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차 블랙박스 등 분석 예정... 고용 당국,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여부 검토
[청도=뉴스핌] 남효선 기자 = 경북 청도에서 발생한 '무궁화호 열차 사고' 관련 경찰이 2차 현장 수색을 실시하는 등 사고 원인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22일 경북경찰청 등에 따르면 전담 수사팀은 이날 오전 사고 현장에 금속 탐지기 등을 동원해 유류품 수색 작업을 벌였다.
또 코레일 측으로부터 로그인 기록을 확보하고 사고 당시 피해 작업자들이 보유하고 있던 열차 접근 경보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했는지 여부 등을 확인하고 있다.
![]() |
경북 청도에서 지난 19일 발생한 '무궁화호 열차 사고' 당시 경북소방당국과 경찰이 사고 수습과 안전조치를 하고 있다.[사진=경북소방본부]2025.08.22 nulcheon@newspim.com |
경찰은 사고 열차 블랙박스를 분석해 당시 기관사가 작업자들을 발견한 시점과 대처 방식 등을 조사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함께 사고 열차 기관사를 비롯해 부상한 하청업체 노동자들, 업체 대표 등을 차례로 조사해 관련 증언 등을 확보하는 한편 작업자들이 속한 하청업체로부터 작업 계획서 등 각종 문서를 확보해 과실 여부와 실제 작업 투입 전 안전 교육이 제대로 이뤄졌는지 등을 살펴볼 방침이다.
사고 당시 현장 작업자들은 '열차 접근 경보 앱'이 설치된 기기 총 4대를 소지하고 현장에 투입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중 2대는 당시 사고로 파손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대구지방고용노동청도 코레일과 하청업체에서 확보한 자료 등을 통해 현장 안전 관리 체계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한편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여부도 검토하고 있다.
앞서 지난 19일 오전 10시 49분쯤 청도군 화양읍 삼신리 경부선 철로에서 동대구역을 출발해 경남 진주로 향하던 무궁화호 열차(1903호)가 선로 근처에서 점검을 위해 이동 중이던 작업자들을 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코레일 직원과 하청업체 소속 직원 등 2명이 숨지고 5명이 크게 다쳤다.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지난 21일 국회 국토위 전체 회의에 출석해 최근 7명의 사상자를 낸 '무궁화호 열차 사고' 관련 "원인 조사에 적극 협력하고 책임자를 엄중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nulche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