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폐광 도시 태백시 장성마을이 재작년에 이어 올해도 현대미술의 무대가 됐다.
제2회 '비엔날레 날땅: 뜻밖에 등장하는 윤곽들'이 오는 30일까지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탄탄마을관리사회적협동조합 주최로 장성마을 일대에서 열린다.
한때 6000명의 광부가 연간 200만톤이 넘는 석탄을 캐내던 국내 최대 탄광 장성광업소가 있던 이곳에서, 6명(정희우·황재순·신예선·배주현·전지·이다슬)의 작가가 마을의 기억을 예술로 되살렸다.
![]() |
태백경찰서 망루에 설치된 신예선 작가의 '빨간 내피' [사진=탄탄마을협동조합] |
이번 전시는 문화 소외 지역 아이들에게 예술의 문을 열어준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2023년 첫 선을 보인 '비엔날레 날땅'은 지역 청소년들에게 현대미술을 접할 기회를 제공했고 올해는 그 영향력이 더 확대됐다. 인근 정선의 학생들이 작품 관람을 위해 1시간여를 걸쳐 찾아올 정도로 지역 문화 거점으로 자리잡았다.
태백 주민 김동찬 씨는 "자주 다니던 곳이 낯설고 신기해졌다"며 "마법에 걸린 새로운 동네 같다"고 했다.
참여 작가들은 마을 곳곳을 전시장으로 탈바꿈시켰다.
신예선 작가는 한국전쟁 당시 북한군 감시용 태백경찰서 망루를 빨간 내복을 상징하는 모직 내피로 덮어 따뜻한 치유 공간으로 변모시켰다.
배주현 작가는 70년 넘게 광부가 생활한 고택에서 무명실과 도자기로 탄광 노동의 숨결을 재현했으며 진폐증 환자들이 쉬던 태백병원 앞 등나무 벤치에도 거대한 설치 작품을 선보였다.
![]() |
태백 장성마을 주민들이 아이리스PC방 건물 지하에 전시된 전지 작가의 '불확실한 내 이야기를 들어줄 한 사람이 필요해' 만화 원화를 관람하고 있다. [사진=탄탄마을협동조합] |
지역 청소년들의 이야기도 작품이 됐다. 전지 작가는 장성마을 청소년들의 웅크림과 망설임을 태백의 대자연을 배경으로 만화로 그려냈다. 작품이 전시되는 PC방 지하 공간은 지역 청년들이 직접 청소하고 페인트칠해 미술관으로 재탄생시킨 곳이다.
황재순 작가는 2022년 폐업한 '태양사우나'를 광산 마을 목욕 문화 아카이브 전시관으로 되살렸다. 이곳은 과거 광부들이 검댕을 씻어내던 추억의 장소다.
특별 사진전도 열린다. 2019년 철거된 광부 아파트 '화광아파트'를 기록한 '찰칵 원정대'의 사진들이 화광아파트 터에 들어선 마을 영화관 옥상에서 전시된다. 관람객들은 장성마을 초입 식당 '차림'에서 출발하는 도슨트 투어를 통해 마을 곳곳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이진아 미술감독은 "마을과 열심히 사귀어 온 작가들이 폐광 마을 아이들과 주민에게 열어 보여주는 '나니아 연대기'의 옷장 같은 것"이라며 "일상의 공간들을 새로운 세계로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기획자 김신애 대표는 "오래된 시간 속 묻혀 있던 기억들을 들춰내고 익숙했던 풍경을 낯설게 만드는 전시"라고 부연했다.
bernard02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