가 개발한 바이오시밀러의 특징과 적응증 등을 체험 활동을 통해 살펴볼 수 있도록 부스를 꾸몄다. 부스 입구에는 '빙고 퀴즈 게임 챌린지'를 통해 회사에 대한 퀴즈를 맞추는 프로그램도 마련했다.
기관과 지방자치단체들의 부스도 눈길을 끌었다. 올해 처음 행사에 참여했다는 경기도 시흥산업진흥원은 시흥 바이오특화단지를 홍보하고 나섰다. 시흥시는 최근 전통제약사 '종근당'을 바이오 특화단지에 유치하며 주목을 받기도 했다.
시흥산업진흥원 관계자는 "지난해 시흥시가 바이오클러스터 선정이 되면서 단지 조성 계획과 비전을 알리고자 BIX 행사에 참여하게 됐다"고 전했다.
한편, 올해 전시 특별관은 차세대 바이오의약품 특별관(CGT·ADC·재생의료 등) ▲스마트랩 & 혁신 생산 특별관(CMO/CDMO·자동화 시스템 등) ▲글로벌 바이오 허브 특별관(콜드체인 물류·유통) ▲임상개발 혁신 특별관(CRO·데이터·AI 솔루션)으로 구성됐으며 산업별 핵심 기술과 서비스가 집약됐다.
컨퍼런스는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다수의 심층 세션으로 구성됐다. 2일차 주요 세션으로는 ▲헬스케어의 대전환: AI와 데이터가 만드는 5조 달러 혁명 ▲미국 바이오 산업의 변화와 K-바이오의 글로벌 생존 전략 ▲ADC: 국경을 넘어서는 글로벌 게임체인저가 예정돼 있으며, 3일차에는 ▲중국 바이오테크의 전환 ▲K-디지털헬스케어: 글로벌 성공 전략 ▲K-Bio 기술이전 전략 등 지역·기술별 전략 세션이 이어진다.
참가자 간 실질적 교류를 위한 런천세션, 초청 인사 및 연사·기업 대표가 함께하는 VIP 리셉션이 열려 심층 네트워킹의 장도 마련한다. BIX 시그니처 프로그램인 도슨트 투어는 17일 오후 총 3회 운영되며, 올해 처음 선보이는 '영 프로페셔널 리셉션' 등 맞춤형 부대행사도 함께 진행된다.
sy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