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가희 기자 = 금융투자협회는 18일 금융당국의 '생산적 금융 확대를 위한 회계 애로사항 논의' 결과에 화답하며 인프라 투자 확대 의지를 밝혔다.
금융투자협회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회계적 불확실성을 해소하고자 회계기준원에 공식 질의를 신청했고, 회계기준원이 만기를 정하지 않은 폐쇄형 펀드는 투자자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FV-OCI)로 처리할 수 있음을 회신했다"며 "향후 영구폐쇄형 펀드를 통해 인프라 사업에 민간자금 공급이 본격화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 |
금융투자협회, 금투협 / 이형석 기자 |
그간 금융회사가 펀드를 통해 초장기 인프라 사업에 참여할 경우 평가손익이 매년 당기손익(FV-PL)에 반영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약 요인으로 작용해 왔다. 인프라펀드 결성 건수 기준 상위 6개 운용사에 따르면 인프라펀드 규모는 2020년 2조1000억원에서 2024년 6000억원으로 급감했다. 투자 비율이 높았던 보험사에서는 올해 신규 투자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도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를 준비 중이다. 기획재정부는 올해 환경·도로·철도 등 신규 사업을 발굴해 18조5000억원 이상 규모의 투자를 추진할 예정이다. 새 정부의 미래 전략형 사업인 ▲인공지능 등 산업 경쟁력 강화 ▲탄소중립 및 기후 위기 대응 ▲지역 소멸 대응 및 지역 균형발전 등에도 금융회사의 참여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자산운용업계는 인프라 사업에 기관투자자가 투자할 수 있는 영구폐쇄형 펀드를 조성해 후순위대출, 지분 출자 등 위험도가 높은 영역에 자금을 공급할 계획이다.
이창화 금융투자협회 자산운용·부동산본부장은 "관계 당국의 적극적 지원으로 장기 인프라 사업에 투자할 수 있는 상품 출시가 가능해졌다"며 "협회는 금융당국과 협의해 업계의 펀드 규약 마련을 지원하는 등 영구폐쇄형 펀드가 민자사업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rkgml92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