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 회수때 지시가 어떻게 하달됐는지 확인 중"
[서울=뉴스핌] 홍석희 기자 = 순직해병 사망사건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14일 "(채해병 사건) 수사기록을 다시 가져오는 과정에서 어떤 연락들이 있었는지 어느 정도는 확인을 했다"고 밝혔다.
정민영 특검보는 이날 오전 서울 서초구 특검 사무실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구체적으로 기록을 회수하는 과정이나, 지시들이 어떻게 하달됐는지, 어떻게 보고됐는지를 하나하나 확인하는 과정에 있다"라며 "당사자들이 세부적 부분에 있어서 기억에 차이가 있다. 그런 부분을 확인할 필요가 있어 시간이 걸리는 점이 있다"고 말했다.
![]() |
순직해병 사망사건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14일 "(채해병 사건) 수사기록을 다시 가져오는 과정에서 어떤 연락들이 있었는지 어느 정도는 확인을 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정민영 특검보가 지난달 8일 오전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 특검 사무실 브리핑룸에서 언론 브리핑을 하는 모습. [사진=뉴스핌 DB] |
특검팀은 2023년 8월 2일 해병대수사단이 경북경찰청에 이첩한 채해병 사건 수사기록이 국방부 검찰단에 회수되는 과정에서 대통령실의 외압 등 불법행위가 있었는지 살펴보고 있다.
특검팀은 이러한 수사기록 회수 과정에 깊숙이 개입한 의혹을 받는 유재은 전 국방부 법무관리관을 오는 18일 피의자 신분(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으로 소환해 조사한다.
정 특검보는 "국방부 법무관리관실은 채상병 수사기록을 국방부 검찰단이 무단으로 가져오는 과정, 이후 국방부 검찰단이 박정훈 대령을 집단항명수괴죄로 입건하는 과정에 여러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며 "대통령실과 국방부 검찰단 사이에 이뤄진 연락과 지시사항을 전반적으로 확인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특검팀은 역시 수사기록 회수에 깊게 관여한 것으로 알려진 조태용 전 국가안보실장도 다음 주 다시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한편 특검팀은 박 대령을 항명 혐의로 수사했던 김동혁 전 국방부검찰단장을 오는 15일 다시 불러 조사한다. 특검팀은 김 전 단장이 수사기록을 회수하고, 박 대령을 입건하는 과정에서 불법행위가 있었는지를 추가 조사할 방침이다.
특검팀은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호주대사 임명·도피 의혹과 관련해 이날 오전 박행열 전 법무부 인사정보관리단장을 소환해 조사하고 있다.
정 특검보는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의 업무상과실치사 혐의 사건에 대한 수사 상황과 관련해 "아직 수사가 마무리된 것은 아니"라며 "임 전 사단장 말고 다른 사람에 대한 추가 조사를 계획하고 있다. 다음주에 관련 조사가 조금 있다"고 말했다.
정 특검보는 김건희 여사의 비화폰 수사 상황과 관련해선 "2023년엔 김 여사 비화폰 관련 통신 내역은 없는 것으로 확인하고 있다"며 "임의로 삭제한 게 아니라면 2023년에 이걸 사용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는데, 아직 거기까지 확인하진 않았다"고 설명했다.
hong90@newspim.com